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월드뉴스=정은상 기자] 이스트소프트는 14일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1년 매출액 894억 원, 영업이익 124억 원을 기록했다고 잠정 공시했다.
이스트소프트 2021년 잠정 요약 실적 (데이터제공 : 이스트소프트 / 이미지정리 : CCTV뉴스)
회사 측 공시에 따르면 전년 대비 매출액은 6.9% 증가한 894억 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111.0% 대폭 성장한 124억 원으로 2배 이상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모두 창사 영업이익 이래 최대 실적이다.
또한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41.3% 상승해 101억 원으로 나타났다.
회사 측은 “영업이익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포털과 커머스 분야에서 매출이 주춤했음에도 불구하고, 소프트웨어, 게임, 테크핀 등 기존 및 신규 사업의 고른 성장세가 이번 호실적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스트소프트는 2012년 이후 단 한 번의 꺾임 없이 지속해서 매출의 성장세를 이어오는 중이다”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지난해 ▲보안, 유틸리티의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와 기업의 제휴 광고 매출은 지속해서 증가했고, ▲이스트게임즈의 카발 모바일 역시 동남아 지역으로 사업을 확대하면서 이번 실적 성장에 기여했다. 또한, 미래 주력 사업의 한 축으로 투자를 지속해 왔던 ▲테크핀 사업의 성과가 자산운용 부문에서 크게 창출되면서, 신사업에 대한 투자가 이제 결실로 반영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이스트소프트는 2020년 2분기 흑자 전환 이후 꾸준한 매출 성장과 함께 수익성도 동반 상승하며 2021년부터는 영업이익률 두 자릿수를 유지해 왔다. 이는 가시화된 신사업 성과와 이에 더해 외형 확대에 따른 영업 레버리지 효과로 안정적인 수익 창출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올해는 ▲버추얼 휴먼을 필두로 회사가 오랜 기간 공들여 온 AI 기반 메타버스 사업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테크핀 사업 확장을 위한 금융 신사업 론칭, ▲코빗과 MOU를 체결하며 출사표를 던진 게임사업 부문의 NFT 사업, ▲방문자 수를 빠르게 늘리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는 안경 커머스 사업 등에 주력해 올해 목표 매출 일천억 원을 돌파한다는 계획이다.
이스트소프트 관계자는 "메타버스 관련 기업 중 당사와 같이 유의미한 매출과 흑자를 내는 곳은 드물다”라며 “안정적인 캐시카우에 영업이익 기반해 다양한 신사업을 자력으로 전개할 수 있는 체력을 가진 만큼 올해 역시 경영의 내실을 다지면서, 이와 동시에 신사업 성장 가속화에도 집중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스트소프트의 2021년도 잠정 실적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기사보내기 URL복사(으)로 기사보내기 기사저장 다른 미디어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3개 항목 차이점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은 재무제표의 손익계산서에서 항상 보게 되는 항목입니다. 수익(매출)과 이익의 개념은 다릅니다. 수익은 총이익을 말합니다. 이익은 총이익에서 각종 비용을 뺀 비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식 투자를 하는데 영업이익 영업이익 1,000 만원을 대출 받아 2,000 만원이 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매출은 2,000만원입니다. 이자 및 수수료 등을 합한 1,100 만원의 비용이 발생하고 900만원의 비용이 이익이 되는 것입니다. 단순하게 예를 들어 비교했는데 손익계산서 상의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은 회사의 성적표를 확인하는 중요한 항목입니다.
네이버 주요재무정보에서 보면 상단에 항상 매출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기재되어 나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년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법인 회사는 경영 실적을 나타내는 사업보고서를 제출하며, 재무제표 내 손익계산서에서 매출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매출(sales)
매출(수익)은 식당에서 고객에게 판매한 전체 수익입니다. 평균 단가 7,000원 의 음식을 팔아 한달에 1,000만 원의 수익을 냈다면 1,000만 원이 매출이 됩니다.
2. 영업이익EBIT(Earning before interest and taxes)
영업활동에서 발생한 이익을 영업 영업이익 이익이라고 하며, 영업이익은 1,000만 원의 매출에서 매출 원가(식재료 비 등의 원재료)와 판관비 (급여,임대료,공과금 등)를 차감한 금액입니다. 매출이 아무리 좋더라도 영업이익에서 남지 않는다면 해당 기업은 적자 기업입니다.
3. 당기순이익(Net Income)
당기순이익은 당 회계 년도 동안에 발생한 순이익입니다.
예를 들어 식당을 운영하는 개인 사업자가 영업이익에서 영업 외 손익( 예금이자 , 부동산 투자 수익 등)을 더하고 영업 외 손실(대출 이자 등)과 세금(법인의 경우 법인세 등)을 뺀 순수한 이익을 당기순이익입니다.
주식 투자와 더불어 사업을 시작할 때에도 매출만 볼 것이 영업이익 아닌 기업의 실제 실력인 영업이익에 대해 체크하고 일시적으로(부동산 매각 등)인 요인으로 순이익이 늘었는지 등을 체크한 후에 계획을 세우고 투자해야 하는 게 기본이라고 생각합니다. 위 말씀드린 3가지 항목은 기업이 제대로 된 영업 활동을 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재무제표 항목에서의 중요한 지표입니다. 매출이 아무리 좋더라도 영업 이익이나 판관비 등을 뺀 순이익이 마이너스일 경우 적자 기업이기에 실적을 따라가는 주가에서 투자할 가치를 염두해 두어야 합니다.
[투자용어] 영업이익(Operating Profit)
영업이익(Operating Profit)은 기업의 핵심 사업을 통해 벌어들인 최종 금액을 나타내는 항목으로서 손익계산서 상의 가장 중요한 항목 중 하나입니다.
영업이익은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영업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판매관리비 = 매출총이익 - 판매관리비
영업이익에서는 본질적인 사업과 직접적 관련이 없는 이자비용과 세금비용은 고려하지 않습니다.
흔히 EBIT(Earning Before Interest and tax)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Q. 다음과 같은 기업의 영업이익을 계산하시오.
매출액 = 1000억원
매출원가 = 500억원
판매관리비 = 200억원
이자비용 = 10억원
법인세 = 60억원
A. 영업이익 : 1000억원 - 500억원 - 200억원 = 300억원
영업이익은 제품의 생산, 유통, 판매에 이르는 총괄적인 효율성을 나타내는 항목으로서, 아주 중요한 수치입니다.
영업이익 또한 매출총이익과 마찬가지로 절대적인 숫자보다는 매출액에 대비한 상대적인 수치를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 / 매출액
가치투자의 대가인 워렌 버핏 또한 투자 영업이익 대상 기업을 선정할 때 영업이익률을 필수적인 기준의 하나로 사용할 정도로 영업이익률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이 시각 강세업종/테마
15
▲14
▼1
0
7
▲6
▼1
0
5
▲5
▼0
0
7
▲5
▼1
1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