퀀트픽's 인사이트 [04.06] USDT 테더를 매입하는 3가지 방법! 국내거래소 vs 해외거래소 vs P2P
1. 국내거래소 -> 해외거래소 -> USDT로 환전.
- 이 방법이 사실은 제일 많이 알려진 방법이고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방법이다.
- 통상 속도와 수수료가 가장 저렴한 리플 XRP코인을 애용한다.
- 하지만 최근 김치 프리미엄으로 인해서 10% 이상 손실을 봐야 하는 기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2. 바이낸스 P2P 거래소 사용하기.
- 바이낸스 거래소에서 최근 원화로도 USDT를 직구할 수 있도록 P2P 거래소를 운용하고 있다. 필자가 직접 사용해본 결과 매우 편리하고 빠르더라.
- 근데 현재 환율이 1130원 정도하고 여기에 1.1배를 곱하면 약 1240원이다. 아마 김프를 반영한 가격으로 P2P 거래가 되고 있는 걸로 보인다.
3. 후오비거래소에서 KRW/USDT 페어를 통해 테더 매입
- 지금으로서 최선의 방법은 후오비 거래소에서 KRW/USDT 페어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1번과 2번의 방법보다는 비교적 저렴한 1226원(?) 이라는 가격에 거래가 되고 있다.
- 그리고 후오비에서는 차트를 보면 알지만 테더임에도 불구하고 변동성이 상당하다. 그럼으로 미리 선입금을 해서 지정가로 싸거 걸어두고 거래가 체결되면 일단 이득을 보고 시작한다.
이상 3가지 방법을 기재하였는데, 지금으로서 테더를 가장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기 위해서는 후오비 거래소를 활용해야 할 것 같다. 필자가 이번에 USDT 투자 자동매매 봇에 USDT를 추가 에치하려고 했으나 김프로 인해서 주춤했는데, 조만간에 후오비를 통해서 테더 매입할 예정이다!
USDT to USD
Get live USDT to USD conversion rate and best exchange prices with our conversion calculator.
Best USDT to USD Exchanges
Compare prices USDT 투자 & liquidity spreads for Tether (USDT) to USD across these top coin exchanges.
Bittrex
CEX.IO
Blockchain.com
Kuna
FTX
Bitstamp
Hotbit
AscendEX
Coinbase
Kraken
Binance US
gate.io
BitFinex
1 USDT
1.001 USD
USDT/USD is trading today at 1.001USD. 24-hour trading volumes are reported at $108,964,121.00. Tether to unified Stable Dollar conversion rate is calculated live based on data from multiple exchanges. USDT/USD exchange rate was last updated on July 26, 2022 at 05:00 UTC.
High | 1.005000USD |
---|---|
Low | 0.991135USD |
Average | 0.9981USD |
Change | 0.17053% |
Change | -0.08599% |
---|
Change | 0.05356% |
---|
Change | -0.17613% |
---|
Convert USDT To USD
USDT | USD |
---|---|
1 USDT | 1.001000USD |
5 USDT | 5.005000USD |
10 USDT | 10.0100USD |
25 USDT | 25.0250USD |
50 USDT | 50.0500USD |
100 USDT | 100.100USD |
500 USDT | 501USD |
1000 USDT | 1,001USD |
10,000 USDT | 10,010USD |
Convert USD To USDT
USD | USDT |
---|---|
1 USD | 0.999001USDT |
5 USD | 4.995005USDT |
10 USD | 9.990010USDT |
25 USD | 24.975025USDT |
50 USD | 49.950050USDT |
100 USD | 99.900100USDT |
500 USD | 499.500500USDT |
1,000 USD | 999.000999USDT |
10,000 USD | 9,990.009990USDT |
More USDT to Fiat Markets:
-->Pair | Target Price |
---|---|
USDT /TWD | NT$30 |
USDT /GBP | £1 |
USDT /THB | ฿37 |
USDT /IDR | Rp15,005 |
USDT /EUR | €1 |
USDT /USD | $1 |
USDT /NGN | ₦426 |
USDT /RUB | RUB58 |
USDT /UAH | ₴37 |
USDT /TRY | TL18 |
USDT /BRL | R$5 |
More USDT to Crypto Markets:
Pair | Target Price | Converted Price |
---|---|---|
USDT /NUSDT | 1.00108009NUSDT | $0.99992000 |
USDT /CNYX | 1.00108009CNYX | $0.99992000 |
High | 1.005000USD |
---|---|
Low | 0.991135USD |
Average | 0.9981USD |
Change | 0.17053% |
Change | -0.08599% |
---|
Change | 0.05356% |
---|
Change | -0.17613% |
---|
Bitcoin (BTC)
Ethereum (ETH)
Tether (USDT)
USD Coin (USDC)
BNB (BNB)
Binance USD (BUSD)
XRP (XRP)
Cardano (ADA)
Solana (SOL)
Binance.com
What Is USDT? | Everything You Need To Know
It’s the third-largest cryptocurrency by market capitalization and serves as a facilitator for many of the crypto-to-crypto transactions that happen each day. Despite all of that, many still wonder, “What USDT 투자 is USDT?”
