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가지 필수전략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16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패키지 디자인의 필수 법칙 5가지 (포장 박스 제작 시 필독!)

미국대학에도 소개되는 한국 연예기획사의 5가지 전략

TV 순위 프로그램에 나와 노래를 부르고 그 노래가 라디오나 방송 OST 로 전파되어 인지도를 얻어 CD 나 카셋트로 판매되는 전략이었다.SM 엔터테인먼트에서 일본식 아이돌 전략을 한국에 들여와 일명 아이돌 공장으로써 단순한 개인의 역량으로 인한 성공 여부보다 (개인의 역량은 아직도 중요하지만) 기획, 캐스팅, 훈련, 데뷔 이후 활동까지 기획사가 꾸준히 상품성있는 5 가지 필수전략 아이돌을 탄생시키는 것은 분명 다른 전략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한국의 아이돌그룹은 K POP을 세계에 알려 그 시스템에 대한 많은 기사들과 논문들도 발표되고 있다. 단순히 잘생기고 예쁜 연습생들을 모아 연습시켜 데뷔하는 것 이상의 한국기획사들의 시스템화된 전략들을 살펴보자.

[divider style=”bold” title=”” text_align=””] [dropcap style=”circle” title=”1″]

기획 캐스팅- Ace 전략

아이돌 그룹은 각 맴버들에게 특성을 부여한다. 주특기 별로 팀에서의 역할분담은 이루어지고 전략적으로 특정 맴버 한 명을 내세워 전체 팀의 인지도를 높이는 전략을 취한다. 소녀시대 윤아는 KBS 일일 연속극에 출연했고 윤아가 출연한 드라마의 성공은 소녀시대 그룹의 인지도를 높이는데도 기여를 했다. 강남도 ‘JTBC학교 다녀오겠습니다’ 출연하여 7개의 활동곡을 낼 동안 전혀 대중의 눈에 띄지 않았던 M.I.B라는 그룹을 알릴 수 있게 되었다. 수원대 이문행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가요 순위 프로그램에서 첫 1위에 오르기까지 예능 프로그램을 한번이라도 거친 그룹은 모두 9개에 달했다. 지상파 주말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서 아이돌이 출연하는 프로그램은 14개 중 10개이고 각 프로그램의 아이돌 출연자 점유율은 평균 32%에 달한다. 이렇듯 그룹활동의 초반일 수록 그룹내 개인의 활동이 아이돌그룹의 성공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스토리텔링


YG 엔터테인먼트가 유독 신경 쓰는 스토리텔링은 데뷔과정을 고스란히 관객에게 노출시켜 그들의 데뷔까지 성공,실패, 우정, 고난, 극복의 스토리를 대중에게 전달한다.

프로그램을 통해 대중에게 선택하게 하는 전략은 대중에게 스타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참여하고 대중이 스타를 키우는 듯한 감정을 느끼게 해준다, 그리고 이것은 이미 데뷔때부터 충성적인 팬층을 만드는데 기여한다. 빅뱅도 최종맴버가 되는 과정을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서 방영했고 책도 발매해서 그들의 스토리를 상품화, 브랜드화 했다.

WINNER 도 YG 연습생 두팀이 서로 데뷔를 놓고 치열한 경쟁을 펼치는 프로그램으로 이름을 알렸는데 그들의 데뷔과정부터 벌어지는 경쟁의 스토리는 아이돌그룹의 인지도 뿐만 아니라 YG가수 데뷔라는 타이틀이 얼마나 갖고 싶은 것인지를 보여줌으로써 YG 엔터테인먼트의 브랜딩에도 기여를 했다.

