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보조 지표 #1 손절 유영두가 선택한 보조 지표 3인방 (Feat. RSI, 스토캐스틱, MACD 지표)
주식 보조 지표 #1 손절 유영두가 선택한 보조 지표 3인방 (Feat. RSI, 스토캐스틱, MACD 지표)
안녕하세요. 라이언의 주식과 경제읽기의 라이언입니다. 손절 유영두님의 방송을 보다보면 RSI 지표와 스토캐스틱, MACD를 활용해 시청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는데요. 그 중 가장 많이 강조하며 참고하는 듯이 보이는 RSI 지표에 대해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 그러나 이 지표 또한 결국 '보조지표'에 불과하기 때문에 과도한 맹신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말마따나 투자를 할 때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보조지표'로써 활용하셔야 합니다.
RSI 지표와 활용과 설정
RSI란 Relative Strength Index(상대강도지수)의 약자로 14일을 기준으로 상승폭과 하락폭을 더한 값을 분모로 두고 전체 상승푹을 분자로 문 다음에 100을 곱한 값입니다. 보통 30과 70을 기준으로 두는데 낮은값일수록 14일동안 하락세가 강했다는 뜻이고, 높은 값일 수록 상승세가 강했다는 뜻입니다. 이 정도만 알고 RSI 지표를 토대로 설명해주는 사람의 주장을 들으면 왜 그 사람이 그런 주장을 하는지를 알 수 있을 겁니다. 나아가 자신이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겠죠. 보통 RSI 선이 50을 넘어가 있으며 매수세가 우세하다고 보며 50 아래에 있다면 매도세가 우세하다고 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수치가 70이상으로 올라간다면 과열국면이라 보며 일반적으로 매도를 고려해야 한다고 봅니다. 하지만 70을 돌파했다고 바로 파는 것이 아니라 상승국면이 꺽일 때 보통 매도 합니다. 반대로 30이하로 내려간다면 일반적으로 매수를 고려한다고 보지만, 당연히 100%란 없습니다. 70을 돌파하면 오히려 상승세가 지속될 수도 있으며 30이하로 내려간다고 해도 저점을 지속적으로 깨며 박스권이 유지될 가능성도 적지 않습니다. 보조지표로만 활용해야 하는 반증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강도'를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기 때문에 상승국면일 때, 앞에 상승국면이 얼마나 과열구간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그 구간의 값이 앞선 과열구간보다 크지 않다면 상대적으로 주가가 상승하고자 하는 힘이 줄었음을 의미하며(하지만 그 시기에 주가는 더 올라있는 다이버전스 상태) 그렇기 때문에 매도를 고려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락구간도 마찬가지로 생각하면 됩니다. 주가의 흐름과 RSI 지표가 반대로 흐르고 있다는 신호를 포착하는 연습만 한다면 추세가 전환할 거같다는 예측을 스스로도 충분히 할 수가 있습니다.
이 정도만 알아도 이 지표를 통해 지수에 대한 설명을 하는 사람의 말을 알아 듣는데는 큰 무리가 없으며 나아가 스스로 충분히 활용해 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이 지표 또한 만능은 절대 아니며 단순한 '보조지표'중 하나로 활용하시는 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마지막으로 보통 기간은 14일로 설정하고 시그널 값도 9로 설정해서 사용합니다. 아마 사용하는 HTS에서 기본으로 설정돼 있을 겁니다.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시그널선을 빼고 아래처럼 사용하기도 합니다.
카카오의 MACD 설정 RSI
스토캐스틱의 활용과 설정
유영두님은 RSI를 이용한 설명을 좋아하시던데 유영두님이 활용하는 보조지표 3인방중 하나이며, 단기매매를 주로 하는 사람들이 많이 활용하는 지표가 스토캐스틱입니다. 스토캐스틱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하나는 패스트 스토캐스틱이고 다른 하나는 슬로우 스토캐스틱입니다. %K 선과 %D 선이 교차하는 것을 보고 타이밍을 포착하는 보조지표 이기 때문에 거짓 신호가 많고 교차점이 많은 패스트 스토캐스틱보다 슬로우 스토캐스틱을 주로 활용합니다.
보통 기간은 5 %K와 %D 값은 3으로 설정해서 놓고 쓰는 것이 보통이지만 이 값을 10, 5, 5로 설정해서 쓰기도 합니다. 두 가지 다 활용해 보면서 자신에게 맞는 설정을 사용하면 됩니다. 뒤에 값이 좀 더 완만한 그래프를 나타내 줍니다. 일반적으로 80과 20을 기준점으로 보고 RSI와 마찬가지로 80 이상이면 과매수 구간으로 보고 향후 주가가 떨어질 가능성이 높음을 나타내며 20 이하일 경우에는 과매도 구간으로 판단하며 향후 주가가 오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며 매수를 '고려'합니다.
