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강삼각형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6월 3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Hammer

하강삼각형

비트코인 가격은 7월 최저치인 32,700 달러 보다 8.5% 상승했다. 비트코인은 지난 이틀간 3,000 달러 이상 급등하며 20일 이동 평균선(34,900 달러)을 넘어섰고, 현재 일봉 시간대에서 큰 저항에 직면해 있다. 이를 크립토포테이토가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가장 큰 저항은 비트코인이 5만 달러 이상으로 거래되던 5월 중순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하락 추세선에 의해 제공된다. 이 선은 약 10일 후에 정점이 예상되는 잠재적 하강 삼각형 패턴의 위쪽 각도를 형성하는 반면, 삼각형 바닥은 약 31,000 달러(2021년 5월 19일 BTC가 처음 리테스트 이후 이미 5회에 걸쳐 지지를 발견한 수준)이다.

짧은 기간을 살펴보면 비트코인 가격은 화요일 36,620 달러로 주간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하락하는 가격 채널 내에서 거래되었으며, 목요일과 금요일 양일간 약 32,700 달러로 하락세를 보였다.

이후 금요일 하락폭을 돌파해 주말부터 단기 상승폭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오늘 오전 BTC는 MA-20과 합쳐 약 34,760 달러까지 폭등하여 저항을 깼는데, 이는 35,700 달러에 달해 상기 가격 채널의 상한선에서 저항에 도달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비트코인에 대해 약간의 긍정적인 움직임이 보이기 시작했다. 하지만, MA-20(약 34,900 달러), 중기 하향 추세선, MA-50(약 36,600 달러, 지난주 최고치와 동일) 등 주요 저항선을 극복해야 한다. 또한, 일일 RSI도 2021년 2월에 형성되기 시작한 하강 추세선을 다시 테스트하는 등 중요한 수준에 있다.

언제나 그렇듯이 비트코인은 5월 중순부터 3만 달러에서 4.2만 달러 하강삼각형 하강삼각형 사이의 범위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상승 곡선으로 돌아가려면 42,000 달러 이상을 돌파해야 한다.

[BTC 가격 지원 및 저항 수준]

주요 지지 수준: 34,900 ~ 35,000 달러, 33,900 하강삼각형 달러, 33,500 달러, 32,700 달러, 31,675 달러.

주요 저항 수준: 36,620 달러, 38,000 달러, 38,570 달러, 39,490 달러, 40,500 달러.

매수자들이 결합된 35,700 달러의 저항을 깨고 36,000 달러를 넘을 경우 첫 번째 강력한 저항은 6월 말과 50일 MA에 의해 제공되는 36,620 달러이다. 그 뒤를 38,000 달러, 38,570 달러(피보나치 1.272 연장), 39,490 달러, 그리고 40,500 달러 순이다. 강력한 저항은 42,000 달러(2021년 1월 최고치)에 있다.

반면, 첫 번째 지원은 34,900 ~ 35,000 달러(20일 MA 및 단기 가격 채널의 낮은 각)이다. 이 밑에서는 33,900 달러, 33,500 달러, 32,700 달러(7월 최저치), 31,675 달러의 지지가 있다.

일일 RSI는 최근 우리가 여기에서 따라오던 장기 내림 추세선으로 돌아갔다. 이는 2월 말 이후 최고치(RSI상)를 올리지 못했기 때문에 모멘텀이 깨지기에는 매우 중요한 수준이 될 것이다. 단기 모멘텀이 최근 7월에 처음으로 중간선을 넘어섰는데, 이는 매수자들이 어느 정도 입지를 다지려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주식 차트 패턴 (2)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주식 차트 패턴(1) 포스팅에 이어 좀 더 다양한 주식파트 패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크게는 삼각형(Triangle), 직사각형(Rectangle), 쐐기(Wedges) 패턴이 있으며, 삼각형에는 상승 삼각형(Ascening triangle), 하강 삼각형(Descending triangle), 대칭 삼각형(Symmentrical Triangle)이 있습니다. 먼저 삼각형 패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삼각형(Triangle)

삼각형 패턴은 시장 가격이 한 곳으로 모아질 때 발생합니다. 삼각형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가격이 다음에 어디로 이동할지 알려줄 수 있습니다.

