[차트로 본 투자전략] 일목균형표
시간론상 18.20일 중요… 시장에 큰 변화 가능성'차트는 유행이다' 주식투자자 가운데 차트를 한번도 보지 않은 투자자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차트를 가지고 종목선택과 시황판단에 이용하는 투자자는 그리 많지 않다. 복잡한 차트에 질리는 것도 이유지만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이다. 새로 시작하는 '실전차트투자'는 개미투자자들에게 종목과 시황판단의 길잡이가 되고자 한다. 매주 한가지 테마를 설정해 설명하고 적합한 종목과 시황을 제시할 것이다. 이번 주는 조금 무겁긴 하지만 최근 가장 관심을 끌고 있는 일목균형표(一目均衡表)를 설명하고자 한다. 한가지 파동론 아쉬운 점은 지난 11일 발생한 뉴욕의 테러참사로 이번 주는 현시점에서 차트유망종목을 추천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일목균형표(一目均衡表)는 도쿄신문의 호소다 고이찌(細田悟)가 1935년부터 이찌모꾸 산징(一目山人)이라는 필명으로 활약하며 69년 이를 정리해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했다. 일목균형표에서 한마디로 정리하면 '현재 시세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투자가의 행동지침이 되도록 하는 종합적인 차트'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목균형표에는 크게 시간론(時間論), 파동론(波動論) 수준론(水準論)의 3부문과 여기에 형보(型譜)라는 개념을 더해 4부문으로 구분한다. 이 구분에 따라 전환선(轉換線), 기준선(基準線), 단기선행스팬, 장기선행스팬, 후행스팬 등의 지표를 이용해 시세추이를 분석한다. 시세분석에서는 가장 먼저 기준선과 전환선의 관계를 분석한다. 전환선이 기준선을 넘어서면 주가가 강세로 전환되는 호전(好轉), 반대로 전환선이 기준선 밑으로 내려가면 약세로 전환되는 역전(逆轉)이라고 한다. 단 기준선의 상승없이 호전이 일어나 주가가 상승하면 속임수일 가능성이 있다. 단기선행스팬과 장기선행스팬 사이에 형성되는 띠를 스팬대라 한다. 일반적으로 이 스팬대는 구름대(雲)라고도 한다. 단기선행스팬이 장기선행스팬 위에 위치할 경우는 스팬대가 적색으로 표시되며 양운(파동론 陽雲)이라 부른다. 이 때는 이 구름대가 지지선 역할을 한다. 반대로 청색으로 표시되는 음운(陰雲)은 장기선행스팬이 단기선행스팬 위에 있는 것으로 파동론 이 구름대가 저항선으로 작용하는 게 일반적이다. 후행스팬 분석을 보자. 후행스팬이 주가를 넘어서는 것을 '호전'이라 하고, 하향돌파하는 것을 '역전'이라고 일컫는다. 이런 분석을 하는 이유는 26일전 주가와 현재 주가를 비교함으로써 현 장세의 위치와 강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일목균형표에서 중요한 것은 시간론이다. 이찌모꾸 산징은 4년간 동서양의 수학문헌을 통해 9, 17, 26 세 숫자가 자연의 섭리를 구현한 것이라며 9, 17, 26, 33, 42, 65, 76, 129, 172, 200을 기본수치로 제시했다. 이 수치로 겹치는 시점들에서 시장의 중요한 변화가 일어날 확률이 크다고 분석했다. 이번 주는 일목균형표상 중요 변화일이 화요일(18일)과 목요일(20일)이어서 시장의 변화를 지켜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밖에 주가의 움직임을 거래량의 파동으로 구분한 파동론(波動論)과 목표치 분석에 활용되는 관측론(觀測論) 등은 일목균형표에서 보조지표로 활용된다. 일목균형표 분석의 특징은 거래량 분석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는 점이다. 주가 그 자체의 변화에 따라 거래 매물대의 영향력도 달라진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간단히 소개했지만 사실 일목균형표는 워낙 방대한 내용들로 구성돼 있어 이해가 어려운게 사실이다. 따라서 이 기법을 이용함에 있어서는 충분한 사전 이해가 필요하다. 아울러 이 기법은 지수에 비해 개별종목에 적용하기는 무리가 있으므로 다른 지표와의 비교 분석해야 한다. 문의(02)726-7164
Young's Wave Theory of Light
원전 A Course of Lectures on Natural 파동론 Philosophy and the Mechanical Arts (1845), I:359-370. Lecture 39.