또한, %K선과 %D선이 교차할 때 강력한 매도/매수 신호로 인식합니다. 50선 기준으로 응용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이 지표도 보조지표에 불과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이평선과 거래량을 기준으로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거래에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산인프라코어의 스토캐스틱
MACD의 활용과 설정
이 지표는 중기지표로써의 활용도가 높은 지표입니다. 단기지표를 MACD 설정 보더라도 넓은 시야에서 시장을 확인하고 들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런 시각에서 MACD지표의 활용은 보조지표로써 또 다른 효용을 줍니다. 이 지표를 활용할 때 주의할 점은 박스권에 있거나 하락추세에 있는 종목일때는 유효하지 않다고 MACD를 개발한 개발자가 말해줍니다. 오로지 상승추세에 접어드는 타이밍을 포착하고 하락하는 타이밍을 포착해 매수와 매도를 하는데 도움을 주는 보조지표입니다.
기본적으로 HTS설정을 따르시면 됩니다. 단기12 장기26 시그널9로 설정돼 있을겁니다. 보조지표를 보면 0이 기준점으로 설정돼 있는데 이 값이 12일 이평선과 26일 이평선이 만나는 지점입니다. 이 MACD 설정 지점을 MACD선이 상승돌파할 때 지수가 상승국면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하락돌파할 때는 반대로 보시면 되겠죠. 시그널 선은 MACD의 후행성을 극복하기 위해 활용하는 선입니다. 기본적으로 MACD선이 시그널선을 교차 돌파할 때 사거나 파는 것을 기본으로 합니다.
또한 오실레이터Oscillator라고 MACD를 설정하면 같이 볼 수 있는 게 나오는데 파란선이 작아지며 빨간선이 0선을 돌파할 때를 매매시점으로 보면서 보조지표로 활용하시면 됩니다. 글로 쓰니까 어려워 보이는데 아래와 같이 설정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거듭 말하지만, 보조지표로써의 활용성이 있을 뿐이지 만능은 아닙니다. 유영두님도 중기지표로써 다양하게 활용해서 판단하여 유튜브로 방송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한국전력의 MACD와 오실레이터Oscillator
사실 너무 깊이 알 필요는 없다고 여겨집니다. 많은 고수들이 증시 입문할 때 보조지표들을 활용하다가 나중에는 결국 이평선만 남겨두고 다 날려버리는 일이 비일비재합니다. 주린이는 고수들의 입김에서 벗어나 자기만의 철학과 철칙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기에 고수들의 가이드안에서만 놀지말고 나아가 그 사람이 어떤 연유에서 이런 주장을 하는지에 대한 생각과 공부를 해 나간다면 충분히 혼자서도 할 수 있지 않을까요?
Awesome XRP
MACD 지표요약
MACD Indicator summary
단기거래 수단보다는 중장기적 방향 결정에 용이하다.
It is easier to determine mid- to long-term direction than short-term means of trading.
기본 설정값은 디폴트값으로 해도 무방
You may set the chart to its default value.
RSI 와의 조합을 통해 시세 변동을 예측
The combination of RSI should predict market fluctuations.MACD 설정
12일과 26일 이동평균선과 9일 이동평균선은 Signal 선으로 표기
The 12-day and 26-day moving averages and the 9-day moving averages consist of signal lines.
12일과 26일로 설정한 것은 예전부터 이어져 온 기본값인데
예전 주식시장의 경우 토요일까지 열렸기 때문에 2주=14일 중 일요일 2일을 뺀 12일로 설정
한달 기준 4일을 뺀 26일로 설정한 것입니다.
RSI - Relative Strength Index
상대강도지수
RSI 가 클수록 주가의 상승추세가 크고
The bigger the RSI, the higher the share price,
RSI 가 작을수록 주가의 하락추세가 크다는 뜻
The smaller the RSI, the bigger the fall in stock prices.
RSI 가 50% 기준으로 50 이상이면 매수가 우세 , 이하면 매도가 우세하는 것을 뜻함
If the RSI is over 50 per cent, then the purchase is dominant, if the RSI is over 50 per cent, then the sale is dominant.
70% 이상 시에는 과매수 상태로 추후 하락 가능성 ↑
If 70% or more is more, the condition of over-purchase will be over-purchased, and the possibility of future decline will be increased.
