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 란 무엇입니까?
이 페이지는 PCI 규정 준수 및 취약점 지수에 대해 다룹니다.
Nexpose 의 위험 지수 평가 모델은 어떤 것이 있으며 이러한 모델 간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Nexpose 는 스캔 시 검색된 모든 자산 및 취약점에 대한 위험 지수를 계산합니다. 이러한 지수는 해당 취약점이 네트워크와 비즈니스 보안에 미치는 잠재적인 위험을 익스플로이트의 영향 및 발생 가능성을 바탕으로 표시합니다.
Nexpose 에서 제공되는 두 가지 위험 지수 평가 모델:
이 모델은 취약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기간 및 이러한 위험의 특성을 강조합니다. 오래된 취약점은 해커에게 알려진 기간이 길어 익스플로이트하기 쉽습니다. 임시 리스크 모델의 수학적인 계산에 사용되는 요소:
- 시간 기반 지수 란 무엇입니까? 발생 가능성(t)은 취약점이 공개된 이후 경과된 일의 수입니다. 전체 지수는 경과된 일의 수가 증가할 수록 같이 증가합니다.
- 근접성 기반 영향은 네 가지 변수의 합계입니다:
- 이러한 변수는 액세스 벡터(AV) 또는 익스플로이트 가능성, 대상에 로컬로 액세스 가능한지 여부, 네트워크 내에서 액세스 가능한지 여부 또는 네트워크 외부에서 액세스해야 하는지 여부가 있으며 지수는 로컬 액세스에 따라 커집니다
- 기밀성 영향(C) 또는 인증되지 않은 개인이나 시스템으로의 노출
- 무결성 영향(I) 또는 인증되지 않은 데이터 변경
- 가용성 영향(A) 또는 데이터 액세스 손실
- 두 개의 변수의 합계인 익스플로이트 복잡성:
- 익스플로이트에 필요한 기술을 기준으로 한 액세스 복잡성(AC) 또는 엑세스 발생 가능성, 익스플로이트가 간단할 수록 지수는 증가
- 인증 요건에 기반해 인증(Au) 또는 익스플로이트 가능성, 인증이 없으면 지수는 증가
이 지수는 큰 정수로 나타나며 최대 6자리로 표시됩니다. "최고" 수치는 없습니다. 이러한 수치는 서로 상대적입니다.
이 지수 평가 모델은 시간에 따른 취약점과 관련된 위험을 추적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또한 시간과 심각도가 강조되어 문제 해결 프로젝트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데 유용하므로 새로운 구축에 적합한 옵션입니다.
임시 지수 평가 모델 계산에 사용되는 공식:
이러한 공식을 분해하여 나타낼 수 있는 구성 요소:
가중 리스크 모델은 주로 자산 데이터 및 취약점 유형에 기반하며 다음의 요소를 강조합니다.
- Nexpose 가 각 취약점에 대해 계산하여 1~10의 숫자로 나타내는 심각도 수준
- 취약점 인스턴스 수
- 컴퓨터, 라우터 또는 WAP(Wireless Access Point)와 같은 자산 유형
- 자산의 서비스 수와 유형,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는 비즈니스 가치가 높음
- 사이트 구성 시 사이트에 할당하는 중요도는 사이트 생성 및 편집을 참조하십시오.
가중 리스크 지수는 취약점의 수에 따라 증가합니다. 자산에 취약점이 많으면 위험 지수는 커집니다. 이 지수는 주로 한 자릿수의 작은 숫자로 나타나며 소수점을 포함합니다.
위험 지수는 취약점 문제 해결 프로젝트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데 중요합니다. 이 지수는 CVSS 지수의 또 다른 중요한 메트릭입니다. FAQ에서 "CVSS 지수란 무엇입니까?"를 참고하십시오
PCI 스캔을 수행한 후 PCI 보고서에서 사용자의 환경이 규정을 준수하는 것으로 나타나면 해당 환경이 지수 란 무엇입니까? PCI를 준수하는 것입니까?
PCI(Payment Card Industry)의 승인을 받은 ASV(Approved Scanning Vendor)가 아닌 경우,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아니요'입니다. 승인된 ASV만 PCI 승인 규정 준수 감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규정 준수 감사를 대비하거나 정기적인 보안 유지 보수 작업의 일환으로 PCI 스캔과 보고서를 실행하는 것은 좋은 방법입니다.