영은 빛에 관한 다양한 현상들을 제시하며 빛의 입자론과 파동론이 그것을 설명할 수 있는지를 비교 평가한 후, 파동론의 상대적 우위를 주장한다.
진공 혹은 소한 균질 매질에서의 빛의 전파
어느 가설과도 모순되지 않음. 그러나 구멍을 파동론 통과하는 빛의 퍼짐(회절)을 설명하는 데 있어 입자론이 더 곤란을 겪는 것처럼 서술.
- 구멍을 통과하면서 빛이 퍼지는 현상(회절)을 설명하기 위해 입자론자인 뉴턴은 구멍의 경계가 (빛에) 인력을 작용한다는 보조 가설 주장. 그러나 회절 능력은 장애물의 종류에는 무관하고 구멍의 크기에만 의존하는데, 이를 설명하려면 다양한 물질과 다양한 굴절률을 가진 물질이 빛에 동일한 크기의 인력을 행사해야 함. 이는 improbable함. 또한 그 힘이 존재한다면 그 힘은 상당한 거리(0.25인치) 떨어진 거리에서도 작용해야 한다. 이는 다른 현상과 쉽게 화해하기 어려운 조건임.
- 파동론으로는 나름 쉽게 설명됨. 다만 퍼지는 각도가 수면파보다 작음. 그러나 이것은 소리가 수면파보다 덜 회절되듯이, 훨씬 고탄성 매질에서는 파동이 덜 회절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을 것 같다.
투명한 밀한 매질에서의 빛의 전파
- 입자론은 원자들 사이에 빛 입자가 통과하기에 충분한 빈 공간이 있다는 전제 필요. 지금까지의 실험으로는 그럴 가능성이 충분히 있음.
- 파동론은 그런 전제 불필요. 공간과 입자의 비율은 크게 중요치 않음.
동일 매질에서의 동일 속도
- 입자론은 곤란. 빛의 속도로 빛 입자를 발사하기 위해서는 어마어마한 힘이 작용해야 함. 또한 원인에 상관없이 균일한 속도로 발사되어 속도가 유지되는 그런 투사체는 없음.
- 파동론에서 이는 너무나 당연.
반사 법칙과 굴절법칙
- 입자론은 인력 가정해야.
- 파동론은 매질 경계에서 속도 파동론 변화 발생 가정해야. 특히 소한 매질보다 밀한 매질에서 빛의 속도가 느려야 한다. 이 속도 변화가 완전히 입증될 경우, 인력 가설은 폐기되어야 파동론 하며, 입자론은 버틸 수 없을 것이다.
굴절면에서의 일부 반사
광행차의 효과
빙주석(Iceland spar)과
…. 붉은 빛이 보라 빛보다 파장이 길다는 가정을 파동론 하면, 진공 이외의 매질에서 빨간 빛이 보라 빛보다 느려져 빨간 빛이 보라 빛보다 굴절률이 커진다는 것 해명 가능.
빨간 빛이 보라 빛보다 파장이 길다는 가정은 단지 유비에만 근거한 것이 아니다. "매우 폭넓은 범위의 현상들이 똑같은 결론을 보다 직접적으로 보여준다!” 투명판, 회절 혹은 굴절. 이들은 모두 입자론에서는 입자론 지지자들조차 충분히 세밀하거나 포괄적인 방식으로 설명된 적이 없다. 반면 이들은 모두 두 빛의 간섭 효과로 파동론 한꺼번에 이해될 수 있다.
출판사 서평 빛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속 시원하게 풀어 주는 책!
빛의 영속성만큼이나 오랜 빛에 대한 탐구
고전물리학자 뉴턴은 빛이 알갱이라고 했다. 즉, 빛이 입자로 되어 있다는 입자론을 세운 것이다. 입자론은 100년 가까이 의심 없는 이론으로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과학자 영이 새로운 증거를 제시하면서 입자론과 파동론 사이에 뜨거운 논쟁이 벌어졌다.
