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iclickart]
러시아 국적의 37세 남성 알렉산더 비닉(Alexander Vinnik)은 2011년부터 가상 화폐 거래소 BTC-e를 운영하며 40억 달러가 넘는 비트코인을 돈세탁했다는 혐의를 받는다. 컴퓨터 해킹부터 마약 거래까지 각종 범죄에 개입된 사람들을 위해 자금을 세탁해줬다는 거다. 비닉은 이 자금으로 미국에서 사업을 펼친 것으로 알려졌다.
Btc-e 거래
BTC-e는 미국 정부가 2017년 이들의 홈페이지를 압류하기 전까지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이었다. [1] [2] 2011년 7월 알렉산드르 빈니크와 알렉산드르 빌류첸코가 설립했으며, [3] 2015년 2월 현재 전체 비트코인 거래량의 약 3%를 처리했다. [4] 2017년 7월 25일까지 미국 달러화, 러시아 루블화, 유로화와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Btc-e 거래 네임코인, 노바코인, 피어코인, 대시, 이더리움 암호화폐의 거래를 허용했다.
2013년 9월 지수 편성 이후 코인데스크 비트코인 가격지수의 구성요소였다. [5]
BTC-e는 런던에 등록되어 있으며, 2명의 장교(Sandra Gina Esparon and Evaline Sophie Joubert)와 2명의 상당한 통제권을 가진 사람으로 목록에 올라 있는 Everything Efficient LLP에 의해 운영되었다. 알렉산더 부야노프와 안드리 슈베츠. [6]
미국 법무부는 2017년 7월 26일 국제 돈세탁 혐의와 콕스산 해킹 자금세탁 혐의 등으로 비니크·BTCe를 21개 카운트 기소에 기소하면서 BTC-e 폐쇄를 시도했다. [2] [7]
BTC-e는 2011년 7월 비트코인/미국 달러화, 비트코인에 대한 I0코인 등 몇 개의 코인 쌍을 취급하면서 설립되었다. [8] 2011년 10월까지, 그들은 달러에 대한 라이트코인, 루블에 대한 비트코인, 루블에 대한 루코인을 포함한 많은 다양한 통화 쌍을 지원했다. [9]
2013년과 2014년 동안 BTC-e는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과 관련된 많은 중단을 겪었다. 그들은 나중에 이러한 공격을 완화하여 거래소의 다운타임을 줄이기 위해 역방향 프록시 서비스 CloudFlare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 citation needed ]
BTC-e 웹사이트는 2017년 7월 25일 BTC-e 직원의 체포와 그들의 데이터 센터 중 한 곳의 서버 Btc-e 거래 Btc-e 거래 장비 압류에 따라 오프라인으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이벤트로 인해 BTC-e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10] [11]
미국 당국은 2017년 7월 28일 BTC-e.com 도메인명과 전체 고객 자금의 [ citation needed ] 38%를 압류했다. 고객에 보답하기 위해 BTC-e는 고객의 압류 자본을 대변하는 WEX 토큰을 만들었다. WEX 토큰은 1달러를 나타냈으며, 압류 당시 고객 암호화폐의 가치를 설명하기 위해 발행되었다. 비니크는 재판 도중 증언을 거부하다가 유죄 판결을 받고 프랑스에서 징역 5년을 선고받았다. [12] 그는 로키 랜섬웨어 혐의에 연루되어 무죄 판결을 받았다. [12]
Btc-e 거래
BTC-e 소유주 알렉산더 비닉. 이미지=Shutterstock
비트코인을 이용해 수조 원대 자금을 불법으로 세탁한 혐의로 구속된 암호화폐 거래소 BTC-e 소유자 알렉산더 비닉(Alexander Vinnik)이 본국인 러시아로 보내 달라고 공식 요청했다.
지난 21일 그리스 일간지 는 러시아 국적의 비닉이 그리스 피러에푸스 지방 법원에 항소장을 제출, 자신을 인도적 차원에서 석방 또는 본국으로 송환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비닉은 지난 2017년 7월 자신이 소유한 BTC-e 비트코인 거래소를 통해 최소 40억 달러, 우리돈 4조 5천억 원대의 자금을 돈세탁한 혐의로 체포되었다. 체포 직후 비닉은 자금세탁 혐의에 불법 자금 공모 및 거래 혐의가 추가돼 곧바로 구속되었다.
이후 미국과 러시아 정부, 최근에는 프랑스 정부까지 나서서 그의 본국 송환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비닉은 체포 당시부터 지금까지 줄곧 자신은 죄가 없다며 무죄를 주장해왔다.
“내가 죄를 저질렀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저 BTC-e 거래소를 운영하며 내 일을 했을 뿐이다. 그것이 어떻게 구속 사유가 될 수 있는지 용납할 수 없다.”
