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비용 절감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5월 21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Implementation of a Blockchain-based Talent Trading Platform to Reduce Transaction Costs

재능거래 플랫폼은 프로그램 코딩이나 미디어 콘텐츠 제작(동영상, 음악, 발표자료 등), 디자인, 학습, 수리 등의 거래를 중개하는 플랫폼이다. 기존 재능거래 플랫폼은 서버-클라이언트 모델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서버를 운영하는 비용과 거래에 대한 중재 인건비가 발생하여 이용자들이 높은 서비스 수수료를 부담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은 이더리움 플랫폼 기반 분산앱(dApp)으로 시스템을 통해 거래 정보를 블록에 올려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운영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아울러 스마트콘트랙트를 통해 거래 중재자 인건비를 절감하여 거래수수료를 낮추는 방법을 제안한다. 블록체인 기반 재능거래 플랫폼과 기존 재능거래 플랫폼의 비용 처리 절차 및 거래수수료의 크기를 비교 분석한다.

The talent trading platform is a platform that brokers transactions such as program coding, media content production (video, music, presentation materials, etc.), design, learning, and repair. Existing talent trading platforms provide a server-client model-based service, which incurs server operating costs and arbitration labor costs for transactions, which has a disadvantage that users bear high service fee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reduce server and database operation costs 거래 비용 절감 by uploading transaction information to blocks through the system as a distributed app (dApp) based on the Ethereum platform. In addition, it proposes a method to lower transaction fees by reducing the labor cost of transaction arbitrators through smart contracts. Compare and analyze the cost processing procedure and transaction fee size of the blockchain-based talent trading platform and the existing talent trading platform.

This work h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MSIT)(No.1711107567).

거래 비용 절감

잠깐! 현재 Internet Explorer 8이하 버전을 이용중이십니다. 최신 브라우저(Browser) 사용을 권장드립니다!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신은실 기자
    • 승인 2012.03.20 10:51
    • 댓글 0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서울=연합인포맥스) 신은실 기자 = 자본시장법 개정안 입법 추진으로 조만간 대체거래시스템(ATS)이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시장 거래 비용이 크게 절감할 것이라는 기대가 무르익고 있다.

      전문가들은 특히 ATS 도입으로 주식거래 수수료나 증권거래세 등 명시적 비용은 물론 시간지연 비용이나 시장충격비용 등 암묵적 거래 비용도 크게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일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하루 시장 전체 거래 비용 중 시장충격비용은 약 176억원에 달하며 ATS 도입으로 이 비용은 상당 부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충격비용은 주문시점의 매수 매도의 균형가격과 실제 거래가격 간의 차이를 말하는데 유동성이 작을수록, 호가단위가 클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ATS가 도입되면 유동성과 거래량이 증가하고 호가단위가 감소하면서 시장충격 비용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설명이다.

      강소현 자본시장 연구원은 "거래비용이라 하면 보통 주식거래 수수료나 증권거래세와 같은 명시적인 비용만을 떠올리기 쉽지만 사실상 전체 거래비용에서 시장충격비용 등 암묵적 거래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명시적 비용보다 훨씬 높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유가증권시장 상장 종목 전체를 대상으로 2010년 10~11월 두 달간 일 중 거래를 분석한 결과 하루평균 시장충격비용이 거래대금의 0.6%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명목적인 거래비용인 거래수수료는 매수 또는 매도 시 거래대금의 0.01~0.5% 정도이며 증권거래세가 매도 시 거래대금의 0.3% 부과된다는 것을 고려하면 시장 충격 비용 절감 효과는 상당히 큰 수준이다.

      강 연구원은 "ATS는 기존 거래소에 대한 경쟁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호가가격단위를 낮출 가능성이 크고, 거래소 또한 변화된 환경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호가 가격단위를 낮추려 할 것"이라며 "호가 가격단위에 대한 치열한 경쟁은 시장충격 비용 등 암묵적 거래비용 감소를 유발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ATS 도입 후 다양한 매매체결 시스템 개발로 대량매매 기법이 확대되고, 전체적인 유동성이 증가하는 것도 시장충격 비용을 줄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강 연구원은 "일반적으로 시장충격비용은 한 거래당 발생하는 거래규모가 늘어남에 따라 증가해 대량매매의 경우 큰 시장 충격을 유발할 수 있다"며 "즉시 매수하고자 하는 거래 규모가 커질수록 평균매수 가격은 상승할 수밖에 없고, 균형가격과 거래 비용 절감 평균매수가격의 괴리인 시장충격비용은 자연스럽게 증가하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ATS 간 교차거래나 비공개주문 시장의 경우 대량매매의 주문량만 접수하고 가격은 정규거래소를 따라 매매를 체결하므로 시장충격을 축소할 것"이라며 "ATS 도입에 따라 시장 전반적인 유동성이 증가하는 것도 시장 충격비용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ScienceON Chatbot

