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한 FX용어 설명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5월 24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리눅스의 간단한 용어정리

▶ GPL (General Public License)
일반 공중 라이선스, 무료 소프트웨어 재단(FSF)과 이 재단의 GNU 프로젝트에 의해 배포되며 GNU 소프트웨어에 적용되는 공개 소프트웨어의 대표적인 라이선스 체계.

▶ 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미국표준협회, 미국의 규격·공업 표준을 제정하는 비정부 기관. 국제표준화기구(ISO)의 미국 대표 단체이다. 주요 규격 작성 기관이 제정한 규격 중, 미국 전체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에 ANSI의 규격 번호를 부여하여 ANSI 표준으로 제정

▶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미국전기전자학회, 1884년에 설립된 미국전기학회(AIEE:Americ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와 1912년에 설립된 무선 학회(IRE:Institute of Radio Engineers)가 간단한 FX용어 설명 간단한 FX용어 설명 1963년에 현재의 명칭과 조직으로 합병하여 설립된 미국 최대의 학회. 미국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의 학자와 전문 기술자 등 수십만명이 가입하고 있는 세계 최대의 전기, 전자, 전기 통신, 컴퓨터 분야의 전문가 단체

▶ SCSI
스카시, 컴퓨터와 주변장치들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일종의 하드디스크 컨트롤러

▶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
주로 IBM PC AT 호환기의 내장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읽기 전용 콤팩트디스크 기억 장치(CD-ROM) 등을 연결하는 40핀의 병렬 인터페이스 규격

▶ Appletalk
미국의 애플 컴퓨터 회사가 개발한 저가격의 구내 정보 통신망(LAN)용 프로토콜 세트.

▶ Slip/PPP
직렬 회선 인터넷 프로토콜 / 통신규악

▶ Ethernet
이더넷, 미국의 DEC, 인텔, 제록스(Xerox) 3사가 공동 개발한 구내 정보 통신망(LAN)의 모델

▶ daemon
상주 프로그램,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에 관련된 작업을 후선(background) 상태로 동작하면서 실행하는 프로그램. 처리해야 할 작업 조건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작동하여 필요한 작업을 실행

六分儀 SYSTEM

"어떻게 하면 『만화』를 잘 그릴 수 있나요?" 신코미(소학관 신인대상) 홈페이지에서 가장 많이 받고 있는 질문입니다. 하지만 이 질문에는 한 마디로만 대답할 수 없어요. 만화는 그림이나 스토리 구성 등, 다양한 기술과 센스를 요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독자를 감동시키려면 만화가 요구하는 모든 것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이 「만화가 양성 강좌」는 쌩초보자라도, "신인상을 받는다", "프로 만화가가 된다"는 목표를 가지고 만화 그리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연재가 진행될수록, 내용은 계속 심화가 되는데요, 지금까지 한번도 만화를 그린 적 없는 사람이라도 알기 쉽게 설명할 것입니다. 이 양성 강좌를 계기로 꼭 프로 만화가를 목표로 삼으십시오.

●간단한 "만화 용어"를 알아보자!

그럼, 지금부터 초급편을 시작하겠습니다. 제1회는, 만화를 그릴 때 흔히 쓰이는 용어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물론 여기서 해설하는 것 이외에도, 다른 용어들도 많지만 그건 나중에 간단한 FX용어 설명 차차 소개하겠습니다. 여기서는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골라보았습니다. 아래의 샘플 만화를 보세요.

만화의 장면 하나 하나 를 컷이라고 합니다. 이 한 페이지의 만화는 5컷으로 되어있네요. 내용에 따라 다르지만, 한 페이지에 컷을 너무 많이 넣으면 읽기 어렵게 되어 버립니다.

컷을 둘러싸고 , 컷과 컷을 떼어내서 독자가 읽기 쉽게 합니다. 컷선을 그리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샘플 만화의 두번째 컷이 그렇군요. 컷선의 기본은 사각형입니다만, 비스듬하게 하거나, 페이지의 상하 좌우로 자르는 식으로 변용할 수 있습니다.