30% 이하 시 과매도 상태로 추후 상승 가능성 ↑
If 30% or less, over-sale conditions are likely to rise in the future.
다만, 장기 하락 시에는 꾸준히 30% 이하에서 이 지표가 맴돌 수 있어
In the long run, however, the index may remain below 30%.
해당 지표만으로 30 이하에 있다고 섣불리 매수를 하면 안되며,
Don't make a hasty purchase that says that you are below 30.
50 근처까지 도달 했을 경우에 매수를 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You may want to buy it if you reach close to 50.
단기) 30 과 70 을 구분하여 매매
Short term a sale divided between 30 and 70
장기) 추세에 따라 20~30 사이에서 상승할 때 다른 보조지표를 활용하여 매수
70~80 사이에서 하락 시 매도
Long Term Purchase using other subindicators when it rises between 20 and 30 depending on the trend, Sell when falling between 70 and 80
이동 평균 수렴 발산(MACD) 표시기가 StormGain에서 작동하는 방식
MACD 지표는 두 개의 지수 이동 평균(EMA)을 빼서 메인 라인(MACD 라인)을 생성하여 생성되며, 이는 신호 라인을 나타내는 또 다른 EMA를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두 선의 차이를 기반으로 계산되는 MACD 히스토그램이 있습니다. 히스토그램은 다른 두 선과 함께 중심선 위와 아래에서 변동하며, 이를 0선이라고도 합니다.
- MACD 라인(1): 상승 또는 하락 모멘텀(시장 추세)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두 개의 지수 이동 평균(EMA)을 빼서 계산됩니다.
- 시그널 라인(2): MACD 라인의 EMA(보통 9-기간 EMA). 신호선과 MACD선의 결합된 분석은 잠재적인 반전 또는 진입점 및 퇴장점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히스토그램(3): MACD 선과 신호 선의 발산 및 수렴을 그래픽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즉, 히스토그램은 두 선의 차이를 기반으로 계산됩니다.
MACD 라인
일반적으로 지수이동평균은 자산의 종가에 따라 측정되며, 두 EMA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기간은 일반적으로 12주기(빠르게)와 26주기(느림)로 설정됩니다. 기간은 다양한 방식(분, 시간, 일, 주, 월)으로 구성할 수 있지만 이 문서에서는 일일 설정에 중점을 둡니다. 그러나 MACD 지표는 다양한 거래 전략을 수용하도록 맞춤화될 수 있습니다.
표준 시간 범위를 가정하면 MACD 라인 자체는 12일 EMA에서 26일 EMA를 빼서 계산됩니다.
항상 정확하지는 않지만 MACD 라인과 신호 라인이 교차할 때 이러한 이벤트는 일반적으로 추세 반전 신호로 간주됩니다. 특히 MACD 차트의 끝(0 라인 위 또는 훨씬 아래)에서 발생할 때 이러한 이벤트는 더욱 그렇습니다.
MACD 히스토그램
MACD 설정
논의된 MACD 설정 바와 같이 MACD의 기본 설정은 12, 26 및 9 기간 EMA를 기반으로 하므로 MACD(12, 26, 9)입니다. 그러나 일부 기술 분석가와 차티스트는 더 민감한 지표를 만들기 위해 기간을 변경합니다. 예를 들어 MACD(5, 35, 5)는 주간 또는 월간 차트와 같이 더 긴 기간과 함께 전통적인 금융 시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것입니다.
암호화폐 시장의 높은 변동성으로 인해 MACD 지표의 민감도를 높이는 것은 더 많은 잘못된 신호와 잘못된 정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할 수 있습니다.
MACD 차트를 읽는 방법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동 평균 수렴 발산 표시기는 이동 평균 간의 관계를 추적하며 두 선 간의 상관 관계는 수렴 또는 발산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선이 서로를 향해 끌리면 수렴하고 멀어지면 발산합니다.
여전히 MACD 표시기의 관련 신호는 MACD 선이 중심선 MACD 설정 위 또는 아래(중심선 교차) 또는 신호선 위 또는 아래(신호선 교차)를 교차할 때 발생하는 소위 교차와 관련이 있습니다.
중심선과 신호선 교차는 여러 번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암호화폐와 같은 변동성 자산과 관련하여 많은 거짓 신호와 까다로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MACD 지표에만 의존해서는 안 됩니다.