PCI 감사 결과의 "통과" 또는 "실패" 기준은 무엇입니까?
ASV의 감사 결과는 CVSS(Common Vulnerability Scoring System) 버전 2에 따라 계산된 각각의 취약점 지수에 기반합니다. 지수의 범위는 0~10.0이며 4.0 이상이면 PCI 표준을 준수하는 데 실패한 것입니다.
CVSS 지수가 4.0 이상인 취약점이 하나라도 있는 자산은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자산이 하나라도 있는 경우, 해당 조직 전체가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또한 자산이 XSS 또는 SQL 인젝션에 노출되는 취약점이 있는 경우 CVSS 지수와 상관없이 PCI 지수 란 무엇입니까? 표준을 준수하는 않는 것입니다.
CVSS 지수란 무엇입니까?
Nexpose 는 CVSS(Common Vulnerability Scoring System) 버전 2를 비롯한 다양한 요소에 따라 모든 검색된 취약점의 등급을 평가합니다. CVSS 지수는 취약점이 네트워크 보안에 미치는 위험도를 지수 란 무엇입니까? 반영하는 기본 메트릭을 계산한 것입니다. 기본 메트릭에는 액세스(로컬 및 원격), 액세스 복잡성, 필요한 인증, 데이터 기밀성에 미치는 영향, 데이터 무결성에 미치는 영향, 데이터 가용성에 미치는 영향이 있습니다.
CVSS 시스템이 평가하는 모든 취약점 지수의 범위는 0.0~10.0이며 지수 10.0은 가장 높은 보안 위험을 나타냅니다. 지수가 4.0 이상이면 PCI 표준을 준수하는 데 실패한 것입니다.
위험도가 하인 취약점은 CVSS 시스템에 나타난 지수가 0.0~3.9이며 로컬로만 익스플로이트할 수 있고 인증을 필요로 합니다. 해커가 제한되지 않은 정보에 액세스하기 어려우며 정보를 파괴하거나 손상시킬 수 없고 어떠한 시스템을 중단시킬 수 없습니다. 이러한 취약점의 예는 기본 또는 추측이 가능한 SNMP 커뮤니티 이름 및 OpenSSL PRNG 내부 상태 검색 취약점 등이 있습니다.
위험도가 중인 취약점은 CVSS 시스템에 나타난 지수가 4.0~6.9이며 익스플로이트할 때 많은 해킹 경험이 필요하지 않고 인증을 필요로 하거나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해커가 제한된 정보에 부분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고 일부 정보를 파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개별적인 대상 시스템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취약점의 예로는 쓰기 가능한 익명의 FTP 및 단순한 LAN Manager 해싱 허용 등이 있습니다.
위험도가 상인 취약점은 CVSS 시스템에 나타난 지수가 7.0~10.0이며 시스템에 쉽게 액세스하여 익스플로이트할 수 있고 인증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해커가 기밀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고 데이터를 손상시키거나 삭제할 수 있으며 시스템을 중단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취약점의 예로 익명의 사용자가 Windows 암호 정책을 획득하는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CVSS 지수 평가가 PCI 감사 결과의 체계라면 "PCI" 지수가 내 보고서에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Nexpose 는 취약점을 평가하고 우선 순위를 정하는 추가적인 방법으로서 이전의 PCI 지수 평가 시스템을 포함합니다. 이 체계에 의해 취약점은 심각도에 따라 1에서 5로 분류됩니다. 심각도가 2 이상인 취약점은 PCI 표준에 위반되는 것입니다.
[미국 주식] S&P 500 지수 추종 ETF, 500개 기업 리스트 및 비율
- 500개 종목의 주식을 기준으로 한 지수이기 때문에, 블루칩인 30개 종목 주식만을 대상으로 하는 다우존스(Dow Jones) 산업 평균지수보다 포괄적으로 알려져 있음.
- S&P 500지수 옵션의 향후 30일간 변동성을 반영하는 VIX 지수 는, 증시 지수와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공포지수' 로 불림
- 산출방식 : 비교시점 주가에 상장주식수를 곱한 전체 시가총액과 기준시점의 시가총액을 대비
- S&P 500 인덱스 매수는 워렌 버핏도 추천하는 투자법이다.