등장인물의 대사를 둘러싸고 있는 선 이 말풍선입니다. 타원형이 기본이지만, 고함과 같은 큰 소리의 경우에는 그 모양을 바꿈으로써 강조합니다. 5컷의 여학생의 말풍선이 그렇네요.

등장인물 을 캐릭터라고도 합니다. 만화의 꽃이지요.

말 그대로 뒤에 배경으로 그려져있는 그림 입니다. 1컷과 4컷은 강조효과선을, 5컷은 복도를 배경으로 삼았군요. 배경은 등장인물의 마음을 표현하거나, 현재 있는 장소를 알려주는데 도움이 됩니다.

무늬나 도형, 농담 등이 인쇄된 라벨 입니다. 커터칼등으로 잘러서 인물의 짙은 부분이나 배경에 붙입니다. 샘플만화의 인물의 복장은 모두 톤으로 처리하였습니다.

펜으로 그린 글자 입니다. 말풍선등을 사용하지 않고 소리 등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3컷의 「응응」과 4컷의 「고고고고」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말풍선 안의, 등장인물이 말하는 말 입니다.실제 만화에서는 '사진식자'라는 전용 문자를 사용합니다. 응모 만화에서는 연필로 그리시면 됩니다.

머리카락 등을 검게 칠하는 것 을 "먹칠한다"고 합니다. 붓이나 굵은 사인펜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금까지 기본적인 만화 용어에 대해 소개하였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이 샘플 만화를 예시로 들어, "한 페이지의 만화를 그리는 과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기대하십시오!

시각 디자인의 기본 용어 설명 2편

1편과 마찬가지로 공부를 위한 용어 설명들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에게 좋은 정보가 되었기를 바랍니다.

가독성(Readability)

문자에 대한 판독 가능의 정도로 쉽게 말하면 쉽고 편하게 읽히는 정도를 말합니다.

가시성(Visibility)

눈에 띄는 정도를 말하며 대상의 크기나 색감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라데이션(Gradation)

규칙적인 변화나 점진적인 추이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색 A, B가 있을 때 자연스럽게 A색에서 B색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색의 경계가 없습니다.

모티브(Motif)

행동을 일으키는 원동력을 말하는 것으로 작품을 만들었을 때의 간단한 FX용어 설명 만든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세리프, 산세리프(serif, sanserif)

각각 한국어로 명조, 고딕이라고 하며 끝맺음 장식을 돌출 형태로 나타내면 세리프라고 하며 돌출 형태가 없는 것을 산세리프라고 합니다.

※ 산세리프(sanserif)에서 san은 없다를 의미하기 때문에 구분할 때 알아두면 좋습니다.

아이콘(Icon)

말이나 글보다 간단한 그림으로 상징성을 표현합니다. 대중적인 느낌으로 공공성의 의미는 없습니다.

색의 삼속성(색상, 명도, 채도)

  • 색상(Hue)
    빨간색, 노란색, 녹색, 파란색, 보라색이 순환적으로 반복되는 스펙트럼에서 발견되는 색이나 빛의 특별한 파장을 간단한 FX용어 설명 말합니다.
  • 명도(Value)
    명도, 브라이트니스라고 하며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말합니다.
  • 채도(Saturation)
    색의 선명함을 말합니다. 원색에 가까울수록 채도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ex) 빨강에 하얀색을 더하면 명도는 높아지고 채도는 낮아집니다.

카툰(Cartoon)

만화적인 그림에 유머나 아이디어를 넣어 완성한 그림

클라이언트(Client)

보통 의뢰주를 가리키는 말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텍스쳐(Texture)

대상을 평면적으로 표현했을 때의 시각적인 표면 효과로 간단히 말하면 질감이 느껴지는 시각적인 효과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색의 두드러짐의 정도를 톤이라고 보시면 되고 보통 투명도를 주어서 톤을 조절합니다.

패턴(Pattern)

시각 요소가 반복을 통해 나타난 일련의 시각적 형태를 표현할 때 쓰이는 용어입니다.

픽셀(Pixel)

디지털 이미지를 이루는 최소한의 점을 픽셀이라고 하며 특정 이미지의 픽셀의 총 수를 이미지 해상도라고 합니다.