19세기 프랑스의 프레넬과 푸코가 빛이 파동이라는 새로운 증거를 제시하면서 빛에 대한 이론은 새로운 논쟁의 역사로 들어선다. 게다가 20세기에 아인슈타인이 빛은 입자와 파동의 성질을 함께 갖는다는 이론을 발표하면서 빛에 대한 논쟁은 파동론 마무리를 짓는다. 이 책은 빛에 대한 과학자들이 가진 논쟁의 역사와 설전을 바탕으로 빛이 가진 성질에 대한 오랜 이론을 알려주고 있다.
일곱 빛깔 무지개~♪♬! 아니잖아!
빛의 현상에 대한 수수께끼는 아직도 풀리지 않고 있다. 전적으로 태양에 의존하는 빛의 성질. 하지만 태양에 대한 해석이 아직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빛을 해석하기란 요원한 일이다. 하지만 빛이 던진 암호를 해석할 수 있다는 전초를 마련한 것이 프리즘이었다. 마이컬슨은 프리즘을 통과한 빛을 단지 ‘무지개’라고 보지 않고 빛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만들었다.
마이컬슨은 우리에게 빛에 대한 빛을 던진다. 이 책은 가시광선, 적외선, 자외선만으로 알려진 빛의 나머지 것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들려줄 뿐만 아니라, 빛이 지금까지 인류에 던진 문명의 화두까지 파헤치고 있다. 과학으로 풀어보는 빛. 결코 낭만적인 무지개가 아닌 새로운 빛의 세계로 빠져들자.
― 개정된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각 수업마다 연관되는 교과연계표를 삽입하였다. 즉, 교과 공부에도 도움을 주도록 하였다.
― 각 수업마다 ‘만화로 본문 읽기’ 코너를 두어 각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한 번 더 쉽게 정리할 수 있게 하였다.
― 꼭 알아야 할 중요한 용어는 ‘과학자의 비밀노트’ 코너에서 보충 설명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 ‘과학자 소개 · 과학 연대표 · 체크, 핵심 내용 · 이슈, 현대 과학 · 찾아보기’로 구성된 부록을 제공하여 독자에게 본문 주제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빛에도 색깔과 모양이 있다! 빛은 어떤 색깔일까? 어떤 모양을 하고 있을까? 파동성과 입자성 중 어떤 것이 맞는 걸까? 이 책은 다양한 의견 대립으로 논란이 많았던 빛의 속성을 청소년들이 이해하기 쉽게 풀었다. 뉴턴이 밝혀낸 빛의 색깔, 마이컬슨이 연구한 에테르라는 빛의 매질, 아인슈타인이 완성한 빛의 본성까지 빛에 대한 모든 비밀을 낱낱이 밝히고 있다. 빛은 우리가 살아가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보물이다. 이 책은 청소년들이 빛의 소중함을 느끼는 동시에 빛의 재미있는 특성까지 쉽게 파악하도록 도와준다.
목차 첫 번째 수업 - 빛의 정의
두 번째 수업 - 뉴턴의 프리즘 실험
세 번째 수업 - 빛의 성질
네 번째 수업 - 파동론을 주장한 영
다섯 번째 수업 - 입자론과 파동론
여섯 번째 수업 - 파동론의 우세
일곱 번째 수업 - 빛의 매질, 에테르
여덟 번째 수업 - 에테르의 성질
아홉 번째 수업 - 에테르 찾기
마지막 수업 - 빛의 본성첫 번째 수업 - 빛의 정의
두 번째 수업 - 뉴턴의 프리즘 실험
세 번째 수업 - 빛의 성질
네 번째 수업 - 파동론을 주장한 영
다섯 번째 수업 - 입자론과 파동론
여섯 번째 수업 - 파동론의 우세
일곱 번째 수업 - 빛의 매질, 에테르
여덟 번째 수업 - 에테르의 성질
아홉 번째 수업 - 에테르 찾기
마지막 수업 - 빛의 본성
송은영 [저] 생년월일1964.11~출생지서울출간도서61종판매수25,394권 작가소개 1964년 서울에서 태어나 대학에서 물리학을, 대학원에서 원자핵물리학을 공부했습니다. 과학을 대중에게 더 쉽고 재미있게 알릴 방법을 고민하며 스무 해 가까이 과학 파동론 저술 활동을 펼쳐 왔습니다. [속담 속에 숨은 수학]과 [아인슈타인의 생각실험실 1, 2][수학 상식]등 여러 책을 펴냈고, 제17회 한국과학기술도서상을 수상했습니다.