[dropcap style=”circle” title=”3″]

지난 몇년간 유닛활동은 기획사들의 필수전략으로 쓰여졌다. 이것은 아이돌그룹내 각 개인의 새로운 조합으로 전체그룹의 음악이나 퍼포먼스 스타일과는 다른 새로운 스타일을 선보이는 것이다. 전체그룹의 활동으로는 보여줄 수 없었던 개인의 매력을 잘 보여주고 전체아이돌그룹의 활동과는 다른 음악스타일로 팬층을 넒힐 수 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이를 통해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다. 국내에선 이미 여러 아이돌그룹을 통해 유닛활동이 꼭 필요한 전략으로 여겨지고 있고 빅뱅의 GD&TOP을 예로 들 수 있다.

[dropcap style=”circle” title=”4″]

소셜 미디어


SNS 는 한류가 세계적인 관심을 받는데 가장 큰 이유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소셜미디어 플랫폼 (YouTube, Facebook)을 통해 꼭 한 나라에 가서 정식적인 데뷔를 하는 방식을 벗어나 가장 효과적으로 여러 나라에 동시적으로 아티스트를 프로모팅할 수 있게 되었다.

메이저 엔터테인먼트 회사들은 모두 SNS 마케팅팀을 운영하고 있고 OSEN 미디어의 이혜린 기자에 따르면 한국 엔터테인먼트 회사들은 TGIF 전략에 집중한다고 했다. ‘T’ 는 트위터, ‘G’는 구글의 유튜브, ‘I’ 는 5 가지 필수전략 아이폰, ‘F’는 페이스북을 의미한다. SNS를 통해 빠르고 효과적으로 음악콘텐츠를 해외로 배포할 수 있게 되었고 즉각적인 반응을 받을 수 있어 전략적으로 매우 유용한 데이터를 쌓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SNS를 통한 아이돌들의 사진은 무대 위가 아닌 일상생활을 노출해 친근한 이미지를 쌓을 수 있게 되었고 공항패션 사진을 통해 휴식기에도 지속해서 팬들과 소통을 할 수 있게 되었다.

[dropcap style=”circle” title=”5″]

오디션 프로그램


오디션 프로그램은 새로운 아티스트를 대중에게 알리는 창구기능을 해오고 있는데 이를 통해 기획사는 훈련과 프로모션에 들어가는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한 단계씩 나아 갈 때마다 아티스트는 인지도를 얻게 되고 이때 드러나는 아티스트의 캐릭터와 대중의 반응은 몇 년간 훈련 후 데뷔하는 기존의 방식보다 비용절감과 리스크 최소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divider style=”bold” title=” ” text_align=””]

엔터테인먼트는 문화콘텐츠를 팔고 당연하게도 이 비즈니스의 중심은 사람이다.

그래서 K-POP 산업은 제품을 파는 다른 산업군과 다른 그들만의 전략을 취할 수밖에 없었고 위험률이 높은 이 산업에서 생존하기 위해 그들에게 주어진 아티스트와 미디어를 최대한 활용하는 전략을 만들었다.

우리는 모두 한류의 성장에 상당히 놀랐다. 이제 단순한 유행에서 끝나는 게 아닌 꾸준한 글로벌 한류의 성장을 위해 새로운 전략들이 지속해서 나와야 한다.

MBA학과

홈 홈

등록금은 학점 당 8만원씩 계산됩니다. 3학점 짜리 1과목 당 24만원입니다. 한학기에 12학점을 들으신다면 96만원 18학점을 들으신다면 144만원을 내셔야 하지만, 다양한 입학장학 혜택과 국가장학금을 신청하시면 1인당 평균 83만원 정도의 장학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국가장학금 꼭 신청하셔서 혜택 받으세요. 한국장학재단 : http://www.kosaf.go.kr / 1599-2000

일주일 기준 1과목(3학점기준) 당 1시간정도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한 학기에 보통 3~6과목을 수강하므로 매일 한시간 씩 공부하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여의치 않은 경우 주말 혹은 휴일에 몰아서 학습하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일반 대학교와 똑같이 3월과 9월 개강하며 여름/겨울방학에는 계절학기를 수강하지 않으면 강의가 없습니다. * 강의 제작 방식, 강의 동영상 재생 속도, 개인별 학습 속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본교의 모든 수업과 시험, 과제제출은 100% 온라인에서 이루어집니다. 수업은 정해진 시간 없이 자유롭게 강의를 들을 수 있지만, 시험은 지정된 시간내에 접속하여 응시해야 합니다. 개인사정으로 시험을 볼 수 없는 경우에는 사전에 담당 과목 교수님과 상의하여 대체할 방법을 찾으면 됩니다.