센터라인 크로스오버
중심선 교차는 MACD 선이 양수 또는 음수 영역에서 움직일 때 발생합니다. 중심선 위로 교차할 때 양의 MACD 값은 12일 EMA가 26일보다 크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반면 MACD선이 중심선을 하향 돌파하면 26일 평균이 12일보다 높다는 의미로 음의 MACD를 나타냅니다. 다시 말해서, MACD 선이 양수이면 상승 모멘텀이 강해지고 음수이면 하락 추세가 강하다는 의미일 수 있습니다.
신호 라인 크로스오버
MACD 라인이 신호 라인을 넘을 때 트레이더는 종종 이를 잠재적인 구매 기회(진입점)로 해석합니다. 반면 MACD선이 신호선을 하향 돌파하면 트레이더는 이를 매도 기회(출구점)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신호 크로스오버가 도움이 될 수 있지만 항상 신뢰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위험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차트에서 발생하는 위치를 고려하는 것도 가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크로스오버가 매수를 요구하지만 MACD 라인 표시기가 중심선 아래에 MACD 설정 있는 경우(음수), 시장 상황은 여전히 약세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신호선 교차가 잠재적인 판매 포인트를 나타내지만 MACD 선 지표가 양수(0선 위)이면 시장 상황은 여전히 강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매도 신호를 따르는 것은 더 큰 위험을 수반할 수 있습니다(더 큰 추세를 고려할 때).
MACD와 가격 다이버전스
중심선 및 신호선 교차와 함께 MACD 차트는 MACD 차트와 자산의 가격 조치 간의 다이버전스를 통해 통찰력을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암호화폐의 가격 움직임이 더 높은 고점을 만들고 MACD가 더 낮은 고점을 만드는 경우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상승 모멘텀(매수 압력)이 예전만큼 강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약세 다이버전스가 발생합니다. . 약세 다이버전스는 가격 반전보다 앞서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매도 기회로 해석됩니다.
반대로 MACD 라인이 자산 가격의 두 개의 하락하는 저점과 일치하는 두 개의 상승 저점을 형성하는 경우 이는 강세 다이버전스로 간주되어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구매 압력이 더 강함을 나타냅니다. 강세 다이버전스는 가격 반전보다 앞서는 경향이 있어 잠재적으로 단기 바닥(하락 추세에서 상승 추세로)을 나타냅니다.
마무리 생각
기술적 분석과 관련하여 이동 평균 수렴 발산 발진기는 사용 가능한 가장 유용한 도구 중 하나입니다. 상대적으로 사용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시장 동향과 시장 모멘텀을 모두 파악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TA 지표와 마찬가지로 MACD가 항상 정확한 것은 아니며 특히 변동성이 높은 자산과 관련하여 또는 약세 추세 또는 횡보 가격 조치와 관련하여 수많은 거짓 및 오도 신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많은 트레이더는 위험을 줄이고 신호를 추가로 확인하기 위해 RSI 지표와 같은 다른 지표와 함께 MACD를 사용합니다.
MACD 설정
MACD에 MACD 설정 대해 설명한적이 있었는데.
아래는 야후의 증권정보에서 퍼온 글입니다.
MACD(5,20,5)로 설정하는 것은 아래를 보시면 알수 있습니다.
추세 지표 |
|
MACD, MACD OSC |
[원리] 1979년 Gerald Appel에 의하여 개발된 이 지표는 장/단기 이동 평균선간의 수렴(Convergence)과 확산(D ivergence)의 원리로 서로 멀어지면 가까워지려는 성질이 있다는 점을 응용 하였다. [계산법] MACD(6.26.9)란 6은 6일 단기 이동 평균, 26은 26일 장기 이동 평균, 9는 SIGNAL의 n이 9일을 의미한다. 하지만 지금은 주간 5일로 계산하여 MACD(5.25.9)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지표 설정은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다. [매매 활용] 2. MACD 곡선 추세만을 이용한 매매 3. 주가 방향과 MACD 방향을 이용한 매매 현명한 소비 맛있는 인생 (재테크,음식,삶) 현명한 소비 맛있는 인생 (재테크,음식,삶)MACD는 주식/비트코인 차트에서 흔히 애용되는 보조지표 중 하나이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보조지표는 말 그대로 보조지표이며 후행성인 MACD 설정 특징을 띄고 있다. 따라서 맹신하진 말고 포지션 진입하기 전에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비트코인 MACD 차트 아래에 MACD 차트를 보면 빨간 바들이 연속적으로 나오면은 하락 추세, 초록바들이 연속적으로 나오면 상승추세이다. 바가 크면 클수록 추세가 강하다는 의미이다. |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