최근에는 90일 동안 단식투쟁을 하고 있어 법정에도 구급차를 타고 왔을 정도로 건강이 악화됐다고 는 보도했다. 신문은 이어 “그리스 헌법은 재판 전 구속 기간을 최대 18개월로 규정하고 있지만, 비닉의 구속 기간은 이미 이 기한을 넘겼다”고 지적했다.
미국 사법부는 2017년 비닉을 체포할 당시 BTC-e 거래소에 1억 1천만 달러, 우리돈 약 1,200억 원의 벌금을, 비닉에게는 1,200만 달러, 우리돈 약 130억 원의 벌금을 Btc-e 거래 부과한 바 있다. 미국 재판부가 모든 혐의를 유죄로 인정하면 비닉은 최대 55년의 징역형을 받게 될 전망이다.
한편, BTC-e 거래소가 폐쇄된 이후 이곳의 경영진이 새롭게 문을 연 WEX 거래소마저 이달 초 랜섬웨어 공격을 받고 자금세탁에 연루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다국적 컨설팅회사 PwC는 “이란인 두 명이 샘샘(SamSam) 랜섬웨어 변종을 만들어 WEX 거래소를 통해 수백만 달러의 자금을 세탁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This story originally appeared on CoinDesk, the global leader in blockchain news and publisher of the Bitcoin Price Index. view BPI.
Btc-e 거래
제가 환차익을 장기적으로 좀 Btc-e 거래 바라보고 이용해서
제가원래 직접 외환은행에 가서 외환거래를 해서 환전하는 식으로 거래를 하려했다가
비트코인을 이용하라는 분들이 많이 계셔서 알아보고 있는 중입니다.
다름이 아니고 제가 엑스코인? 맞나요 거기 가입을 했습니다.
그래서 돈을 입금시키고 비트코인을 샀구요.
BTC-E에 재정 칸에 들어가서 BTC 입금을 누르니 지갑주소가 나오더라구요?
그래서 그 지갑주소를 복사해서 엑스코인 비트코인 출금주소에 입력하고 전송을 했습니다.
아직 시간이 좀 지났는데 입금이 안된것을 보면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한 것이겠죠?
제가 궁금한건 만약 비트코인이 BTC-E에 전송되어 제가 외화를 산다고 가정했을때
그 외화를 다시 출금해서 어디 보관했다가 다시 BTC E에 입금해서 비트코인을 사고 하려니까
과정이 너무 복잡하고 외화를 또 어디에 어떻게 보관하는지도 모르겠더라구요.
그래서 그 BTC-E에 그 외화를 가만히 놔두려고 하는데
안전하지 않을까요? 외화를 따로 빼내서 저장해놓을 수 있는 방법은 있나요그러면?
안전하게 하려면 인증같은걸 해야하겠죠? 너무 어렵네요. 답변좀부탁드령요
btc-e에 루블화를 두는 경우 거래소가 해킹당할 경우에는 잃어버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근데 은행도 해킹당했다고 하니 안전한 곳은 없어보이네요 ;; 따라 보관하시려면 루블화 계좌가 필요하지 Btc-e 거래 않나 추측해봅니다.
Btc-e 거래하고 출금시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로그인 하시고 우측 상단의 Finances 가시면 현재 본인의 거래 잔고들이 나오는 페이지가 보입니다. 이 페이지에서 "Withraw" 메뉴를 클릭하실때 출금하실 수 있는 방법이 나오는데요. 각 화폐마다 틀려요. 환차익 거래에 대해서 정확하게 아신다면 좋지만 RUR화의 경우 4가지 방법밖에 없는데 기본이라고 생각되는 전송환(Wire Transfer)도 안되는 상태입니다. BTC 같은 경우에는 PAYPAL, OKPAY, Wire Transfer등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에 설명 드린 페이지 가서 잔고가 없으셔도 Withraw 메뉴는 클릭이 가능하고 전송방법(Purpose) 드롭다운 메뉴는 선택 해 보실 수 있습니다. 각 전송방법에 따라 수수료율도 다릅니다. 기타 사항은 다른분이. 성투하세요. ^^
저는 페소로 누구에게 전송하는데요 문제는 A거래소가 있으면 B거래소를 거쳐야하기 때문에 둘다 신뢰성이 좋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수수료는 드는거 생각해서 계산하면 됩니다
재미있는건 달러가 오르면 비트코인 올라가고요 내려가면 떨어지는데 올라갈때 비트코인이 떨어지면 구매 적기라고 생각합니다 리스크커서 얼릉 입금해야합니다 안하면 손실.