DPI(Dot per inches)

모니터나 프린터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1인치(약 2.54cm)간단한 FX용어 설명 당 표현되는 점의 개수를 말합니다.

형, 형태(Shape, Form)

간단히 말해 형은 2차원 도형이고 형태는 3차원 도형입니다.

POP Design(Point of purchase Ddsign)

고객의 구매 시점에서 만들어지는 디자인으로 직접 체험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구매 욕구를 높일 수 있습니다.
ex) 마트 시식 코너, 화장품 가게 샘플

삼성물산 건설부문 블로그

내 집 마련을 할 때, 혹은 집을 빌릴 때! 처음 듣는 어려운 부동산 용어들 로 당황했던 적, 모두 있으시죠? 특히나 부모님과 함께 살아오거나, 기숙사 생활을 하던 분들은 처음 부동산을 방문하는 것이 많이 망설여지실 것 같습니다.

부동산 초보인게 티 나면, 혹시나 손해를 보진 않을까 걱정되실 텐데요. 어려운 취업장벽을 뚫고 삼성물산에 입사하게 된 부동산 초보 이 사원과 함께 꼭! 알아야 할 부동산 용어들 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어려운 취업장벽을 뚫고 삼성물산에 입사하게 된 이 사원은 본사가 살고 있는 집과 가까워 너무나 만족스러웠는데요. 남부럽지 않은 회사 생활 중, 새로 발령받은 업무현장이 현재 살고 있는 집과 멀다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이 참에 이 사원은 홀로서기를 결심하고, 들뜬 마음으로 부동산 중개업자와 대화를 나누는데 예상치 못한 새로운 장벽을 맞았 습니다. X-0

그냥 깨끗한 집 하나 구해서 짐만 옮기면 되는 줄 알았는데. 근저당? 등기부등본? 근린생활시설? 전세권 설정? 어려운 부동산 용어로 멘붕에 빠졌답니다. :-( 지금부터 이 사원을 혼란 속에 빠트린 부동산 용어들을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 필수 용어 사전 정리 #1. 등기부 등본

부동산에 관한 소유권과 권리관계 등이 기재된 장부 로 집을 구할 때 가장 중요한 서류입니다. 등기부 등본 발급은 등기소 및 대법원인터넷등기소(링크) 등에서 발행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TIP) 등기부등본은 표제부, 갑구, 을구! 딱 이 세가지가 중요해요!

토지/건물의 소재지 지번, 지목, 종류, 구조, 면적을 표시합니다. 건물내역에서 건물의 법적 용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유권에 관한 권리변동을 기재한 부분입니다. 소유권의 보존에서부터 이전된 사항, 소유권이전을 제한하는 압류 및 가압류, 가등기, 예고등기, 경매관련 사항을 나타냅니다. 소유권에 대한 변동이 많을수록 장수가 늘어나겠죠?

[갑구]에 소유주에 대한 사항이 기재되어있다면, [을구]는 소유권 이외의 물권에 대한 사항을 기재한 부분입니다. (근)저당권, 전세권, 지상권, 지역권, 임차권 등의 각종 권리의 설정, 말소 등의 사항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부동산 필수 용어 사전 정리 #2. 저당권/ 근저당권

저당권 이란 재산을 담보로 확보하는 `물건에 대한 권리 (담보물권)`로 물건에만 설정 이 가능합니다. 등기부등본 상에서 자주 접하는 근저당권채권최고액 을 이용하여 담보물권을 정하는 방법입니다. 실제로 대출받은 금액보다 더 많은 금액을 설정하여 채무불이행이나 연체 시, 발생하는 손실에 대비하는 것으로써 실제로 대출받은 금액의 120~130% 정도이니 혼동하지 않도록 해주세요!

부동산 필수 용어 사전 정리 #3. 건물의 법적 용도

건물의 법적 용도 에 따라 중개수수료 가 다르게 측정됩니다. 다가구, 다세대 등 주택의 경우 중개수수료에 한도액이 정해져 있으나(서울시 기준), 주택 이외의 용도(토지, 사무실, 상가 등)로 등록되어있다면 중개수수료에 불이익이 있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TIP) 등기부등본을 떼어 보니 근린생활시설로 나와요!