In this article, we take a look at what makes USDT unique and discuss its history,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so you can make the most of your crypto investing.
What Is USDT?
The answer to the USDT 투자 question “What is USDT?” involves four specific parts:
- USDT is an abbreviation for the term United States Dollar Tether
- United States Dollar Tether (USDT) is a blockchain-based cryptocurrency
- USDT is also known as Tether
- USDT is the symbol under which Tether tokens trade
But USDT is much more than just those four details. At its heart, it’s a centralized, fiat-collateralized stablecoin.
Before we dive into those details, let’s take a look at how USDT came about.
What Is USDT: History
In 2012, entrepreneur J.R. Willett developed the concept for a type of crypto that could live on a separate layer of the existing Bitcoin blockchain.
This secondary layer — first called Mastercoin — was the technological foundation on which Tether was built.
In July of 2014, a group of entrepreneurs formed a startup called Realcoin, which was renamed Tether Limited later that year.
USDT was originally launched using a platform for creating and trading digital assets on top of the Bitcoin blockchain (the Omni Layer protocol). This protocol also supports the minting and burning of Tether coins.
USDT has since migrated to other blockchains like Ethereum.
Stablecoin
As we mentioned earlier, USDT is a breed of cryptocurrency called a stablecoin.
Cryptocurrencies such as Bitcoin, Ethereum, and many others are notorious for their volatility (i.e., their price fluctuations). This volatility makes it difficult for users to transfer value from USDT 투자 one country to another without incurring high fees and experiencing long delays.
Stablecoins were created to keep cryptocurrency values stable, provide more stability to the crypto market, and prevent the price of cryptocurrency from fluctuating wildly from one moment to the next.
When the price of a specific coin remains stable (because it’s paired with USDT), investors can then use that coin pair as a more reliable medium of exchange and method of value storage, instead of just a speculative investment (whose price may go up or down at any moment).
Fiat-Collateralized
In addition to being a stablecoin, USDT is also fiat-collateralized.
This is in sharp contrast to the other two categories into which stablecoins can fall:
- Crypto-collateralized (which use cryptocurrency reserves as collateral)
- Non-collateralized (which operate like a reserve bank to maintain the necessary supply of tokens)
A fiat-collateralized token is tied to the value of a fiat (or government-backed) currency — typically the U.S. dollar, the euro, or the yen.
Theoretically, the value of one USDT is roughly equivalent to the value of the U.S. dollar and can be traded at any time for that currency. However, in March 2019, Tether updated its disclosure statement to claim that its tokens are no longer backed 100% by U.S. dollar deposits.
Instead, Tether is now backed 100% by reserves, which include:
- Traditional currency
- Cash equivalents
- Other assets and receivables from loans made by Tether to third parties, which may include affiliated entities
That, along with other events, started a controversy around USDT that is still raging today. We’ll discuss more about the controversy surrounding USDT’s fiat-collateralization later on in this article.
Centralized
USDT is a centralized cryptocurrency. That simply means that a single authority — such as a government, bank, or company — issues and controls the currency.