btc-e는 시간도 너무 걸리고 외환관리법 눈치도 봐야하고 페소가 낳지않을까 싶긴하지만 또 어떤나라법은 10000페소 이상 소지도 안되고. 달러가 좋긴한데 10000$까진 되니깐요 ㅋㅋ
저는 원화(한국돈) -> 필리핀 페소로 변환하지용~ ㅋㅋㅋ
Btc-e 거래
비트코인 ETP와 자산배분 관점
2020. 10. 11. 17:30
-
본문 폰트 크기 조정 본문 폰트 Btc-e 거래 크기 작게 보기 본문 폰트 크기 크게 보기 가
아래는 현재 금융상품으로 거래되는 비트코인 상품들. 이더리움 상품들도 Btc-e 거래 있으나 여기서는 제외.
가장 규모가 큰 것은 미국 나스닥OTC마켓에서 거래되는 '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 트러스트'로 시총규모가 원화로 약 6조원에 달하고, 일평균 거래량도 467만주수준으로 상당히 활발하게 거래됨.
다음으로 시총이 큰 종목은 독일증권거래소에서 거래되는 BTCE 라는 ETC. 올해 6월18일에 상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규모가 빠르게 증가해서 현재 원화 600억원. 일평균거래량도 이전에 스위스증권거래소에 상장된 ETP들보다 상당히 큰 커진 상황. 당연히 독일거래소라는 글로벌 탑티어급 거래소에 상장되었으니 관심이 높은 것으로 봄. 독일거래소 상장으로 이 정도라면, 아마 돈이 몰려있는 NYSE나 나스닥거래소에 상장될 경우 일주일만에 1조단위로 커질 것이란 것을 예상해 볼 수 있음.
기타 스위스에는 위즈덤트리 비트코인과 21쉐어즈비트코인 등 ETP들이 있으나, 거래량도 작고 규모도 작음. 독일에 상장된 비트코인 ETP인 BTCE는 유로화로 거래된다는 점도 이 두개의 ETP와 차이점. 실제 3개월이상 BTCE를 직접투자해보니 유동성공급에도 현재까지는 큰 무리가 없는 상황.
아래표는 기간성과% _ 기준일 2020/10/8
위 표의 성과를 볼 때 가장 하단의 달러표시 비트코인 실물의 가격을 참고할 필요. 비트코인 피지컬이 3개월간 19.5%를 상승했고, 같은기간 미국 OTC마켓의 그레이스케일비트코인은 약 20.7%상승, 스위스의 BTCW와 ABTC도 비크코인 피지컬 등락율 수준의 움직임을 보임. 반면 독일의 BTCE는 14.5%상승에 불과한데, 이는 환율때문으로 보면 됨. 실제 3개월간 유로화는 달러대비 약 4.5%정도 강세를 보였음. 결국 USD로 컨버팅한 결과로 보면 성과는 비슷하다는 얘기.
문제는 한국 개인투자자가 현실적으로 투자가 Btc-e 거래 가능한 대상은 하나 뿐이라는 점. 독일의 BTCE.
기본적으로 한국개인은 미국OTC마켓에서 그레이스케일을 거래할 수 없으며, 스위스 상장물들도 거의 모든 국내증권사 HTS로 살 수 없을 것으로 추정됨. 반면 대형사의 경우 HTS로 독일거래가 가능한 곳들이 꾀 있을 것으로 봄.
당사가 비트코인ETP를 소개하는 것은 말그대로 '이런것도 있다'라는 소개에 불과. 추천이 아님. 오히려 비트코인 투자하는 Btc-e 거래 사람이 해외양도세까지 내면서 독일ETP에 투자할 이유는 많지 않다고 봄. 물론 세법이 변경되고 추후 과세되겠지만..
당사가 비트코인에 관심을 Btc-e 거래 두는 것은 이제 슬슬 자산으로서의 지위를 가질수 있다고 보기 때문. 실제 글로벌 자산가들 중에 전체투자자산 중 비트코인을 1~2%정도씩은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해 봄. 물론 당사는 비트코인이 화폐를 대신할 수 있는 기능이 과거대비 크게 진화되었다고 보진 않음. 단순하게 자산으로서, 가치보전의 수단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정도가 되었거나 곧 될 것으로 보기 때문임.
실제 구글링으로 조사를 하다보니 크립토커런시의 시장규모가 약 3600억달러까지 커졌고, 이 중 비트코인이 약 60%라고 했음. 글로벌 주식시장 총 시총이 85조달러이고, 채권이 128조달러, 그리고 크립토커런시와 가장 유사하게 보는 금이 약 10조달러로, 가상화폐시장은 전체 자산시장에서 매우작은 수준에 불과.
그럼에도, 당사가 비크코인에 대해 관심을 두기 시작한 이유는
첫째. 변동성이 개별주식수준으로 내려온 상황.