원칙적으로 근린생활시설은 슈퍼마켓 등 생활편의시설을 의미하는 데요. 최근 임대사업자가 늘면서 아래는 상가, 위는 원룸으로 불법 개조하여 임대를 하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이에요!

부동산 필수 용어 사전 정리 #4. 확정일자와 전세권 설정등기

보증금을 보호 받기 위한 가장 간단한 방법은 `확정일자` 를 받는 것입니다. 입주할 집이 있는 곳의 관할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전입신고를 한 후, 임대차계약서에 확정일자를 받으면 됩니다.

보증금을 보호받는 또 다른 방법으로 `전세권설정등기` 가 간단한 FX용어 설명 있습니다. 서류를 구비하여 관할 등기소에서 소유주 부동산의 등기부에 임대차에 대한 권리를 기재하는 것입니다. 등기부에 전세권설정을 할 경우, 제 3자가 해당물권의 등기부등본을 뗐을 때, 전세권자의 전세금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TIP) 전세권 설정 등기는 절차와 비용이 들어요!

전세권 설정 등기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집주인의 동의가 필요한데요. 절차나 비용 또한 확정일자를 받는 것에 비해 높은 편이여서 전세 집을 얻을 경우, 통상적으로 확정일자를 받는 답니다. :)

이 사원은 어렵게 구한 집에서 자취 노하우를 유감없이 발휘하며 지내는데요. 어느덧 대리로 승진하고, 결혼까지 앞두게 되었습니다. 결혼 준비의 꽃! 신혼 집을 구하려던 차, 최근 분양 을 시작한 `래미안`을 한 번 알아보았습니다. 주변에서 신혼부부 특별공급으로 청약을 넣어보라는 조언을 듣고, 제대로 확인해보고자 깨알 같은 글씨로 쓰여진 입주자 모집공고와 분양관련 책자를 찬찬히 살펴보았습니다. +_+

`. 그냥 중개소에서 전셋집을 알아볼까?` 부동산 간단한 FX용어 설명 고수라고 생각하고 있던 이 사원은 제2차 멘붕에 빠졌답니다. X-(

대체 면적은 어떻게 봐야 하는 건지, 이게 작은 평수인지 큰 평수인도 가늠이 않되고, 가지고 있는 청약통장으로 간단한 FX용어 설명 래미안을 청약할 수 있는지, 대지지분은 또 뭔지! 이번에도 어려운 부동산 용어들 때문에 선뜻 청약신청을 하기 어려웠는데요.

이번에는 분양에 필요한 부동산 필수 용어들 을 하나씩 간단한 FX용어 설명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D

부동산 필수 용어 사전 정리 #5. 분양권 전매

청약을 통해 분양권을 얻은 사람이 입주 전에 입주할 권리 를 다른 사람에게 파는 것 을 말합니다. 분양권 전매제도는 미분양 아파트에는 해당되지 않는 점! 참고해주세요. 간혹 분양권 전매제도를 투기 수단으로 악용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런 투기를 방지 하기 위해 `분양권 전매제한` 이라는 규제가 만들어졌답니다.

부동산 필수 용어 사전 정리 #6. 분양가상한제

▲ 사진출처: 서울시 도시계획용어사전

집값 안정화 조치의 일환으로, 택지비와 건축비에 업체들의 적정이윤을 더한 분양가 책정 방식을 법으로 규정하여 분양가격을 정책적으로 조정하는 제도입니다. 상한금액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업체가 원하는 대로 분양가를 높일 수 없는데요. 2015년 4월 1일부터 분양가상한제가 폐지 되었다고 하니 시행되고 있다고 혼동하시면 안 된답니다!