상승삼각형 (Ascending triangle)

시장이 수평 저항선 (resistance level)을 넘어서게 되면 상승 삼각형이 되어 더 높은 쪽으로 가격이 모이고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 패턴은 더 올라갈 것이라는 신호일 수는 있지만 저항선이 너무 강하게 존재할 시 가격이 반등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패턴이 형성될 때까지만 기다렸다가 거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강 삼각형 (Descending triangle)

하강 삼각형은 상승삼각형과 반대방향으로 나타납니다. 즉, 시장은 지지선(support level)에 도달하게 되면 하강 삼각형이 되는 패턴을 보이고 더 낮은 쪽으로 가격이 모이고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대칭삼각형 (Symmetrical Triangle)

특정한 삼각형 패턴이나 명확한 추세가 없으면 시장이 상승하거나 하락할 가능성이 동일합니다. 이를 '대칭삼각형'이라 합니다.

직사각형(Rectangle)

대칭삼각형처럼 유사한 지속적인 패턴입니다. 지지선과 저항선 사이 좁은 영역에서 거래가가 오르거나 하강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웨지(Wedges) 패턴은 시장 가격이 두 개의 경사 추세선 사이의 좁은 범위로 좁혀지기 시작할 때 형성됩니다. 웨지 패턴은 상승 쐐기 패턴과 하강 쐐기 패턴이 있습니다.

상승 쐐기(Rising wedges)는 지지선과 저항선의 위쪽으로 기울어진 두 선사이에서 발생합니다. 이 경우 지지선은 저항선보다 더 가파릅니다. 이 패턴은 일반적으로 가격이 더 낮아질 거라는 신호입니다.

상승쐐기 패턴

하강 쐐기(Falling wedges)는 두 개의 하향 경사 레벨 사이에서 나타나는 패턴입니다. 이 경우에는 저항선이 지지선보다 가파르며 일반적으로 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신호입니다.

Candlestick patterns(캔들스틱 패턴)

이 패턴은 지난 포스팅에서도 다루어본 적 있는데, 좀 더 자세하게 다루어보겠습니다. 개인적으로 패턴 분석 중에서 무엇보다 캔들스틱 패턴을 분석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패턴을 통해 매수자와 매도자 사이의 균형 또는 상황을 알 수 있습니다.

Marbuzo(마라부조)

마라부조 패턴은 몸통이 크고 심지가 없는 모양을 말합니다. 이 패턴은 매수자가 시가에서 종가까지 가격을 크게 올렸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초록색이면 매수자가 우월한 위치에 있는다는 말이고, 빨간색일 경우는 매도자가 우월한 위치에 있다는 것입니다.

Spinning top (팽이)

위아래 길이가 거의 같은 모양이며 작은 몸통과 심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시장의 우유부단함 성격을 나타내며, 상승 추세 또는 하락 추세를 따르는 기간을 나타냅니다.

도지도 팽이 패턴과 비슷하게 우유부단한 성격을 나타내기도 하며, 몸통이 거의 없는 모양입니다. 이 패턴은 시가와 종가가 매우 가깝거나 동일하다는 말이고, 일반적으로 통합 기간에서 고점 또는 저점에서 나타납니다. 시장을 주도하는 매수자와 매도자의 확신이 약해짐에 따라 추세가 역전될 수 있습니다.

심지가 몸통보다 2배 이상 길어 망치 모양처럼 생겼습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면 아래쪽 심지가 몸통보다 2배이상 길고 위쪽 심지는 거의 안보이는 Hammer 패턴은 강한 신호를 의미합니다.

Hammer

이러한 신호가 하락 추세를 보이는 시장에서 저점에서 존재할 경우 곧 상승 추세로 바뀔 수 있습니다.

패턴의 유형이 많아서 다음 포스팅에서 candlestick pattern에 대해 좀 더 다루겠습니다.

지난 포스팅: 주식 차트 유형과 차트 패턴(1)

주식 차트 유형과 차트 패턴 (1)

차트 유형 차트에는 선, 막대, 촛대 모양의 차트 유형이 있습니다. 라인 차트 (Line chart) 라인 차트는 가장 단순한 형태의 차트로 가격의 움직임을 매우 단순하고 명확하게 표현됩니다. 자산의

하강삼각형

이등변삼각형의 성질, 이등변삼각형이 되는 조건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도형과 도형의 성질에 대해서 알아볼 거예요.