전적대학 학점은 이수구분(전공필수/전공선택/교양필수/교양선택/일반선택)에 상관없이, 2학년 편입생은 35학점, 3학년 편입생은 70학점을 인정받게 됩니다. 본교에 입학 후 이수구분별 기준학점을 충족하고 2학년 편입생은 105학점, 3학년 편입생은 70학점을 이수해야 총 140학점이상으로 졸업이 가능합니다. 졸업에 필요한 이수구분별 필수학점을 모두 이수하면, 나머지 학점은 전공/교양/학년/학과 과목에 관계 없이 신청하여 충족해주시면 됩니다. 편입생이라 하더라도 학년 구분에 관계 없이 과목을 선택하여 수강신청이 가능합니다.

원칙적으로 본교의 수업 및 시험 등 학점이수에 관한 모든 활동은 온라인으로 진행되므로, 캠퍼스에 방문하지 않고도 지방 및 해외에서 졸업할 수 있습니다. 입학식/학과특강/체육대회/MT/동아리/봉사활동 등 활발하게 열리는 각종 오프라인 활동의 참석 여부는 선택 사항이며, 불참에 대한 불이익이 없으므로 지방/해외에 거주 중인 학우들도 많습니다.

세종사이버대학교는 고등교육법을 적용받는 4년제 온라인 대학교로서 졸업 시 오프라인 대학과 동등한 학사학위가 수여되므로 대학원 진학이 가능합니다. 현재까지 대학원 진학률은 약 13%이며, 그 중 절반은 세종대학교 대학원으로 진학합니다. 졸업 후 세종대학교 대학원으로 진학하면 일부 전공에 대하여 졸업 시까지 수업료 감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세종대학교와 세종사이버대학교는 동일한 재단 하에 설립된 교육기관입니다. 입학식, 특강, 체육대회 등의 행사는 세종대학교 캠퍼스 내 강당, 운동장 등에서 진행됩니다. 또한 학생증을 지참하면 세종대학교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세종사이버대학교와 세종대학교는 별개의 교육기관이므로 졸업증명서는 세종대학교 총장 명의가 아닌 세종사이버대학교 총장 명의로 발급됩니다.

조기졸업은 입학 학년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가능합니다. 1학년은 총 140학점을 이수해야 졸업이 가능하며, 4년 만에 졸업하기 위해서는 1학기에 평균적으로 18학점씩 8학기(4년)를 이수해야 합니다. [예시: 18학점 x 5 가지 필수전략 8학기 = 144학점] 계절학기는 최대 6학점까지 이수할 수 있으므로 계절학기를 포함한 한 학기 최대 이수가능 학점은 27학점입니다. 1학기에 27학점씩 6학기(3년)를 이수하면 140학점을 충족하므로 1학년 입학생은 3년 만에 조기졸업을 할 수 있습니다. [예시: 27학점 x 5학기 + 5학점 x 1학기= 140학점] 2학년 편입생은 편입 시 35학점을 인정받고 남은 105학점을 이수해야 하는데 이와 같은 방법으로 5학기 만에 졸업이 가능합니다. 3학년은 졸업에 필요한 70학점을 3학기 만에 5 가지 필수전략 이수하여 졸업할 수 있습니다. 단, 필요 학점은 물론 이수구분별 과목을 모두 완료해야 하고, 전체 평점평균이 3.5 이상인 자에 한하여 조기졸업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휴학은 학기 개시 전 지정된 기간 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1회 2학기를 초과할 수 없으며 재학 중 4학기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휴학 기간 만료에도 복학 신청을 하지 않는 자는 제적됩니다.