부동산 필수 용어 사전 정리 #7. 면적의 종류

`공용면적` 은 복도, 계단, 공동현관, 엘리베이터 등 입주민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면적을 말합니다. `전용면적` 이란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서 방, 거실, 주방(베란다와 발코니는 서비스 면적) 등을 모두 포함한 넓이로, 실생활이 가능한 면적을 말합니다. 세금이나 청약자격 등을 산정할 때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사용합니다. :)

`공급면적(분양면적)` 은 공용면적과 전용면적을 합한 면적입니다. 아파트 분양 시, 분양가격은 공급면적을 기준으로 산정하며 흔히 말하는 34평, 42평 아파트는 공급면적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계약면적` 은 공급면적에 지하층, 관리사무소 등의 기타공용면적이 더해진 면적입니다.

부동산 필수 용어 사전 정리 #8. 대지지분

전체 대지면적 가운데 본인의 주택이 차지하는 비율 을 말합니다. 재건축을 하게 될 경우, 대지지분이 넓을수록 유리하다는 점! 기억해주세요~

부동산 필수 용어 사전 정리 #9. 소유권 이전 등기

등기부에 부동산에 관한 일정 권리관계를 적는 것이 등기인데요. 부동산 소유자가 변동 되어 이를 등기부에 등기하는 것을 소유권이전등기라고 합니다.

신축된 아파트는 무등기 상태이기 때문에 시행사 측으로 보존등기처리(무등기부동산에 대하여 소유권을 보존하기 위해 행함)를 먼저 하게 되는데요. 보존등기를 하면 부동산에 관한 등기용지가 새로 개설되고, 이후 일어나는 권리변동에 대해 보존등기를 기초로 해서 등기용지에 작성 됩니다. 따라서 분양권을 가진 사람은 그로부터 소유권이전등기를 하는 것이죠!

부동산 필수 용어 사전 정리 #10. 부동산 세금

부동산을 보유하는 방법에 따라 납부해야 하는 세금의 종류 도 다양합니다. 대표적으로 양도세는 관할 세무서에, 취득세는 관할구청 세무과 등에 알아보면 되는데요. 자세한 세금의 종류는 위 표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TIP) 부동산 세금을 계산해보세요!

부동산 필수 용어 사전 정리 #11. 건폐율과 용적률

`건폐율` 이란 건물을 지으려는 대지 안에서 건물이 차지하는 대지면적의 비율 을 말합니다. 100평의 땅에 50평짜리 건물을 지었다면 건폐율은 50%이 되겠죠?

`용적률` 은 지어진 건물 바닥넓이 합 의 비율을 합니다. 예를 들어, 위의 건폐율 50%의 건물이 1층일 경우 용적률은 50%이나, 2층 건물일 경우 바닥면적의 합은 100평이되므로 용적률은 100%가 됩니다. 용적률이 높을수록, 건물이 빽빽하거나 높게 들어선다고 이해하시면 쉽답니다. :D

부동산 필수 용어 간단한 FX용어 설명 사전 정리 #12. 시행사와 시공사

`시행사` 는 공사의 전 과정을 책임 지고 관리하는 회사를 말합니다. 아파트를 예로 들면, 계약자와의 계약에서부터 입주까지의 모든 과정을 관리하는 곳을 말합니다. 이 시행사로부터 발주를 받아 단순 공사 만을 담당하는 업체를 `시공사` 라고 합니다.

많은 분들이 이 대리처럼 어려운 부동산 용어 에 당황해본 적이 있을 것 같습니다. 부동산 초보 탈출을 위해 대표적인 부동산 용어들을 설명해드렸는데요. 많은 도움이 되셨나요? 이제부터 부동산 계약 시 '좀 아는 사람'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부동산 관련 용어 타파 로 부동산 초보에서 탈출해보세요~! :D

파이썬 크롤링 스크래핑 간단 설명(예제)

네이버나 구글에 크롤링으로 검색을 하면 파이썬으로 작성된 크롤링 또는 스크래핑 관련 문서들을 많이 볼 수 있는데, 문서마다 사용하는 모듈도 다르고 사용하는 방식도 조금씩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파이썬이 처음 접하는 컴퓨터 언어인 분들은 상당히 혼란스러울 수도 있을 것 같아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스크래핑 실습을 통해 간단하게나마 설명하고자 합니다.