우리가 알고 있는 도형들의 정확한 수학적 정의를 알아보고, 그 정의를 이용해서 증명도 해보죠. 증명된 명제는 정리로서 기억해야해요.

증명에 많이 사용되는 정의 중 가장 대표적인 게 삼각형의 합동조건이에요. 이 글에서도 삼각형의 합동조건을 계속 사용할 거니까 한 번 읽어보세요.

이등변삼각형의 정의, 이등변삼각형의 성질

이등변삼각형은 두 변의 길이가 같은 삼각형이에요. 이등변삼각형에서 길이가 같은 두 변으로 이루어진 각을 꼭지각이라고 해요. 그리고 꼭지각이 아닌 다른 두 각을 밑각이라고 하고, 꼭지각의 대변을 밑변이라고 해요.

이등변삼각형의 성질
- 두 밑각의 크기가 같다.
- 꼭지각의 이등분선은 밑변을 수직이등분한다.

이등변삼각형이 무엇인지, 꼭지각과 밑각, 밑변은 어떤 것인지 대한 설명은 정의에 해당해요. 그리고 이등변삼각형의 성질은 참으로 밝혀진 명제, 즉 정리에 해당하죠. 정의와 정리의 차이를 알 수 있겠죠? 수학의 정의, 정리, 증명

그럼 참으로 밝혀진 명제인 이등변삼각형의 성질을 증명해볼까요. 일단 증명할 때는 가정과 결론, 증명으로 나눠서 해요.

이등변삼각형에서 두 밑각의 크기는 같다.

이등변삼각형이니까 두 변의 길이가 같아요. 이걸 가정으로 쓰고, "두 밑각의 크기가 같다"를 결론으로 하면 되네요.

가정: △ABC에서 이다.
결론: ∠B = ∠C이다

△ABC에서 꼭지각 ∠A의 각의 이등분선을 긋고 밑변과 만나는 점을 점 D라고 해보죠. 그러면 △ABD와 △ACD로 나뉘어요.

(1) (가정)
(2) ∠BAD = ∠CAD (∠A의 이등분)
(3) 는 공통

(1), (2), (3)에서 △ABD와 △ACD는 두 변의 길이와 하강삼각형 하강삼각형 그 끼인각이 같은 합동인 삼각형이에요. △ABD ≡ △ACD

따라서 대응각인 ∠B와 ∠C는 크기가 같죠. (증명 끝.)

이등변삼각형에서 꼭지각의 이등분선은 밑변을 수직이등분한다.

이등변삼각형이니까 두 변의 길이가 같고요. 꼭지각의 이등분선이라고 했으니까 둘로 나눈 각은 크기가 같겠죠? 이걸 가정과 결론으로 써보죠.

가정: △ABC에서 , ∠BAD = ∠CAD이다.
결론: , 이다

(1) (이등변삼각형, 가정)
(2) ∠BAD = ∠CAD (∠A의 이등분, 가정)
(3) 는 공통

(1), (2), (3)에서 △ABD와 △ACD는 두 변의 길이와 그 끼인각이 같은 합동인 삼각형이에요. (4) △ABD ≡ △ACD

대응변인 선분 BD와 선분 CD의 길이는 같죠. (5) 이다

그리고, 대응각인 ∠BDA와 ∠CDA도 같아요. ∠BDA = ∠CDA
그런데 이 크기가 같은 두 각을 더하면 평각인 ∠BDC가 돼요. ∠BDA + ∠CDA = 180° 결국 (6) ∠BDA = ∠CDA = 90°인 거죠.

(4)에 의해 가 되고, (6)에 의해서 가 됩니다. (증명 끝.)

이등변삼각형이 되는 조건

이등변삼각형이 어떤 삼각형인지 어떤 성질이 있는지 알아봤어요.

이번에는 반대로 어떤 삼각형이 있는데, 이게 이등변삼각형인지 아닌지 알아보려고 해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이등변삼각형의 성질을 거꾸로 하면 돼요. 이등변삼각형은 두 밑각의 크기가 같다고 했어요. 이걸 거꾸로 해서 세 내각 중 두 내각의 크기가 같은 삼각형이 이등변삼각형인 거죠.