S&P 500 지수
2. S&P 500 지수 추종 ETF - SPY
- S&P 500 지수 추종 ETF로는 SPY , VOO, IVV 등이 있다
-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대표적인 국내 ETF
- (미래에셋) TIGER S&P500
- KINDEX S&P 500
- 한화 ARIRANG S&P500
- (미래에셋) TIGER S&P500 선물
- SPY (www.etf.com/SPY)는 미국 자산운용사인 SSGA(State Street Global Advisors, 스테이트스트릿)에서 운영하며, S&P 500을 1배로 추종하는 ETF로, S&P 500 편입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각 종목은 시총 크기만큼의 비중이다. 운용보수는 연 0.095% , 배당수익률은 연 1.71%, 분기별로 배당 을 지급한다.
- 전세계에서 시가총액이 가장 큰 ETF 로 2021년 8월 26일 기준 시가총액 $403.4B (약472조원) 운영중
- 2021년 8월 기준, 지난해 대비 28.59% 상승했고, 지난 5년간 105.68%(2배 이상) 상승해 꾸준한 수익률과 배당률을 보장하고 있다. 사실상 미국이 망하지 않는한 S&P 500은 장기적으로 우상향하고, 꾸준한 수익률을 보장하는 ETF라고 할 수 있다.
지수 란 무엇입니까?
정비사업은 “사업”이기 때문에 수입은 늘리고, 지출은 줄여야 사업주체인 조합과 조합원의 이익이 많아진다. 수입은 일반분양 물량이 많을수록, 분양가가 높을수록 늘어난다. 지출은 사업비를 줄일수록 줄어든다.
조합의 사업비 중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도급공사비다. 그래서 시공자 선정 시 입찰제안서 상의 공사비는 항상 논란이 되고 있다. 특히나 관리처분을 위한 도급공사 본계약과 착공을 위한 도급공사 변경계약 시에는 조합과 지수 란 무엇입니까? 시공자 간에 공사비 대립이 더욱 첨예하게 극단적으로 치닫기도 한다.
최근 강동구의 대단지 재건축 현장에서는 도급공사비 변경 계약과 관련한 대립으로 한창 공사 중인 현장의 공사가 중단되는 초유의 사태까지 발생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 제정된 지 벌써 20년이 되어가고 있지만, 예나 지금이나 시공자의 공사비에 대한 논란은 전혀 나아지지 않고 있다. 조합과 시공자간에 갈등의 가장 큰 불씨는 여전히 공사비이다.
조합원들의 사업에 대한 이해도와 공유가 대폭 늘어난 탓도 있지만, 공사비 제안과 협상을 대하는 건설사들의 태도에 기인하는 것도 적지 않다. 갈등 요인을 한꺼번에 거론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관계로 중요한 몇 가지만이라도 논의해보고자 한다.
입찰제안서는 비전문가인 조합원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문구들로 가득 차있다. 그나마 가전제품이나 세대 내 마감의 경우에는 다소나마 이해할 수 있지만, 나머지 품목들은 처음 듣는 항목인 경우가 많다. 특히나 마감 이외의 여러 제안 조건들은 무슨 의미인지, 향후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를 가늠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조합원들은 입찰제안서상의 현란한 사진과 그림들에 시선을 빼앗기고, 합동설명회 시 영상물에 보이는 멋진 신축 아파트의 모습에 꿈이 현실화되고 있다는 감동을 받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좋았던 기억과 분위기도 한순간 불구대천지 원수보다 못한 불신과 극단의 감정으로 치닫는 순간을 맞이하게 되는 것이 도급공사비 협상 때라고는 생각지도 못할 것이다.
조합은 입찰 당시의 공사비가 착공 때까지 아니 중도에 본계약 시에 크게 변동되는 것이라고는 생각치도 못하고, 시공사들의 확정공사비 운운에 그 공사비 그대로 변함없이 유지되는 것이라 믿는다. 하지만 시공사에서 제시하는 공사비 변경 공문을 받아보는 순간 숨이 턱 막힐 것이다. 물론 예전에 비해서는 여러 법규나 제도에 의해 시공사들이 임의로 공사비를 부풀리거나 올려 받지 못하는 장치들이 많이 생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입찰제안서와 계약서상에 생각치도 못했던 문구를 근거로 공사비 변경 사유를 들이밀면 조합원들은 일순간 신뢰가 바닥에 떨어지게 된다. 반면 시공사들은 고의적인 잘못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뭔가 사기꾼이 된 듯한 자괴감에 빠지게 된다.