If you have a debit card or credit card in your wallet, the issuing bank or company is the centralized authority. For USDT, the Tether tokens are issued by Hong-Kong-based Tether Limited, which, in turn, is controlled by Bitfinex/iFinex Inc.
Most cryptocurrencies, however, are decentralized, meaning they don’t rely on a government, bank, or business. Instead, they use an interwoven system of users and their devices to manage the coins.
The decentralized nature of these tokens means that users don’t need a third party (e.g., a bank) to transfer wealth or ownership — they can do it right on the blockchain.
Controversy Surrounding USDT
Earlier, we touched on the fact that USDT is a fiat-collateralized cryptocurrency, which means that it is tied to and backed by the U.S. dollar.
At least, that’s what Tether Limited, USDT’s issuing company or centralized authority, claims. However, this claim hasn’t been verified.
In January 2018, Tether Limited failed USDT 투자 to conduct the necessary audit to ensure that the company was maintaining its real-world reserves (its fiat-collateralization). Instead, the company announced that it was parting ways with the firm that would have conducted the audit.
Soon after, the U.S. Commodity Futures Trading Commission (CFTC) issued subpoenas to both Bitfinex and Tether Limited disputing their claims that Tether is “always backed 1-to-1 by traditional currency held in our reserves.”
Since then, and because of Tether Limited’s lack of transparency, many in the crypto market worry that the company doesn’t have enough in its reserves to back the Tether coin as they claim.
But the matter didn’t stop there. In April 2019, New York Attorney General Letitia James accused Tether Limited’s parent company of hiding a loss of U.S. $850 million worth of client and corporate funds from investors.
In court filings, the New York Attorney General claims that this money was given to Crypto Capital Corp. (a Panamanian entity) without contract or agreement and that Bitfinex allegedly took at least U.S. $700 million from Tether’s cash reserves to hide the gap in the accounting.
Then, in October 2021, the U.S. Commodity Futures Trading Commission (CFTC) alleged that Tether Limited made misleading statements about having sufficient dollars to back all the Tether coins in circulation.
Because of that, Tether agreed to pay a $41 million fine USDT 투자 but continued to assert that all USDT are backed by the company’s reserves: a combination of cash, commercial paper, other crypto, and similar securities.
In other words, USDT is redeemable 1:1 for dollars, but it’s not fully backed by legal tender alone.
Despite this ongoing controversy, USDT continues to be a popular cryptocurrency. Here’s why.
Advantages Of USDT
1) Stability
One of the biggest advantages of USDT is that it is much more stable than traditional cryptos, like Bitcoin and Ethereum.
This gives investors an alternative that is less of a risk and makes it a bit easier for them to get involved in the market.
USDT serves as a gateway cryptocurrency through which more and more people can start buying, selling, and trading without as much inherent risk.
2) Fewer Fees
Because of the way USDT is structured, there are fewer fees on transactions associated with the Tether coin.
This makes it more attractive to investors who want to minimize the capital they lose during transactions and maximize their profits.
3) Bridge Between Tokens
Pairing a traditional token with USDT — as opposed to actual fiat currency — makes it easier to conduct crypto-to-crypto and crypto-to-fiat-currency transactions.
The presence of USDT in the trade stabilizes the price of the pair, lowers costs, and reduces delays that often impede crypto-to-crypto transactions.
4) Access To Unavailable Areas
Because USDT is a fiat-collateralized stablecoin, it facilitates transactions in areas that are unavailable for straight cash trading.
This gives cryptocurrency users a wider geography in which to operate while making it easier to bring the cryptocurrency market to a more mainstream audience.
Ultimately, that’s one of the first steps toward scaling up the cryptocurrency market so it can compete with other financial markets.
Disadvantages Of USDT
1) Backing Controversy
As we discussed, Tether Limited claims that USDT is redeemable 1:1 for dollars but is not fully backed by legal tender alone.
This ongoing controversy over the coin’s true collateralization means there’s no way to tell if it is fully guaranteed or not.
2) Fluctuating Price
Even though USDT was designed to be stable (linked to the U.S. dollar), its price does fluctuate above and below the price of that fiat currency.