용어 정리 크롤링 VS 스크래핑

크롤링과 스크래핑은 동일한 의미인 것처럼 사용되며 대부분 크롤링으로 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람마다 용어의 정의를 다르게 하고 있는데 어떤 이는 스크래핑이 크롤링의 상위 개념처럼 말씀하시는 분도 계시고 서로 완전히 다른 개념이라고 말씀하시는 분도 있습니다. 용어가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개념 정도는 알고 있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제 주관적인 생각으로 정의를 하자면
크롤링은 간단한 FX용어 설명 인터넷 상에 있는 불특정 웹 사이트를 방문해 어떤 링크에 어떤 정보가 있는지 수집하고 색인하는 즉, 검색 사이트의 봇(구글 봇)이 하는 행위

스크래핑은 정해진 특정 웹사이트에서 특정 데이터를 추출하고 가공하는 작업으로 필요한 정보 만을 스크랩하는 행위 참고로 파싱은 스크래핑의 상위 개념 정도 아닐까 생각합니다.

모듈(라이브러리)

파이썬으로 스크래핑을 하는 간단한 FX용어 설명 데 있어 가장 간단하고 간편한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http 웹 클라이언트는 파이썬에 내장된 표준 라이브러리인 urllib 보다 사용이 편한고 간단한 3rd party 라이브러리인 requests를 사용합니다. 참고로 urllib2는 파이썬 2.7버전용입니다.

html 페이지를 긁어오기 위한 파서는 사용이 간편한 Beautiful Soup을 사용합니다.(뷰티풀 수프 외에 Scrapy 또는 selenium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뷰티풀 수프에서는 find(find_all) 대신 사용이 간단한 CSS 선택자인 select_one(select)를 사용합니다.

실습전 모듈 설치

  • requests : pip install requests
  • beautifulsoup4 : pip install 간단한 FX용어 설명 beautifulsoup4

실행 환경

OS : 윈도우 10
IDE : VScode
Python : 3.7
beautifulsoup4 : 4.6.3
requests : 2.19.1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스크래핑

  1. requests와 BeautifulSoup을 임포트 한다.
  2. 요청할 웹 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하고 응답 값을 변수(resp)에 담는다.
  3. 요청 사이트로부터 응답받은 값을(resp.text) 뷰티풀 수프의 html 파서를 이용해 html로 정렬 시킨 후 변수(soup)에 저장한다.
  4. 저장된 HTML(soup)에서 검색어 제목만 변수(titles)에 담는다.
  5. 저장된 실시간 검색어를 루프 문을 이용해 하나씩 출력한다.

브라우저의 개발자 도구(F12)를 통해 소스를 보면 실시간 검색어에 대한 코드가 두 군데에 있습니다. 하나는 클래스 명이 ah_roll 시작하는 곳이고 또 하나는 클래스 명이 ah_list로 시작합니다.

우리가 가지고 오려고 하는 것은 검색어 즉, 제목이 필요한데 두 군데다 제목 클래스 명이 ah_k로 똑같습니다. ah_k로만 선택하게 되면 1위부터 20위까지 20개의 간단한 FX용어 설명 제목이 아니라 40개의 중복된 제목을 가져옵니다.

중복되지 않게 한곳에서만 데이터를 가져오려면 ah_k 클래스의 상위 클래스를 이용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첫 번째에 있는 ah_roll 클래스를 이용하도록 하겠습니다.

select VS find_all

위 예제를 보면 select를 사용 했습니다. 만약 find_all을 이용 한다면 titles = soup.find_all(class_="ah_roll")) 하나에 클래스 명만 넣을 수 있습니다. 즉, 자손이나 자식 요소를 직접 선택 할 수는 없고 한 번 더 변수에 담든지 아니면 루프 문을 이용해야 합니다.

반면 select를 이용할 경우 CSS 선택자를 이용하는 것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손을 직접 선택하거나 두 번째 자식만을 선택할 수도 있고 마지막 자식 요소만을 선택 할 수도 있습니다. 위 예제에서 사용된 코드를 보면 클래스 명 ah_roll의 자손인 ah_k 클래스를 바로 선택했습니다. 참고로 자손 요소를 선택 할 때는 한 칸 띄기를 이용하면 됩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