공사비 변동 요인 중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물가지수 적용을 우선 살펴보자. 조합에서 시공사 입찰을 진행하기 위해서 만드는 입찰지침서를 보면 공사비 산정시점과 공사비 변동요인으로 물가지수 적용에 대하여 명기를 하게 되어 있다. 물가지수라 함은 물가의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는 지수로서 기준이 되는 해(기준시점)의 물가수준을 100으로 하고, 그 후의 물가를 종합지수의 형태로 나타낸다. 물가의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일 뿐 아니라, 각종 정책의 지표로서 또는 각종 디플레이터(가격수정인자)로서 이용된다. 물가지수는 상품거래의 단계에 따라 생산자물가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로 나뉠 수 있다. 여기까지는 일반인들도 많이 접해본 용어이고 뉴스나 시중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단어이기도 하다. 그런데 공사비와 관련된 가격조정 지수로서 ‘건설공사비지수’라는 게 있다. 건설공사비지수라 함은 건설공사에 투입되는 직접공사비를 대상으로 특정시점(생산자 물가지수 2015년)의 물가를 100으로 하여 재료, 노무, 장비 등 세부 투입자원에 대한 물가변동을 추정하기 위해 작성된 가공 통계 자료다. 공사비 실적 자료의 시간차에 대한 보정과 물가변동에 의한 계약금액 조정기준, 그리고 건설물가변동의 예측 및 시장동향 분석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사전적 정의나 시중에 유통되는 단어의 뜻도 사실 애매모호하지만, 이것이 실제 공사비 계약금액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는 알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더군다나 조합이나 시공사에서 자세한 설명이나 그에 미치는 영향을 이야기해주지 않다가 도급계약 협상자료에 떡하니 올려놓으면 그 금액의 과다함에 화들짝 놀라고 말게 된다. 정비사업은 절차를 진행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절차도 복잡하다. 일부 현장은 사업이 중도에 멈추기도 하고, 인허가를 밟는데도 몇 번 반려·수정되면서 생각지도 못했던 시간을 잡아먹기도 한다. 하지만 그러한 순간에도 공사비는 물가에 연동돼서 계속 변하고 있다. 그간의 경험으로 보건데 물가는 대부분 올라가는 경우가 많지, 떨어지는 경우는 거의 보지 못 했을 것이다. 그래서 시공사 선정 후 가계약을 하고 사업시행인가 후 관리처분 시 본계약을 할 때까지 시간이 걸리면 걸릴수록 물가지수에 의한 공사비는 더욱 금액이 많아진다. 여기까지는 그래도 이해할 수 있다고 쳐도 그 다음에 문제가 큰 경우가 발생한다. 어떤 구역에서는 시공사가 소비자물가지수를 기준으로 한다고 제안서와 계약서에 명기가 되어 있고, 다른 구역에서는 또 다른 시공사가 건설공사비 지수를 기준으로 한다고 되어 있다. 이런 경우에 조합원들에게 유리한 것은 어느 경우일까.
물론 착공 시까지 공사비 변동이 없이 공사를 해준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시공사 선정 후 착공까지 아니 관리처분시까지도 보통 수년씩 걸린다. 착공 시까지는 십년이 넘는 경우도 허다한데 그동안의 공사비를 변동 없이 그대로 적용해주는 시공사는 단 한군데도 없을 것이다. 아니 그렇게 할 지수 란 무엇입니까? 수가 없다. 시공사들은 입찰 시에 조합의 설계도면과 인허가를 기준으로 공사비를 산정한다. 쉽게 말하면 그 시점의 인건비 재료비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언제 관리처분을 할지, 언제 착공할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미래의 공사비를 산출해서 적용하기는 불가능하다. 인건비·재료비는 계속 변동하며 대부분 올라가고 있는 추세이고, 거기에 더해 심의기준 인허가 기준 정책변경 등으로 추가적으로 공사에 반영해야 할 상황들도 많이 발생하게 된다. 공사비 산정 시에 반영하지 않았던 항목들도 새롭게 생기게 되고, 오른 물가에 따라서 다시 공사비를 산정해야만 한다. 공사비 산정을 시공사들이 회사 내부적으로 재산정하지만, 재산정한 금액을 토대로 다시 공사비를 제시할 수는 없다. 이미 시공사 선정 시 제시해 계약된 금액이 있기 때문에 계약서 조항에 근거한 변동 외에는 다른 가감 요인이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이는 시공사 내부적인 문제이며 감당해야할 부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공사들은 공사비 협상 시 공사비 변동 요인에 대한 계약서상의 근거 조항과 그에 따른 자료를 만드느라 입찰 제안 당시 못지않게 집중하게 된다.