      Implementation of a Blockchain-based Talent Trading Platform to Reduce Transaction Costs

      재능거래 플랫폼은 프로그램 코딩이나 미디어 콘텐츠 제작(동영상, 음악, 발표자료 등), 디자인, 학습, 수리 등의 거래를 중개하는 플랫폼이다. 기존 재능거래 플랫폼은 서버-클라이언트 모델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서버를 운영하는 비용과 거래에 대한 중재 인건비가 발생하여 이용자들이 높은 서비스 수수료를 부담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은 이더리움 플랫폼 기반 분산앱(거래 비용 절감 dApp)으로 시스템을 통해 거래 정보를 블록에 올려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운영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아울러 스마트콘트랙트를 통해 거래 중재자 인건비를 절감하여 거래수수료를 낮추는 방법을 제안한다. 블록체인 기반 재능거래 플랫폼과 기존 재능거래 플랫폼의 비용 처리 절차 및 거래수수료의 크기를 비교 분석한다.

      Abstract

      The talent trading platform is a platform that brokers transactions such as program coding, media content production (video, music, presentation materials, etc.), design, learning, and repair. Existing talent trading platforms provide a server-client model-based service, which incurs server operating costs and arbitration 거래 비용 절감 labor costs for transactions, which has a disadvantage that users bear high service fee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reduce server and database operation costs by uploading transaction information to blocks through the system as a distributed app (dApp) based on the Ethereum platform. In addition, it proposes a method to lower transaction fees by reducing the labor cost of transaction arbitrators through smart contracts. Compare and analyze the cost processing procedure and transaction fee size of the blockchain-based talent trading platform and the existing talent trading platform.

      표 / 그림 (15) 모든 표/그림 보기 슬라이드로 보기

      참고문헌 (10)

      crossref

      1. 1. Kmong, www.kmong.com, (accessed June, 10, 2020).
      2. 2. Otwojob, www.otwojob.com, (accessed June, 10, 2020).
      3. 3. Soomgo, www.soomgo.com, (accessed June, 10, 2020).
      4. 4. KISTEP, Permeates into life Smart contract status and preparation tasks, KISTEP Issue Weekly 2018-40 Vol. 259, 2018.
      5. 5. Seung-Hyun Yang, Proposal 거래 비용 절감 for Smart Contract method for domestic medical system based on the colored coin, Master's Thesis of Soonchunhyang University, Chungcheongnam-do, 2017.
      6. 6. Jung-Min Shin, Proposal for the In-App Purchase System using a Blockchain-based Smart Contract, Master's Thesis of Soonchunhyang University, Chungcheongnam-do, 2018.
      7. 7. Jang, Seung il, Study on establishment of e-commerce escrow replacement platform using block chain-based smart contract, Master's Thesis of donguk University, Seoul, 2018.
      8. 8. Kyoung-Nam Lee, and Gyeahyung Jeon. "A Study on Improvement of Used-goods Market Platform Using Blockchai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6, No. 9, pp. 133-145, 2018. 원문보기 상세보기
      9. 9. Hoe-Yong Jin, and Sang-Kyun Kim, "A talent market platform based on blockchai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2019, No.11, pp. 38-40, November 2019.
      10. 10. SPRi, Blockchain Technology: Prospect and Implications in Perspective of Industry and Society, SPRi issue report 2017-004, 2017.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 DOI : 10.5909/JBE.2020.25.6.922 [무료]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 저널
      • Korea Open Access Journals : 저널
      • DBPia : 저널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거래 비용 절감

      다운로드, 열람은 기관인증 후에 가능합니다.

      (구독기관 내 IP 이용 / 대학도서관 홈페이지 통해 접속)

      개인로그인

      개인회원 서비스 이용(알림서비스, 보관함 등)

      닫기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개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아이디 찾기 비밀번호 찾기

      논문 상세보기

      KCI등재

      내부상품거래의 거래비용과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On the Estimation of Transaction Costs of the Internal Transactions within Korean Business Groups

      • 발행기관 : 한국재무관리학회
      • 간행물 : 재무관리연구 32권1호
      • 간행물구분 : 연속간행물
      • 발행년월 : 2015년 03월
      • 페이지 : 87-113(27pages)

      재무관리연구

      키워드 보기

      초록 보기

      UCI(KEPA)

      간행물정보

      • KISS주제분류 : 사회과학분야 > 경영학
      • 국내등재 : KCI등재
      • 해외등재 :
      • 간기 : 격월
      • ISSN(Print) : 1225-0759
      • ISSN(Online) : 2734-0759
      • 자료구분 : 학술지
      • 간행물구분 : 연속간행물
      • 수록범위 : 1985-2022
      • 수록 논문수 : 902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권호별 보기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후보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발행기관 최신논문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발행기관 최신논문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KISS 콘텐츠를 사전허가 없이 무단으로 크롤링 및 복제, 배포할 경우 민형사상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사업자등록번호 : 111-81-26181 통신판매업신고 : 파주-1250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조동범

      Copyright KISS. All rights reserved.