신입학으로 입학하는 경우에는 다른 대학(2년제/4년제) 또는 학점은행제로 이미 취득한 학점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이미 취득한 학점을 인정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편입학으로 지원하시기 바랍니다.

로봇 도입을 위한 중소 제조업체의 5가지 필수 요구사항

May 17, 2018 10:21:05 AM / 저자 Universal Robots / 0 의견 공유

SME1

중소 제조업체의 경우 생산성 측면의 이점은 커다란 영향을 미칩니다. 자동화는 상당한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로봇을 도입할 처지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SME(중소기업)이 많습니다. 사실 이러한 조직에서는 제한된 공간 내에 설치할 수 없고, 프로그래밍 및 유지 보수에 전문 인력이 필요하며, 투자의 정당성을 입증하기에는 투자 자금 회수 기간이 지나치게 길고, 막대한 비용이 드는 복잡한 대형 로봇은 감당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신세대 협동 로봇(“코봇”)이 판도를 바꿔 중소 제조업체가 보다 효율적으로 경쟁하고, 직원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며, 근로자의 안전까지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업장에 로봇을 도입하기 위한 다음 5가지 필수 요구사항을 살펴보겠습니다.

1. 빠른 설치

기존에는 산업용 로봇을 설치하는 데 며칠에서 심지어는 몇 주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이런 시간 및 작업 중단 문제는 중소기업이 감당하기 어렵습니다. 자동화 준비가 되면 여러분이나 교육을 받지 못한 운용자가 새 로봇의 포장을 풀고, 설치한 다음 여러 시간에 걸쳐 간단한 작업의 프로그래밍을 시작해야 했습니다. UR(Universal Robots)의 제품과 같은 협동 로봇 팔은 중량이 11kg(24.3lbs)에 불과하고 하루 안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캘리포니아 주 코스타메사 소재 수도꼭지 제조업체인 RSS Manufacturing and Phylrich에서 근무하는 자동화 및 통합 전문가 Shane Strange는 다음과 같은 경험을 들려주었습니다. “[UR 로봇]이 현장에 도착했을 때 우리는 재빨리 포장을 풀고, 로봇을 세울 스탠드를 찾은 다음 45분 이내에 설치를 마치고 전원을 켠 후 정말 앞/뒤로 움직이고 픽앤플레이스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을 프로그래밍했습니다.”

SME2

2. 전문 기술 없이도 손쉽게 있는 프로그래밍

대부분의 SME에는 로봇 프로그래머가 없고 로봇 프로그래머를 채용할 여력도 없습니다. 그러나 혁신적인 새 로봇 기술 덕분에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는 운용자도 논리적 공정 단계를 기반으로 직관적인 도구를 사용해 로봇의 움직임을 빠르게 프로그래밍할 수 있습니다. 내슈빌 소재 전자 제품 제조업체인 Scott Fetzer Electrical Group 이 UR 로봇을 설치했을 때 생산 라인 책임자인 Sebrina Thompson은 스마트폰을 다룰 수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이 로봇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보스턴 소재 의료 기기 제조업체인 Tegra Medical의 선임 제조 엔지니어 Paul Quitzau는 이렇게 말합니다. “Universal Robots의 제품은 매우 간단하게 프로그래밍할 수 있습니다. 논리적으로 생각할 능력이 있고 프로세스 실행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로봇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을 겁니다. 화면 배치가 매우 친숙하고 명령의 대부분이 직관적이라, 필요할 때마다 꺼내볼 수 있는 설명서가 제공되긴 하지만 펼쳐볼 일이 그다지 많지 않을 겁니다.”