Typically, this isn’t a major issue as the price only varies by a few cents here and there. But, if you decided to invest in a large amount of USDT, the difference could really start to add up.
3) Limited Availability
While USDT is available on a large number of exchanges, it’s not available on all of them. This lack of penetration could cause issues if the exchange you choose doesn’t offer access to the Tether coin.
Invest In USDT With Vauld
Now that we’ve answered the question, “What is USDT?” you’re all set to make an informed decision on whether or not to include it in your portfolio.
Whether you’re lending, borrowing, or trading USDT (or any crypto/USDT pair for that matter), choose Vauld for the best benefits and features across the board.
Partnering with Vauld means receiving competitive crypto interest rates on USDT in addition to quality customer service, an arsenal of security features, a knowledgeable community of like-minded crypto users, and so much more.
Sign up with Vauld today to experience all of the benefits that an innovative and customer-centric crypto exchange has to offer.
USDT로 이자받는 적금 전략
최근에 양적 완화로 인해 현금 자산에 대한 가치 하락이 올것이라는 우려가 지속되면서 주식과 부동산등에서도 가격적으로 상승이 되고 있는 현상을 지켜볼 수 있습니다.
물론 국내의 경우는 부동산의 경우는 가급적 투자의 대상으로 삼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정책을 펴고 있는 중이라 연초에 부동산 투자에 대한 추가 조치와 주식에 대한 완화 조치를 통해서 유동자금의 이동을 장려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일반인들의 경우는 보통 안전하다고 할 수 있는 은행에서 초저금리 시대에 맞게 낮은 이자를 받고 적금을 들거나, 조금더 공격적으로 했을 경우 펀드 가입등을 통한 이자 수익을 만들어가고 있는 중입니다.
물론 은행 이자상품중에는 현재에 비해 비교적 높은 이자를 지급해주는 상품들도 더러 존재하지만, 이는 USDT 투자 상세하게 들여다보면 신용카드 신청과 최소 금액 사용등을 통해서 이자율을 높이는 방법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소비를 통한 이자를 받는 방식입니다.
결국 언제나 리스크가 높은 만큼 그 수익률이 높아지는것은 바뀌지 않는 진리입니다. 암호화폐 투자의 경우는 가격 변동폭의 대한 리스크가 큰 USDT 투자 만큼 그만큼의 수익이나 손실 역시 크고 작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암호화폐 투자중에 잘 모르시는 부분중 한가지가 스테이블코인이라는 종류의 토큰입니다.
크립토닷컴 스테이블 코인 이자율
1. 스테이블코인이란
스테이블코인의 시총 - 출처 coinmarketcap
한국 거래소의 경우는 원화와 암호화폐간 거래가 직접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사실상 가격이 안정화된 토큰이 따로 필요하지 않아서 그 사용용도에 대한 원리를 이해하지 못하시는 분들이 가끔가다가 있습니다.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봤을 때 자신의 통화로 직접 암호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페어링이 있는 나라는 한국외에 몇개 국 없습니다. 미국, 유럽 암호화폐시장의 경우에도 자국의 통화를 (USD, EUR) 이용해서 곧바로 거래를 할 수 있는 거래소는 흔하지 않고 또한 입금 절차 역시 비교적 까다롭거나 오래 걸립니다.
암호화폐를 거래하는 투자자분들의 경우는 그렇기 때문에 한국 거래소에서 거래를 하지 않을 경우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서 스테이블코인 형태의 토큰을 이용하고 투자했던 종목에 대한 수익을 보관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됩니다.
스테이블 코인의 종류에는 USDT나 USDC와 같이 특정 단체에서 만든 스테이블코인이나 바이낸스와 같은 거래소에서 만든 자체적인 스테이블코인과 같은 BUSD같은 것들, 메이커다오의 DAI와 같이 탈중앙화된 담보 보증형 스테이블코인 등이 다양하게 있습니다. 이 스테이블코인들을 상세하게 들여다보면 나름대로의 논리적 문제가 없는것은 아니나, 우선 거래량이나 패턴으로 봐서 일반적으로 페어링한 가격별 통화를 비교적 잘 유지를 해줍니다.