저서 [과학자가 들려주는 과학 이야기] 시리즈 [Mr. 퐁 과학에 빠지다], [프린키피아](서울대 선정 인문고전 50선 중 27번) [아인슈타인과 호킹의 블랙홀 랑데부], [과학 원리로 떠나는 창의력 여행], [교과서 밖에서 배우는 재미있는 상식] 시리즈(물리 상식, 과학 상식, 수학 상식) [원리를 알면 수학이 쉽다], [과학 공부를 잘하는 7가지 방법], [손에 잡히는 과학 교과서](전기와 자기) [과학 돋보기], [역사 인물과 함께하는 교과서 원리 캠프](물리) [위대한 과학자] 시리즈(꿈꾸는 아인슈타인, 돌아온 갈릴레이, 못 말리는 뉴턴) [24시 과학여행], [이야기 속 물리여행] 1964년 서울에서 태어나 대학에서 물리학을, 대학원에서 원자핵물리학을 공부했습니다. 과학을 대중에게 더 쉽고 재미있게 알릴 방법을 고민하며 스무 해 가까이 과학 저술 활동을 펼쳐 왔습니다. [속담 속에 숨은 수학]과 [아인슈타인의 생각실험실 1, 2][수학 상식]등 여러 책을 펴냈고, 제17회 한국과학기술도서상을 수상했습니다.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승인 2016.10.24 08:45
- 댓글 0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코스피는 지난주에는 꽤 올랐고 덕택에 주식시장은 그럭저럭 원기를 회복하였다. 나락에 빠졌던 주가가 다시 구름 위, 대명천지(大明天地) 밝은 세상으로 나왔으니 말이다. 다만 이것만을 이유로 무작정 ‘상승세 지속’이라 말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지난주에도 지적하였듯 아무리 상승추세일지라도 조정은 나타나는 법이며, 강력한 하락세에서도 종종 반등은 있기 때문.
결국 코스피가 지난주에 반등한 것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가 키포인트다. 기존의 상승세가 이어질까 아니면 2,073(9월7일)으로 파동론 상승세는 끝났고 지금부터는 하락세인 바, 지난주 반등을 하락세의 와중에 나타난 반등으로 보아야 할까? 어렵지만, 결론부터 말하여 나는 2,073이 단기적인 상승세의 정점으로 판단한다.
일목균형표의 ‘파동론’에 근거한다. 일목균형표의 파동론은 엘리어트 파동처럼 복잡하지 않다. 하나의 추세에는 7개 혹은 9개의 파동이 만들어지는데, 그게 시간의 흐름(기본수치, 복합수치 등)과 어울리면서 반복된다는 것이 파동론의 전부다. 파동을 세는 일도 쉽다. 고점(peak)과 저점(trough)을 번갈아 따져보면 된다. 다만, 쉬운데도 잘 들어맞는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최근 2,073의 고점에 이르기까지 코스피는 1,817(2월12일)부터 오랜 기간 파동론 상승세를 이어왔는데, 파동의 개수가 9개로 계산된다. 상승세가 완성되었다는 의미이다. 그러니 이제는 한참이나 하락파동이 전개된다는 결론이 되는 게다. 물론 이번 주에도 약간의 반등이 나타날 수는 있다. 하지만 그건 어차피 ‘이삭줍기’ 차원. 주가가 더 오르더라도 이미 우리가 경험하였듯 2,070 언저리에서 엄청난 저항에 맞닥뜨릴 것이 분명하다. 그 이후 코스피는 끝내 구름 아래로 내려갈 수밖에 없으리라 본다.
단, 내 주장은 쉽게 가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른 파동론 시간 안에 지수가 치솟아 전고점 2,073을 돌파한다면 그 순간 나의 파동계산이 엉터리였음이 드러난다. 아직도 상승파동이 끝나지 않았다는 증거로 작용한다. 하지만 재차 주가가 구름 안으로 들어선다면 상황은 매우 심각하다. 시장은 일찌감치 하락세였다는 ‘진실’이 밝혀지기 때문. 그런데 앞으로 전개될 구름은 얇다. 지지선의 강도가 약화될 것이다. 허약한 구름이 주가를 떠받칠 수 있을까? 내가 너무 비관론에 치우쳤는가?