3. 소규모 작업장에서도 안전하게 협업 가능

전통적인 산업용 로봇은 커다란 별도의 인클로저가 필요하며, 이로 인해 비용이 추가되고, 작업 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생산 현장에서 유연성이 떨어졌습니다. 또한 로봇 작동 중 누군가 인클로저 안으로 들어가야 하는 경우 안전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했습니다. 하지만 중소 제조업체는 로봇 작동을 위한 대규모 전용 공간을 마련할 형편이 안 됩니다. 오늘날 5 가지 필수전략 협동 로봇은 상호 보완적 작업 시 인간 옆에서 나란히 작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UR 로봇에 내장된 혁신적인 압력 인식 기술은 로봇이 인간과 접촉하면 작동을 멈춥니다. 전 세계에서 운용되고 있는 수천 대의 UR 로봇 중 80%가 (위험 평가 후) 안전 장치 없이 바로 인간 운용자 옆에서 작동하고 있습니다.

로봇은 반복 작업 및 부상이 발생할 수 있는 작업을 수행하고 이 제한된 제조 공간에서조차 근로자의 안전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몬트리올 소재 선반 제조업체인 Etalex에서 근무하는 기계 운용자 Richard Clive는 “Universal Robot 팔을 사용하는 지금, 저는 100% 안전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브레이크 프레스 가까이 손을 올려놓아야 했을 때는 언제든지 사고가 발생할 5 가지 필수전략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Universal Robots 사의 협동 로봇 덕분에 이제 누구도 다칠 가능성이 없습니다.”라고 말합니다.

4. 다양한 용도에 맞춘 유연한 배치

전통 산업 로봇은 종종 소량으로 제품을 생산해야 하고 빠른 전환이 필요한 중소 제조업체에는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에 반해, 새로운 협동 로봇은 가볍고, 공간을 적게 차지할 뿐 아니라 생산 레이아웃을 변경하지 않아도 여러 위치에 다시 배치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반복 작업을 위한 프로그램을 다시 사용할 수 있어 설치 시간 및 노력을 최소화해 신속함을 요하는 제조 공정을 지원합니다.

내슈빌 소재 전자 제품 제조업체인 Scott Fetzer Electrical Group에서 근무하는 운영 책임자인 Matt Bush는 전통적인 안전 인클로저가 필요한 상황을 직면했을 5 가지 필수전략 때 이동식 로봇 노동력을 구축하는 방법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휠에 Universal Robots의 협동 로봇을 장착하면서 이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그는 이렇게 말합니다. “이제 직원들이 아침에 출근하면 더는 단조로운 일을 하지 않습니다. 로봇에게 다가가 그날 해야 할 일이 무엇이든 그에 맞춰 로봇을 배치할 수 있죠.” 미니애폴리스 소재 사출 성형기 제조업체인 Dynamic Group의 공동 소유자인 Joe McGillivray는 이와 비슷한 전략을 도입했습니다. 그는 이렇게 설명합니다. “우리는 로봇을 신속하게 다시 배치해 바로 새로운 작업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로봇(실제로는 모든 로봇)을 활용하죠. 휠 주위를 이동하면서 프레스에서 프레스로, 애플리케이션에서 애플리케이션으로 로봇을 밀어넣기만 하면 됩니다. 이것은 정말 큰 이점입니다.”

SME5

5. 빠른 투자 비용 회수

당연히 중소 제조업체는 자동화 투자 비용을 가급적 빨리 회수해야 합니다. Universal Robots는 로봇 프로그래밍, 설치 및 차폐된 전용 작업 셀과 관련해 전통적으로 추가되는 비용 없이 첨단 로봇 자동화의 모든 이점을 제공합니다. 평균 투자 비용 회수 기간이 195일에 불과해 중소 제조업체도 로봇 자동화를 도입할 수 있습니다.

의료 기기 제조업체 Tegra Medical의 제조 책임자인 Hal Blenkhorn은 “우리는 Universal Robots의 로봇 덕분에 재정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투자 비용 회수에 평균 3~6개월 밖에 걸리지 않았으니까요. 비용, 구현 및 사용의 편의성을 두루 살펴보았는데 Universal Robots는 이러한 부분에서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습니다.”라고 평가했습니다. Dynamic Group의 Joe McGillivray는 이렇게 말합니다. “처음 자동화에 대해 알아보기 시작했을 때 저는 우리 회사가 6축 로봇을 그것도 협동 로봇으로 도입할 수 있다는 사실에 정말 깜짝 놀랐고, 비용이 수십 만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그런데 초기 시스템에 대한 투자 수익을 거둬들이는 데 불과 2달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여러분의 제조 작업을 위해 Universal Robots가 지원할 수 있는 분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면 산업 또는 자동화 작업별 고객 사례 연구를 참조하십시오.