이등변삼각형이 될 조건 - 두 내각의 크기가 같은 삼각형은 이등변삼각형

이것도 가정과 결론으로 나누어 증명해보죠.

가정: △ABC에서 ∠B = ∠C
결론:

△ABC에서 ∠A의 각의 이등분선을 긋고 밑변과 만나는 점을 점 D라고 해보죠. 그러면 △ABD와 △ACD로 나뉘어요.

(1) ∠BAD = ∠CAD (∠A의 이등분)
(2) 는 공통

모든 삼각형 내각의 합은 180°에요. △ABD의 내각의 합과 △ACD의 내각의 합은 같죠.

∠BAD + ∠B + ∠ADB = ∠CAD + ∠C + ∠ADC인데, (1) ∠BAD = ∠CAD와 가정 ∠B = ∠C에 의해서 (3) ∠ADB = ∠ADC가 돼요. 결국 두 삼각형에서 세 각의 크기가 서로 같아요.

(1), (하강삼각형 2), (3)에 의해서 △ABD와 △ACD는 한 변의 길이와 그 양끝각이 같은 합동이지요. (4) △ABD ≡ △ACD.

따라서 대응변인 선분 AB와 선분 AC의 길이가 같아요. (증명 끝.)

다음 그림에서 x를 구하여라.

그림에 보면 선분 AB와 선분 AC의 길이가 같다고 표시되어 있네요. 즉 이등변삼각형이에요. 이등변삼각형에서 밑각의 크기는 서로 같아요.

삼각형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인데, 한 각은 110° 다른 두 같은 x로 크기가 같아요.
x + x + 110 = 180
x = 35(°)

이등변삼각형: 두 변의 길이가 같은 삼각형

  • 이등변삼각형에서 두 밑각의 크기는 같다.
  • 이등변삼각형에서 꼭지각의 이등분선은 밑변을 수직이등분한다.하강삼각형

두 밑각의 크기가 같으면 → 이등변삼각형

댓글( 37 개) 펼치기/닫기

    이전 댓글 더보기

이등변 삼각형이 될 조건 증명에서
삼각형 내각의 합 쓰신 식에서
△CAD + ∠C = ∠ADC라고 써있어여

배워볼꺼에요
=> 배워볼 거예요.

(실제로 맞춤법이 틀리다고 나온답니다.)

이등변삼각형에서 꼭지각의 이등분선은 밑변을 수직이등분한다. 의 증명에서요

제일 중요한 결론이 잘못써져있네요.

꼭지각의 이등분선이라는 것은 꼭지각의 크기를 2로 나누었다는 것인가요>?

이등분선은 둘로 똑같이 나누는 선이잖아요.
각의 이등분선은 각을 똑같이 둘로 나눴다는 뜻이죠.

두밑각의 크기가 같은 삼각형은 이등변삼각형임을 증명하는 과정에서 각A의 이등분선과 밑변BC가 만나는점을 D라하면 삼각형 ABD와 삼각형ACD에서 선분AB=선분AC/각BAD=각CAD/각B=각C
삼각형 ABD는 삼각형ACD와 합동(ASA합동)
[선분AB=선분AC]
이렇게나타낼수도있느건가요?

AB = AC인 걸 증명해야하는데 증명 과정에 AB = AC가 사용되었네요. 그러니까 적어주신 방법으로는 증명할 수 없어요.

그런데요. 이등변삼각형의 조건에서 두밑각의 크기가 같으면 이등변 삼각형이다; 이것을 증명했잖아요. 근데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각의 이등분선은 밑변을 수직이등분한다, 이거는 왜 될수 없는지 알려주세요~~

안된다는 얘기는 없어요.
다만, 그런 상황(한 각의 이등분선이 대변을 수직이등분하는 경우)가 흔지 않기때문에 다루지 않을 뿐이에요.

이등변 삼각형의 경우에는 꼭지각의 이등분선이 항상 대변을 수직이등분하지 않나요? 이등변 삼각형의 경우라면 그것이 성질이 될 수 있지 않나요?

본문의 내용이 그 내용이에요.

다시 책을 보다가 2학년 통합 152페이지 이등변삼각형의 성질을 증명하는 내용에 많은부분이 잘못된것같아 여기 와서 다시 확인했습니다
보니까 도형의 성질 시작 이후부터 책과는 많이 다르더군요, 웹페이지 내용을 살펴보고 맞춰 제 책의 내용을 수정했습니다.