둘째. 제도화시키려는 각국,각사의 다양한 접근을 목격하고 있다는 점.
셋째. 금과 달리 성장의 스토리가 많다라는 점.
일단 글로벌 ETF가 보유하고 있는 실물 금(GOLD)의 규모가 2,144억달러이고 현재 가상화폐 ETP 규모가 약 60억달러이니 일단 규모측면의 성장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보고, 실제 금도 GOLD ETF의 성장과 더불어 가격이 올랐듯이 가상화폐쪽도 유사한 플로우를 보일 것으로 보고 있음. 물론 커머더티처럼 밸류에이션이 불가하다는 한계가 있으나. 실제 전통적인 주식밸류에이션 자체가 평가자 자신도 모르게 성장스토리가 반영되어 각기 다르게 평가되듯이 중요한 것은 스토리일 수 있다고 봄. 오히려 코로나 이후 비트코인은 개방형네트워크를 통해 보다 견조해 지고 있다는 것을 체감 중.
가상화폐가 ETP화 된다는 것은 단순히 트레이딩의 편리함이 강점으로 부각된다고 보진 않음. 오히려 세금은 조만간 ETP나 실물직접투자나 같아질 것이고. 중요한 것은 평가인데, 주식, 채권과 같은 다른 자산들과 같은 계정안에서 평가받고 비교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거대한 자산시장의 기계적인 수요를 일으킬 수 있다고 봄. 이것이 금이 성장한 경로이고, 이 길을 걸을 것이라고 봄. 그래서 전체자산 중 1% 전후의 비트코인투자는 필요할 수 있다고 봄.
[보안뉴스 오다인 기자] 비트코인으로 최소 4조 원(40억 달러)을 돈세탁했다는 혐의를 받던 러시아 남성이 미국 사법 당국의 추적을 받다가 이틀 전 그리스에서 체포됐다. 이 남성은 현재 모든 혐의를 부인하는 중이며 미국 송환을 앞두고 있다.
[이미지=iclickart]
러시아 국적의 37세 남성 알렉산더 비닉(Alexander Vinnik)은 2011년부터 가상 화폐 거래소 BTC-e를 운영하며 40억 달러가 넘는 비트코인을 돈세탁했다는 혐의를 받는다. 컴퓨터 해킹부터 마약 거래까지 각종 범죄에 개입된 사람들을 위해 자금을 세탁해줬다는 거다. 비닉은 이 자금으로 미국에서 사업을 펼친 것으로 알려졌다.
비닉은 지난 7월 25일 오전, 그리스 북부 해안 도시 테살로니키에서 현지 경찰에 의해 체포됐다. 체포 당시, 비닉의 호텔방에 있던 휴대전화, 노트북 두 대, 태블릿 다섯 대 등 각종 전자 기기도 함께 압수됐다. 비닉을 잡기 위해 미국 사법 당국을 비롯한 연방 기관과 태스크포스 여러 곳이 협동으로 조사해왔다고 로이터 등 외신이 보도했다.
그리스 경찰에 따르면, 비닉은 “세계에서 가장 큰 사이버 범죄 웹사이트 중 한 곳”을 소유하고 운영해온 범죄 조직의 지도자다. 이 웹사이트는 가상 화폐 거래소 BTC-e를 말하는 것으로 비닉이 체포된 이후 현재 운영이 중단된 상태다. BTC-e는 2011년 설립된 이래 가상 화폐 거래소 가운데 거래량이 많아 줄곧 상위권에 올라왔다. BTC-e Btc-e 거래 고객은 약 700,000명이다.
미국 당국은 비닉이 2014년 해킹된 뒤 파산한 마운트곡스(Mt. Gox)와도 연관됐다고 의심하고 있다. 마운트곡스는 일본의 비트코인 거래소였는데, 사건 당시 480억 엔에 해당하는 비트코인을 분실했다며 파산을 신청한 바 있다. 지난 7월 11일 일본 도쿄 지방법원에선 마운트 곡스 전 CEO 마크 카펠레스(Mark Karpeles)의 횡령 혐의에 Btc-e 거래 Btc-e 거래 대해 첫 공판이 열리기도 했다.
비닉은 카펠레스가 빼돌린 자금을 세탁해줬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비닉의 체포 사실이 알려진 직후 마운트곡스 범죄자를 추적해온 일본의 보안 업체 위즈섹(WizSec)은 마운트곡스에서 도난된 자금이 비닉으로 흘러들어간 것을 알아낼 수 있었다며 이 같은 사실에 대해 사법 당국과 협조하겠다고 자사 블로그를 통해 밝혔다.
[국제부 오다인 기자([email protected]nnews.com)]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