USDT의 경우는 암호화폐 자산의 시총중 3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USDC의 경우는 11위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 스테이블 코인을 통한 이자 수익
암호화폐 시장의 경우 일반 은행과 같이 임대사업이 성행하고 있습니다. 은행과 같이 중앙화된 거래소에서 제공을 하는 경우도 있고, 탈중앙화된 형태로 P2P 거래를 알선해주는 방식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스테이블 코인을 빌려가는 수요층이 있으며, 빌려갈때 이자를 지불하고 빌려가게 됩니다. 이런 시장이 있는 관계로 스테이블 코인데 대한 지속적인 수요와 이를 빌려서 투자나 거래를 하는 투자자들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이자율이 비교적 높게 책정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그만큼 가격에 대한 변동성이 일반 암호화폐와는 달리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물론 예를 들어 USD 자체가 가격이 상승하고 하락할 경우 그 영향을 그대로 받겠지만, 일반 암호화폐처럼 변동성이 크지는 않습니다.
자신의 암호화폐나 스테이블 코인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을 수 있는 곳은 여러곳이 있으며, 그에 따른 리스크역시 국가에서 제공하는 은행 예금자 보호법과 같은 것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확실히 알고 투자를 해야합니다.
1) 탈중앙화된 플랫폼의 이자 수익
여기에서는 특히 이더리움 기반의 탈중앙화된 렌딩 시스템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들여다볼 예정은 없습니다. 일명 DeFi (탈중앙금융)의 근본중 하나로 암호화폐를 빌려주고 빌려갈 수 있는 탈중앙 시스템들에서 발행하는 스테이블 코인 형태의 담보 시스템은 이더리움 뿐만 아니라 트론, 이오스등에서도 존재하기 때문에 폭이 너무 넓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한가지 알고 넘어가야 하는 것은, 탈중앙화된 프로젝트에 자신의 암호화폐를 맡기고 이자수익을 만들어갈때에는 이것은 스마트 컨트랙트라는 프로그램에 의해 완전 자동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이 스마트 컨트랙트라는 것은 일반이이 볼때는 일종의 자동 수행 프로그램이라고 보시면 되고, 블록체인에서 한번 실행이 되면 그 규칙에 따라서 작성자 조차 변경을 할 수 없는 프로그램입니다.
문제는 USDT 투자 이 프로그램 자체가 버그나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이미 블록체인에서 돌아가고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경우는 되돌릴 수 가 없기 때문에, 해당 자산의 경우는 해킹이 되거나 유실이 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는데 있습니다. 실제로 스마트컨트랙트 오류로 자산이 유실되거나 해킹되거나, 아예 처음부터 스캠을 위해 개발되어서 투자자들의 자산을 갈취해간 경우도 있습니다. 그만큼 탈중앙화된 플랫폼에서 이자수익을 위한 DeFi를 할 경우에는 운영자의 신뢰도가 어느정도인지를 판단하고 참여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중앙화된 플랫폼의 이자 수익
중앙화된 플랫폼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거래소를 뜻하게 됩니다. 한국 거래소들의 경우는 아직 대출 시스템이 따로 존재하는 경우가 적어서 이것은 해외 거래소를 통해서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후오비, 바이낸스, 크립토닷컴의 대출 이자 프로그램등이 이런 중앙화된 플랫폼에서 이자수익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플랫폼마다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은행과 같이 어느정도 요건을 충족해야지 이자를 지급해주는 USDT 투자 방식도 일정 부분 있습니다. 보통은 각 거래소의 토큰을 보유하거나 스테이킹등을 할 경우 기본 조건이 충족되거나 상향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자수익 모델링의 경우는 크립토닷컴의 경우를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 거래소 토큰인 CRO 소유및 스테이킹시 이자율 2% 상승
- CRO 스테이킹에 따른 최대 예금 금액 상승
- 스테이블코인 예금 프로그램 최대 3개월 예치
- 예치 가능한 스테이블코인: USDT, DAI, PAX, TAUD, TCAD, TGBP, USDC
크립토닷컴의 경우는 거래소 자체 토큰인 CRO를 스테이킹할 경우 2%에서 최대 4%까지 이자율이 상승이 됩니다. 하지만 전혀 스테킹을 하지 않고, 즉 CRO를 전혀 소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스테이블 코인 예금시 시나리오를 살펴보겠습니다.