Universal Robots

We believe that collaborative robotic technology can be used to benefit all aspects of task-based businesses – no matter what their size.

We believe that the latest collaborative robot technology should be available to all businesses. The nominal investment cost is quickly recovered as our robotic arms have an average payback period of just six months.

마케터의 84%는 고객의 기대가 디지털 전략을 변화시키고 있다고 말합니다.

리포트라고 할 수 있는 이번 연구조사 결과를 통해시장 트렌드를 살펴보고, 우리에게 필요한 변화는 무엇인지 분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면 원격 근무 이슈가 있습니다. 82%의 응답자는 회사가 원격 근무와 관련된 새로운 정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합니다. 지난 한 해 동안 고객이나 동료들과 소통하기 어려운 상황이 많았고, 마케팅 담당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비대면 커뮤니케이션 방안을 찾아내고 있습니다. 그러나 마케터의 69%는 여전히 팬데믹 이후 커뮤니케이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이제 우리는 새로운 업무 환경에서 어떻게 적응해 나가야 할까요?

해당 보고서의 5가지 주요 내용을 읽어보세요.

마케팅 트렌드 보고서

1. 협업이 가장 중요한 과제입니다.

언제나 마케터에게 최우선 과제이자 고민거리로 꼽히는 것은 혁신과 실시간 고객 참여 같은 것들입니다. 아래의 리스트를 보면 마케터들이 무엇에 집중하고 무엇을 걱정하는지 면밀히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마케터들의 우선 과제와 고민거리

우선 협업에 관해 이야기해볼까요? 원격 근무가 늘어나면서 마케터는 동료와 단절된 경험을 느낄 수 있습니다. 직원과 회사가 비대면 원격 근무에 관심을 가지는 한, 마케터들은 화상회의나 메시지 플랫폼처럼 새로운 기술을 계속 사용하게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문제는 더욱 심화할 수밖에 없습니다.

위에 리스트에서 볼 수 있듯이 마케터들이 공통적으로 우선시하는 항목 중 새롭게 부상한 부분이 바로 채널과 기기 전반에 걸쳐 일관된 고객 여정을 조성과 마케팅 ROI와 기여도를 개선하는 것입니다. 이 문제 역시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협업이 필요합니다.

마케팅 조직 내부와 영업 및 서비스 부서의 협업은 고객 접점에서 연결되고 일관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필수 불가결한 요소입니다. 마케팅 조직의 78%가 판데믹 상황에 대응하여 새로운 업무 협업 기술을 도입했습니다. 마케팅 캠페인 및 활동 전반에 걸친 협업은 마케터가 마케팅 ROI를 측정할 혁신적이고 새로운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본인의 마케팅 ROI 및 퍼포먼스를 측정하는 능력에 만족하는 마케터는 고작 31%에 불과하므로, 리더는 이러한 영역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한편, 협업 이슈 외에도 체계적인 조직 구조의 미흡과 업무 프로세스의 부족에 대한 우려가 리스트에 올랐습니다. 마케터들이 지난 1년 동안 경험했던 빠른 비즈니스 혁신 속도에 대해 우려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그러나 지금은 안정화를 꾀하기보다는, 프로세스를 개선함으로써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다시 한 번 고민해봐야 할 때입니다.