지난번에 원고 확인해보시라고 말씀드린건 저 말고 다른분들께 도움을 드리고자하는 의도였지 주인장님께 독촉이나 재촉같은걸 하려고 한건 아니었습니다 뭔가 기분상하신것이 있다면 죄송합니다 그런 의도는 없었습니다

답변적어주셨듯이 책의 원고를 수정, 반영하여 다음 출판시 반영되도록 한다는것은 여러 과정을 거쳐야 하는것으로 쉬운일이 아닐것입니다

제 생각에는, 어떤 책의 저자이건 처음부터 완벽한 서적을 내는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사람이 하는일이고, 제대로 썼다고 하더라도 편집과정에서 실수로 오탈자가 발생할수도 있는것이니까요
이런 문제들을 모두 예측하거나 방지하는것은 거의 불가능할것입니다.

보통,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판사 홈페이지나, 책의 저자의 홈페이지, 또는 번역서적의 경우 번역자의 홈페이지같은곳에서, 오/탈자와 올바른 내용을 따로 한군데 모아서 표기해둔 페이지를 제공하곤 합니다.
수학방 주인장님도 이런것을 도입하시면 어떨까 합니다

하강삼각형

​ 구도 ( 構圖 / composition) 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그림에 있어서 구도는 참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물론 입시그림에서 사용하는 구도는 한정적일 수도 있지만

기본적인 구도에 대해서 잘 알고 있다면

다른 사람과는 뭔가 다른 좀 더 깊이있는 그림을 그릴 수 있지 않을까요?​

그림에서 모양, 색깔, 위치 따위의 짜임새(의도,계획)을 말합니다.

구도는 배치가 무질서하지 않게 도는 단조롭지 않게 화면을 구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구도의 요소

단조롭지 않게 하는 요소로 화면이 이등분으로 나눠지거나 같은 형태의 반복은 변화가 없어집니다.

그러나 지나친 변화는 혼란을 가져옵니다 .

산만하지 않게 하는 요소로 혼란과 단순함을 피하기 위해서 통일성이 필요합니다 .

화면 안에서 상하좌우 또는 대각선으로 완벽한 균형은 느낌을 줍니다 .

변화가 있으면서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는 조화 속에서 균형의 가치를 가집니다 .

음악적인 요소로 형이나 색이 반복되는 경우에 생기고 , 화면에 생명감과 흥미를 갖게 합니다 .

평면에 나열된 형체이지만 선의 방향을 집중시킨다든지 색의 강약 , 형의 대소 , 선의 방향 등으로 표현됩니다 .

구도의 하강삼각형 종류

'사고의 전환'의 드로잉처럼 중앙에 물체 하나만을 배치하는 구도

주체에 대한 강한 이상을 줍니다.

인물 좌상이나 정물화, 풍경화 중 하나의 건물을 그릴 때 적당합니다.

정적인 안정감을 주며 숭고 장엄한 느낌을 줍니다.

깊숙하고 넓은 장면을 표현하기에 적당합니다.

통일감과 집중감을 강하게 하는 구도입니다.

수평선, 지평선 등을 그릴 때 적합하고, 조용함, 확대, 온화한 느낌을 줍니다.

숲 속 풍경이나 건물 등을 그릴 때 하강삼각형 적당한 구도입니다.

엄숙, 장엄, 상승, 하강, 차가운 느낌을 줍니다.

수평 구도와 수직 구도의 양면의 성격을 모두 가지며 구조감을 느끼게 합니다.

활동적인 장면을 표현하기 좋으며, 움직임, 속도감, 방향감, 불안감의 느낌을 줍니다.

큰 움직임을 암시하는 구도로 원근감이나 움직임의 느낌을 줍니다.

사선 구도의 반복된 구도라고 생각하면 되고,

움직임, 불안감, 원근감의 느낌을 줍니다.

균형의 아름다움을 얻을 수 있으며, 변화 있는 안정감을 느끼게 합니다.

원 형의 부드럽고 원만한 느낌을 주며, 군상화를 그릴 때 많이 사용됩니다.