      닫기

      메인페이지로

      Data Report

      국가지식⋅
      공공저작물

      마이페이지

      닫기

      • 간행물: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구 문화산업과 법) 11권1호

      권호 다운로드시 해당 논문을 포함한 권호 거래 비용 절감 전체 논문이 다운로드됩니다.
      (40개 이상일 경우 1~40개까지)

      내가 찾은 최근 검색어

      최근 열람 자료

      맞춤 논문

      내 보관함
      공유한 보관함

      닫기

      닫기

      최근 검색어 저장

      마이페이지 > 나의 검색 히스토리에 저장되었습니다.

      닫기

      최근 열람 자료 저장

      닫기

      메인페이지로

      Data Report

      국가지식⋅
      공공저작물

      마이페이지

      닫기

      원문 보기 안내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준비 중입니다.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email protected]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원문을 볼 권한이 없습니다.

      KISS에서 서비스 중인 학술자료는 ㈜한국학술정보와 구독계약을 맺은 기관에
      소속이신 분들만 이용이 가능하십니다.

      구독기관 확인 및 문의
      - 소속된 대학도서관에 확인 / 소속된 기관의 자료담당부서
      - KISS 고객센터: [email protected]

      구독기관의 교외접속방법
      - 대학도서관홈페이지 로그인 후에 도서관 내 메뉴를 통해 접속
      - 안내: KISS 고객센터 FAQ

      구독기관에 속해 있지 않은 경우, 아래사이트에서 구매 가능합니다.

      해당 자료는 원문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해당 자료는 발행기관과의 계약 만료, 혹은 저자 요청 등의 이유로 원문이 제공되지
      않고 서지정보만 제공되고 있습니다.
      관련 상세문의는 고객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거래 비용 절감

      250만원, 고반발 금장 아이언세트, '60만원'대 72% 할인 판매!

      Photo Image

      금융권에서 가상화폐 `비트코인`의 거래 비용 절감 기반기술 `블록체인`이 부상하고 있다. 금융거래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어 블록체인 도입이 본격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LG경제연구원은 6일 `블록체인, 비트코인을 넘어 세상을 넘본다` 보고서에서 투자은행들이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할 경우 거래비용의 약 30%를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비트코인 애플리케이션에서 출발한 블록체인의 태생적 발전 경로와 무관하지 않게, 현재 블록체인 기술 도입을 가장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영역은 금융권이다.

      금융거래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는데, 한 영국 은행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술로 인한 금융업계의 비용절감 분은 2022년 기준으로 20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중앙 서버 및 거래 비용 절감 보안 시스템 구축 비용은 물론이고 거래 절차·시간 단축 및 사람에 의한 실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얻는 효과 때문이다.

      실제로 골드만삭스(Goldman Sachs), 모건스탠리(Morgan Stanley) 등 40여 글로벌 대형 은행은 미국의 블록체인 전문 스타트업 R3와 함께 `R3CEV`라는 컨소시엄을 구성해 송금과 결제 등 주요 금융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테스트하고 있다.

      우리나라 은행들도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다. R3CEV는 블록체인 적용으로 해외송금 수수료를 종전의 10분의 1 수준으로 낮출 계획을 가지고 있다.

      나스닥도 2015년부터 비상장 주식 거래에 블록체인 기술을 시범적으로 도입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나스닥에 따르면 전문투자자용 장외시장인 Nasdaq Private Market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본 결과 주문-결산-승인-펀드 이체 등 전체 거래 프로세스에 소요되는 시간은 불과 10분으로, 이는 최소 3일이 걸리던 기존 프로세스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장점이 있었다.

      한수연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초기 도입 단계에 있는 블록체인 기술은 많은 모호성을 내포하고 있어 상당히 많은 부분이 앞으로 보완되고 완성돼야 한다”며 “금융권이나 정부의 시범 사업이 먼저 도입돼 성과를 증명하면, 일반 기업들도 자신의 사업 영역에 적용할 다양한 아이디어들을 적극적으로 고민하는 단계로 진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