2. 디지털 환경에서 혁신과 탄력성은 마케터가 고객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기업과 소비자의 상호작용 중 60%가 디지털 방식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새로운 기술과 채널의 등장은 간혹 마케터들에게 허들로 작용할 수도 있지만 마케터들은 오히려 그런 도구들을 이용해 효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흔히 "신문물"이라고 생각하는 디지털 채널조차 최근에는 팟캐스트 및 스트리밍(OTT) 광고와 함께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마케팅 조직들이 사용 중인 미디어 채널들

결국, 장기적으로 좋은 디지털 마케터인지 아닌지의 여부는 혁신과 탄력성에 달려있습니다. 업무 성과와 ROI(Return on Investment)에 보통 이하의 만족 수준을 보이는 ‘마케팅 성과 저조 군’의 48%는 마케팅 전략, 전술 및 기술 혁신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합니다. 반면 ‘성과가 높은 군’의 경우, 31%의 마케터만이 마케팅 전략, 전술 및 기술 혁신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는 혁신 수준과 성과가 유의미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3. 데이터가 많다고 더 좋은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더 스마트한 데이터 의사결정을 의미하는 것 또한 아닙니다.

마케터들은 2022년까지 2020년 대비 평균적으로 75% 더 많은 데이터 소스를 사용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합니다. 그러나 조사에 따르면, 마케팅 담당자의 33%만이 데이터에 기반한 고객경험을 제공하는 데 있어 만족할 만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성과가 좋은 마케팅 조직과 성과가 낮은 조직을 나누어 분석하면 더 큰 차이가 드러납니다. 해당 질문에 대해 ‘마케팅 성과가 높은 조직 군’은 전체의 47%가 고객 5 가지 필수전략 경험을 위한 데이터 활용 능력에 매우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나 비교군의 매우 만족 응답률은 8%에 그쳤습니다.

이러한 데이터 문제를 어떻게 개선해야 할까요?

마케터는 데이터 소스가 많다고 해서 반드시 풍부한 고객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인지해야 합니다. 실제로 많은 마케터들이 전반적으로 데이터 품질에 대해 큰 아쉬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고객 데이터의 다양한 활용에 매우 만족이라고 답한 한국 마케터의 비율

마케팅 리더는 조직 내에서 데이터 활용을 촉구하고 데이터 리터러시(Data Literacy)를 향상해 데이터 관리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5 가지 필수전략 리터러시는 마케팅 리더들이 주도적인 데이터 소스 선택과 통합을 통해 IT와 긴밀하게 협력할 수 있을 만큼 데이터 품질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마케팅 전략의 미래는 데이터에 달려있기 때문에 지금의 데이터 관련 관행을 개선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성공을 위한 투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 어카운트 기반 마케팅(ABM)은 주의 깊게 채택해야 합니다.

ABM 프로그램의 다양한 활용에 매우 만족이라고 답한 한국 마케터의 비율

하지만 ABM에 투입된 자원에도 불구하고, ABM 프로그램의 기술, 측정, 개인화 기능 및 대상 고객 식별과 같은 여러 측면 중 하나라도 완전히 만족하고 있는 마케터는 절반이 되지 않습니다.

ABM 프로그램은 물론 새롭고 유용한 프로그램입니다. 하지만 마케팅 담당자들은 이러한 프로그램 채택 전략에 있어 안주해서는 안 됩니다. 시장이 발전하는 만큼 디지털 및 기술 관련 스킬을 갈고 닦아야 하고, 영업팀과의 협력에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아직 늦지 않았습니다. 이제 ABM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필요한 필수적인 디지털 기술과 판매 및 서비스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계획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5. 마케터에게는 미래를 위한 교육이 필요합니다.

마케팅 조직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두 가지 방안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인재를 고용하는 것이고, 두번째는 현재 직원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어느 쪽이 더 좋은 선택일까요?

정답은 조직 내부 교육 자원의 품질에 따라 상이합니다. 실제로 교육 문제는 많은 조직에서 우려하고 있는 대상입니다. 안타까운 결과지만, 마케터의 44%만이 자사가 제공하는 직원 교육 프로그램을 우수하다고 평가합니다.