미대입시전문 서울대, 국민대, 이화여대, 고려대, 홍익대 등 디자인, 회화, 애니메이션, 유학 전문 미술학원. 예중, 예고 전문반 운영(소수정예반)

비트코인 입문자를위한 공부방

초보 트레이더들에게는 암호화폐 거래 차트를 보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게 뭘 의미하는 거지? 다음에 어떤 일이 생길 지 예측할 수 있는 걸까? 모두 추측 아닌가?’ 꼭 그렇지도 않습니다! 차트 분석을 위해 살펴볼 수 있는 지표는 많으며 거래 패턴을 살펴보는 것은 인기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글에서는 강세와 약세의 개념, 그리고 몇 가지 일반적인 강세 및 약세 차트 패턴에 대하여 살펴볼 것입니다.

바이비트를 이용하시기 전에

먼저 테스트넷을 통해 거래를 하시거나 "바이비트 이용자 가이드" 카테고리에서

설명서를 읽으신 후 이용하시는걸 권장드립니다.

하단의 제휴링크를 통해 가입하시면 수수료를 할인 받으실 수 있습니다

초기자본금이 적으신 분들께선 바이비트로 송금시

수수료가 저렴한 EOS, XRP 를 이용하신다면 수수료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실시간 코인뉴스 & 업데이트 소식 알림봇

바이낸스/바이빗 마진 커뮤니티 실시간코인뉴스 ♐Rin

#암호화폐정보 #알림봇 #$600usdt #수수료할인 #바이비트 #바이낸스 #마진거래 #bybit #binance #비트겟 #gate #차트공부

강세장 vs 약세장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몇 가지의 강세장 및 약세장 차트 패턴을 자세히 알아보기 전에 기본적인 것부터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강세와 약세는 모든 종류의 거래에서 사용되는 매우 일반적인 용어입니다. 주식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면 시장은 자산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주식이 약세를 보이고 있다면 시장은 자산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강세장이란 일반적으로 자산 가격이 통상 20% 이상 상승하고, 20% 하락한 후, 다시 20 % 하락하기 전에 수개월 또는 수년 동안 지속되는 기간을 말합니다. 반면 약세장이란 자산 가격이 통상 20% 이상 하락하고, 20% 상승한 후, 다시 20% 상승하기 전에 수개월 또는 수년 동안 지속되는 기간을 말합니다.

암호화폐에서 강세장과 약세장의 예

지금까지 암호화폐에서 강세장으로 가장 유명했던 사례는 비트코인 및 다른 많은 암호화폐의 가치가 크게 상승했던 2017년에 발생했습니다. 비트코인(Bitcoin) 은 2016년 작별 인사를 고하면서 가격이 약 1,000 달러까지 올랐으며, 2017년 12월에는 거의 20,000달러까지 하강삼각형 상승했습니다. 이더(Ether) 는 2017년 12월 말 약 8달러에서 2018년 1월 약 1,400달러까지 상승했습니다. 이러한 가격 급등은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 전설이 되었습니다.

2017년이 암호화폐에서 강세의 해로 알려졌던 것처럼 2018년은 약세의 해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극도로 약세를 보인 해였습니다. 2017년 12월 말 가격이 천문학적으로 상승한 후 비트코인의 가격은 하락했지만 2018년 1월 초에 다시 소폭 회복되었으며 1월 7일에는 약 17,500달러 선에 머물렀습니다. 그러나 그 이후로는 가격이 급락했습니다. 가격은 연중 6,000달러에 그쳤으며 연말에는 4,000달러 정도였습니다. 다른 코인들도 2018 년에 끔찍한 해를 보냈습니다. 이더는 가격이 연중 450달러까지 하락했으며 12월에는 하강삼각형 83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2019년 초에 가격이 회복되기 시작했고, 4월 들어 비트코인 분석가 톰 리 는 “암호화폐의 겨울은 끝났다”라고 선언했습니다.

이제 몇 가지 다른 차트 패턴을 살펴보고 그것이 강세 (매수 신호) 또는 약세 (매도 신호) 인지 살펴보겠습니다.

헤드앤숄더형(Head and shoulders)

헤드앤숄더형은 거래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차트 패턴 중의 하나입니다. 강세에서 약세로 추세 반전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차트상으로 어깨와 머리가 나타납니다. 왼쪽 어깨에서는 가격 하락 이전에 한번의 가격 급등을 볼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머리가 따라오는데 더 큰 폭의 가격 급등이 있으며 가격이 최고점에 이르며 이후 또 다른 가격 하락이 발생합니다.