환율이야 주가와는 반대방향이다. 1,245원(2월29일)에서 출발한 하락파동이 1,089원(9월7일)로 마무리된 것으로 판단된다. 왜냐하면 앞서 설명하였던 ‘파동의 개수’를 따질 때 그동안 하락파동은 모두 9개로 계산되기 때문이다. 하나의 사이클이 지나면 다음 사이클이 이어지는 것은 당연한 이치. 하락파동이 완성되었다면 지금부터는 상승파동이 전개되어야 마땅하다.
달러-원 환율은 1,089원에서 차근차근 올라서고 있는데, 지금까지의 파동은 아무리 세어보아도 7개 혹은 9개로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앞으로 상승파동이 나아갈 길은 한참이나 남았다. 환율은 앞으로 더 오르리라는 예측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 지극히 단순한, 그러나 명백한 결론이다.
일목균형표가 말하는 시장의 ‘균형’도 온통 상승세 위주이다. 이미 지난주부터 모든 괘선들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돌아섰다. 단 하나, 환율이 구름의 저항을 벗어나지 못하였을 뿐이었는데 이것마저도 지난주 후반에 해결되었다. 환율이 구름 상단을 뚫고 올라서면서 추세가 상승세라는 것이 모든 면에서 뚜렷해졌다.
게다가 일목균형표의 괘선들은 되레 상승세를 뒷받침하는 꼴이다. 예를 들어 구름 상단은 앞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아래로 내려선다. 따라서 설령 달러-원이 오르지 않고 제자리에 가만히 있기만 하여도 저절로 상승세가 된다. 환율이 점점 구름과의 간격을 벌리는 파동론 결과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후행스팬은 이제 26일전 캔들의 지지를 받을 참. 이래저래 상승세가 깊어지겠다.
해외에서 달러 인덱스는 5월 이후 최고점을 연신 파동론 경신하고 있다. 유로-달러 혹은 파운드-달러는 연일 최저기록을 갈아치우는 형편. 달러-엔도 차트에서 강력한 저항선 역할을 하던 구름을 뚫고 위쪽으로 올라서는 데 성공하였다. 모든 환경요인들도 ‘달러 상승’을 말한다. 달러-원도 대열에 동참할 수밖에 없으니 1,140원 이상도 충분히 노려볼 수 있다.
지금까지는 하락할 때마다 매수하는 전략(성공적이었다!)이었다면, 이번 주부터는 시장 환율이 오르건 내리건 상관없이 매수 일변도로 나가는 것이 효과적이리라 생각된다.
『 ~「무식한」 HotTalk ~ 』
종합적으로 파악해야 합니다. 그러기에 다른 파동론과 달리 일목의 파동론이 더욱 놀라운 예측력을 갖는 거죠.
시간론, 가격론은 아직 언급은 안했지만 우선 간단하게 이렇게 이해하심 좋을 듯..
원을 중심으로 수직축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 가격론이고,
수평측의 변화는 언제 시세의 변화가 나타나는 지를 파악하는 시간론이라면.
그 둘을 결합한 대각선상의 변화가 파동론이라 할 수 있을 겁니다.
즉, 일목의 파동론은 이렇게 시간과 가격을 결합해서 파악할 때 그 파괴력이 높아지는 거랍니다.
그럼 일목의 기본파동은 어떻게 구성될까요?
I파, V파, N파가 일목의 기본파동입니다.
이 기본파동이 모든 추세의 기본부품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그리고 일목에서는 엘리어트 파동이론과는 달리 저점과 고점이 계속해서 높아지는 한 N자형 상승파동이 계속되는 것으로 파악하고 그 반대는 N자 하락파동이 계속되는 것으로 봅니다.
이런 기본파동의 변형이 아래 그림에서 나타난 P파, Y파, S파입니다.
그림에서 보듯 P파동은 전고점을 넘어서지 못했지만 전저점은 넘어서는 파동입니다.
Y파동은 반대로 저저점도 깨고 전고점도 깨면서 파동이 확산되는 형태입니다.
S파동은 두가지가 있는대 하나는 상승형이고 다른 하나는 하락형입니다.
상승형 S파동은 다음 저점이 전고점을 깨지않는 것이고 아주 좋은 매수 기회가 됩니다. 하락형 S파동은 반대로 다음 고점이 전저점을 깨지 못하는 경우로 매수세가 약합니다. 따라서 좋은 매도 기회죠.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