마케터들이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기술에 대한 교육조차도 부족한 실정입니다. 마케터들이 개선하고 싶은 1순위 요소로 창의성을 뽑았지만, 전체 기업의 44%만이 해당 영역과 관련된 교육을 제공합니다. 비교적 수요가 높고 중요하게 여겨지는 데이터 분석 기술도 마찬가지입니다. 분석 관련 교육을 제공하는 기업은 39%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마케팅 리더는 재교육을 통해 기존 인적자원을 활용할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인적자원을 발굴할 것인지 선택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마케팅 리더는 기존의 교육 프로그램을 자세히 살펴서 충분한 리소스가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팀에 적합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마케터가 역동적인 시장 상황에 대응하고 새로운 트렌드를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모든 산업 분야는 하루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래 지향적인 태도를 갖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그러나 현재 가지고 있는 자원을 파악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마음가짐은 마케터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무기가 될 것입니다.

Salesforce의 를 통해 통해 8,200명 이상의 글로벌 마케터들의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보고서를 통해 마케터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에 대해 알아보세요.

포장 디자인의 필수 법칙 5가지 (포장 박스 제작 시 필독!)

포장 디자인의 필수 법칙 5가지 (포장 박스 제작 시 필독!)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포장 디자인의 중요성은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해 증명되었습니다. 좋은 포장은 고객에게 신뢰를 줄 뿐만 아니라 제품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새 포장 박스를 제작하거나 기존 디자인을 변경할 때 알아두면 좋은 포장 디자인의 다섯가지 필수 법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패키지 디자인 대해서 이미 충분히 아신다면 무료로 한번 시도 해보세요!

제 1법칙: 디자인에 브랜드와 제품을 반영하라

포장은 제품과 브랜드를 반영합니다. 컬러를 따를 수도 있고, 브랜드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일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브랜드가 친환경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다면, 크게는 포장의 재질부터 작게는 글귀, 일러스트 등을 통해 이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각적으로나 언어적으로 어느 쪽이 윗면이고 아랫면인지 나타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배송 과정에서 제품이 쏟아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도 합니다.

출처: packagefreeshop

제 2법칙: 포장 디자인일관성을 부여하라

당신에게 수많은 제품이 있다고 해도, 일관적인 형식이나 재료, 혹은 컬러를 정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브랜드의 일관성을 지킬 경우 고객은 쉽게 당신의 제품을 알아차리고, 당신의 브랜드나 5 가지 필수전략 다른 제품에 호감이 있는 경우 이를 미리 찾아 구매하기도 합니다.

제 3법칙: 명확하고 정확하게 디자인하라

어떤 식으로 명확해야 하냐구요? 당신의 브랜드와 경쟁사의 제품을 구별할 수 있을 정도며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명확하게 드러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메시지를 통해 광고 효과를 낳을 수도 있을 뿐더러 브랜드의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패키지 디자인의 필수 법칙 5가지 (포장 박스 제작 시 필독!)

패키지 디자인을 제작 중이라면 필독: 패키지 디자인의 중요한 9가지 이유

제 4 법칙: 차별성을 부여하라

슈퍼마켓이나 올리브영의 선반에서 특별히 눈에 띄는 제품을 발견한 적이 있으신가요? 독특한 컬러, 형식, 재질 그리고 모양을 통해 패키지를 차별화할 수 있습니다. 만약 제품 패키지 차별화에 성공하는 경우, 이는 당신의 브랜드 인지도를 훨씬 높여줄 것입니다. 코카콜라 하면 어떤 색이 떠오르시나요? 맥도날드는요? 전략적으로 컬러를 설정하고 이를 당신의 브랜드와 제품의 인지도 상승을 위한 도구로 사용하십시오.

제 5법칙: 기능에 충실하라

당신의 포장이 예쁘기만 할 뿐 너무 많은 자리를 차지하지는 않나요? 혹은 재활용 불가능한 재질을 이용하고 있지는 않나요? 패키지가 수행해야 하는 기능을 정확히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큰 포장은 운송비를 상승시킬 뿐더러 자리를 많이 차지하곤 합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