오른쪽 어깨에서는 또 다른 가격 급등이 있지만 가격이 머리의 최고점에 이르지 못합니다. 가격이 왼쪽 및 오른쪽 어깨 사이의 최저 가격인 ‘목선'(빨간색으로 표시됨) 아래로 떨어지면, 강세에서 약세로 추세 반전이 일어나기 때문에 차트 패턴은 완성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또한 이는 매도를 알리는 신호입니다.

역헤드앤숄더형(Inverse Head and Shoulders)

헤드앤숄더형이 매우 일반적인 약세 패턴인 것처럼, 역헤드앤숄더형(Inverse head and shoulders)은 약세에서 강세로의 추세 반전 패턴(trend reversal pattern)을 나타냅니다. 왼쪽 어깨에서는 가격이 회복되기 이전에 가격 급락이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머리에서는 추가적인 가격 하락이 있은 후 또 다시 가격이 회복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오른쪽 어깨에서는 가격 회복이 생기기 전에 가격이 급락하지만 머리에서만큼 가격이 떨어지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목선'(하강삼각형 빨간색으로 표시됨)을 돌파하면 추세 반전이 있기 때문에 패턴이 완성되는 것입니다. 이는 매수를 알리는 신호입니다.

상승 삼각형 (Ascending triangle)

상승 삼각형(ascending triangle) 역시 거래에서 사용되는 매우 일반적인 강세 차트 패턴입니다. 이것은 상승 추세 중에 만들어지는 연속 패턴입니다. 저항선(resistance level)이 있지만 저점이 높기 때문에 이는 자산 가격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저항선은 강세 상승 돌파가 일어나는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스윙 고점(swing highs)과 스윙 저점(swing lows)으로 점점 더 도전을 받게 되는데, 이때가 매수를 알리는 신호가 됩니다.

하강 삼각형(Descending triangles)

상승 삼각형(ascending triangle)의 반대에 해당하는 하강 삼각형(descending triangle)은 약세 차트 패턴으로 어렵지 않게 배울 수 있습니다. 이것 또한 연속 패턴이며 자산 가치가 하락하고 있다는 분명한 신호이며 고점이 낮은 특징이 있습니다. 지지선(support level)은 하락 약세 돌파가 일어나는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스윙 고점(swing highs) 및 스윙 저점(swing lows)으로 도전을 받는데 이때가 매도를 알리는 신호가 됩니다.

불 플래그 패턴(Bull flag pattern)

막대에 깃발을 꽂은 것과 닮았기 때문에 붙여진 이 차트 패턴은 상승 추세 때에 만들어집니다. 막대는 자산 가격의 급격한 상승을 나타내며, 그 후 불 플래그 차트 패턴(bull flag chart pattern)이 완성될 경우 가격이 통합되어 깃발이 됩니다. 이러한 통합 후 강세가 나타나는데, 이는 매수를 알리는 신호입니다.

베어 플래그 패턴(Bear flag pattern)

베어 플래그(bear flag)를 가진 막대는 자산 가격의 급격한 하락을 나타냅니다. 그 후 통합이 이루어지다가 약세가 나타나는데, 이는 매도를 알리는 신호입니다.

결론

차트 패턴과 마찬가지로 윤곽선은 완벽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윤곽선이 명확할수록 차트 패턴의 지표는 더 강해집니다. 또한 조치를 취하기 전에 차트 패턴을 완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내심이 중요한 것이죠. 차트 패턴이 얼마나 강한지를 보여주는 또 다른 지표는 기간입니다. 이는 며칠 동안에 만들어질 수 있겠지만, 적어도 몇 주 동안에 만들어진다면 일반적으로 더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바이비트 에서는 트레이딩뷰 차트를 사용하여 약세 또는 약세 차트 패턴이 언제 생기는지 분석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는 참고용입니다. 바이비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투자 조언 및 권고 내용을 담고 있지 않습니다. 해당 하강삼각형 리포트에서 제시하는 예측 및 전망은 불확실성이 가득한 암호화폐 시장을 대변하지 못합니다. 바이비트는 개개인의 투자 결정에 대한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거래 전략 및 조언에 있어서는 반드시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시길 바랍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