구분 | CRO 없음 | 5,000 CRO 이상 | 50,000 CRO 이상 | 500,000 CRO 이상 | 5,000,000 CRO 이상 |
유동성 | 6% | 6% | 8% | 8%+2% | 8%+2% |
1달 | 8% | 8% | 10% | 10%+2% | 10%+2% |
3달 | 10% | 10% | 12% | 12%+2% | 12%+2% |
우선 자신은 거래소 토큰의 경우는 따로 소유하고 싶지 않다고 할 경우, USDT만 입금을 하고 묶는것 조차 싫다고 할 경우 유동성으로 언제라도 다시 출금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가 가능하며 총 연간 6%의 이자를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한가지 최소 조건은 250USDT 이상의 입금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원화를 USDT로 전환해서 총 5,000 USDT를 만들어서 크립토닷컴 앱에 입금후 유동성 (Flexible) EARN 프로그램에 넣었을 경우 일주일마다 이자가 지급이 됩니다. 이주일에 약 5.77 USD가 이자로 지급이 되며, 유동성의 경우는 250 USDT정도를 인출후 이자분을 더해서 다시 곧바로 입금하는 방법을 통해 주단위 복리 효과를 노릴 수도 있습니다. 연간으로는 약 300 USDT의 USDT 투자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2021년 10월달의 암호화폐의 세금화가 이루어질 경우 총 23%의 세금이 발생하는 관계로 231 USDT의 이자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CRO라는 거래소 토큰을 전혀 보유하지 않고 3달씩 예금으로 처리할 경우 연간 500 USDT의 이자가 발생이 되며, 세후에는 23%를 제한 경우 385USDT의 이자수익이 발생합니다.
가격 변동성이 있는 CRO를 구매해서 스테이킹후 이자수익을 책정할 경우 크립토닷컴의 경우는 최소한 2021년 1월 18일부터는 5만 CRO이상이 스테이킹되어 있어야지 합니다. 포스팅 시점시 1 CRO에 약 0.065 USD정도하는 관계로, 약 3,250 USD의 초기 투자가 필요합니다. 또한 CRO의 가격 변동에 따라 CRO 포트폴리오가 생기는 관계로 이부분에 대한 이익이나 손익 역시 있을 수 있습니다. 대신에 5만 CRO 이상을 스테이킹할 경우 연간 10%의 CRO 이자 지급이 되는 관계로, CRO의 가격이 연간 10% 이상 떨어지지 않을 경우 CRO 자체는 투자 이익이 될 수 있습니다.
계산상으로는 약 3만5천 USDT 정도를 3개월 EARN으로 운영했을 경우 1년후에 CRO의 투자자금 이상의 이자수익을 기대할수 있습니다. 3개월 EARN으로 운영시 연간 4,200 USDT의 이자수익과 5만 CRO에 대한 5,000 CRO가 투자수익으로 남게 됩니다. 이것은 세후로 계산했을 경우 23%를 제하고 3,234 USDT와 3,850 CRO가 됩니다. CRO의 경우 가격 변동이 없었다고 가정했을 경우 총 투자 수익은 3,484 USDT정도가 됩니다. 필요할 경우 이자로 받은 USDT와 CRO로 받은 이자수익분 역시 USDT로 전환해서 3개월마다 추가로 EARN에 넣었을 경우 3개월 복리로 이자수익을 최대화할 수 있습니다.
a) 중앙화 플랫폼의 이자수익의 리스크
중앙화된 거래소의 이자수익의 가장 큰 리스크는 플랫폼 자체가 닫거나 없어지는데 있습니다. 즉, 중앙화된 거래소 플랫폼들의 경우는 결국 이익을 추구하는 사기업들이며, 해외 거래소인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국내 투자자로 투자금에 대한 보호를 받기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거래하고자 하는 플랫폼의 신용도와 신뢰도등을 판단하고 거래를 해야지 자산의 유실이나 분실등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b) 중앙화 플랫폼 이용의 장점
일반적으로 암호화폐의 탈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의 경우는 블록체인위에서 직접 거래를 하는 관계로, 해당 블록체인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사용 방법등을 알고 참여를 하는것이 추천이 됩니다. 또한 탈중앙화된 플랫폼의 경우 중앙화 플랫폼과 달리 직접적으로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주최가 누군인지를 모르는 경우도 일부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주최가 누구인지 모를 경우 해당 탈중앙 금융을 관장하는 스마트컨트랙트를 믿을 수 있는지 없는지가 관건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중앙화된 플랫폼의 경우도 운영 주최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도 분명히 있으며 똑같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중앙화 플랫폼의 이자 프로그램들의 경우는 보통 간편하게 앱이나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한 접속만으로 쉽게 참여가 가능하기 때문에 탈중앙 금융의 장벽보다는 확연히 낮은 장점이 있습니다.
3. 크립토닷컴 가입하고 보상받기
크립토닷컴앱과 크립토닷컴 거래소의 레퍼럴 링크는 구성이 다르게 되어있습니다. 저의 레퍼럴 링크를 바탕으로 예를 들어드리겠습니다. 특히 비자카드는 현재 발급이 안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1월 18일부터 최소 스테이킹 요건이 2배로 뛰고 있는 관계로, USDT 예금등과 같은 프로그램 이용을 위해서 가입을 하는것도 좋은 방법중 하나입니다.
- 크립토닷컴 앱 - 비자카드 만들기 레퍼럴 (현재는 한국에서는 카드 발급이 안되고 있습니다.) : platinum.crypto.com/r/jayplayco - 하지만 지금은 가입을 하더라도 한국에서는 카드 발급이 안됨
- 크립토닷컴 거래소 레퍼럴 (최대 50USD 만큼의 CRO 받기) : auth.crypto.com/exchange/signup?ref=jayplayco
끝에 있는 jayplayco 레퍼럴 부분은 같으나, 링크의 구성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 가입과 홍보가 되어야합니다. 아직 거래소에 가입하지 않은신 분들은 제 레퍼럴로 가입을 하시고 최소 5000 CRO 를 스테이킹하시고 보너스 CRO를 받아가면 좋겠습니다.
Referral Program
You can earn USDT tokens for inviting new users to join USDTminer. The USDTminer contract has a direct, one-level referral system that rewards referrer when invited users withdraw their tokens. Promote your referral link and earn 8% referral rewards.
How to start mining
Help and instructions for DeFi Eco System
complete 5 simple steps
ENTER USDT AMOUNT
CLICK "HIRE MINERS"
MINERS FIND TOKENS
1. Send USDT To Metamask/Trustwallet wallet on Binance smart Chain Network (BSC).
2. In Metamask/Trustwallet Browser Connect to PANCAKESWAP and swap you'r USDT to USDT
(USDT-INFINITY Token)
3. At USDTminer.org site:
A. Approve the amount of USDT token you wish to spend.
B. Enter the USDT amount to Hire Miners.
C. Click Hire miners.
D. Compound Daily to hire more miners to increase you'r profit.
E. Withdraw Profit using the "Pocket Your USDT" button.
The object of the game is hiring more miners, sooner and more often than other players. This in turn earns you more USDT faster. Hiring more miners using your daily USDT earnings will 3x your miners within 30 days or less.
Verified Public Contract
The USDTMiner contract is public, verified and can be viewed here on BscScan.
USDTMiner pays 16% daily, according to the current mining efficiency rate. The mining efficiency rate rises and falls as you and other players hire miners, compound earnings and pocket USDT.
Sustainability
USDTMiner pays a modest 16% daily, allowing investors to rest easy knowing that their investments have unlimited growth potential and a maximum, improbable risk of less than 16%.
WARNING: USDTMINER is subject to high risk. Please make your investment cautiously. Smart Miner and USDTMINER will not be responsible for your investment losses. Crypto markets and Blockchain technology are high risk! Always do your own due diligence.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