그럼 결론적으로 입찰제안서 및 계약서상 소비자물가지수와 건설공사비지수를 구체적으로 비교해 보자. 시공사들의 논리가 어떻든 간에 조합 및 조합원 입장에서는 당연히 낮은 것이 절대적으로 유리한 것이 아닌가.
최근 4년간 주요 물가지표 변동을 살펴보면 소비자물가지수는 연평균 1.95%, 생산자물가지수는 3.26% 오른 반면 건설공사비지수는 무려 7.03% 상승했다. 같은 기간 기본형건축비는 3.75% 오르는 데 그쳤다.(헤럴드경제 5.13일자 보도) 최근의 기간으로 한정하면 그 격차는 더욱 커진다. 지난 지수 란 무엇입니까? 1년간 소비자 물가지수는 약 4.8%정도 상승한데 반해 건설공사비지수는 약 16.9% 상승하여 양자 간 격차가 거의 4배 가까이나 된다. 물론 코로나 시국과 글로벌경제의 파장으로 인한 원자재 값 상승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시기여서 그렇기는 하나 어쨌든 두 지수간의 격차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2,000억원짜리 공사비를 기준으로 하면 1년간 소비자물가지수를 적용했을 때는 공사비가 약 96억원 정도 상승요인이 생겼지만, 건설공사비지수를 적용했을 때는 무려 338억의 공사비가 상승한 셈이 되는 것이다. 공사비 격차가 240억이나 나게 된다.
재건축·재개발사업도 당연 건설공사이고 따라서 건설공사비지수를 적용하는 게 타당하지 않느냐고 주장하는 시공사도 많을 것이다. 물론 일견 합리적으로 보인다. 그러나 재개발·재건축은 민간사업으로서 단순도급공사인 관급공사와는 질적으로 다른 면이 많다. 관급공사의 경우는 거의 건설공사비지수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지만, 재개발·재건축의 경우에는 소비자물가지수를 적용하는 시공사들이 대부분이다. 물론 건설공사비지수를 적용하는 시공사도 여전히 많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재개발·재건축의 시공사는 사업비 조달부터 분양대행까지 조합을 대신해서 사업주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지수 란 무엇입니까? 때문에 당연히 사업의 승패에 대한 권리와 의무 책임도 같이 져야한다. 권리만 가지고 책임은 지지 않는다면 시공사로서 역할을 다하지 못한 것이라 생각한다. 왜냐하면 막대한 자금력과 브랜드파워, 인력, 조직력, 경험, 전문성 등 무엇 하나 조합과 대비해 그 위상과 존재감이 압도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받을 것 다 받아가는 건설공사비 지수보다는 서로 역할과 책임감을 나눌 수 있는 소비자물가지수 적용이 입찰제안서 상에 일반화되기를 기대한다.
현재 시장상황이 고금리와 인플레이션에 따른 물가상승 압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인 만큼 더욱 더 어느 것을 적용 하느냐가 향후 최종 공사비 확정시 조금이라도 조합원들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절대적인 기준점이 될 것이다.
keep going keep going
다우 존스 산업 평균 (DJINDICES : ^ DJI) 는 가장 크고 가장 중요한 미국 기업의 30 를 포함하는 주가 지수입니다 .
1896 년에 만들어진이 지수는 가장 오래된 주가 지수 중 하나이며 미국 전체 주식 시장의 성과를 측정하는 유용한 척도로 널리 간주됩니다 .
대부분의 지수와는 다르게 구조화되어 지수에 대해 더 일반적인 시가 총액 가중치를 사용하는 대신 30 개 구성 요소의 평균 주가를 측정합니다 .
다우 존스 산업 평균은 S & P Global (NYSE : SPGI) 의 일부인 S & P Dow Jones Indices 에서 관리합니다 .
다우 존스 산업 평균은 산업 부문의 주식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
여기에는 유틸리티 및 운송을 제외한 대부분의 부문과 산업의 주식이 포함됩니다 .
이 지수는 S & P Global 의 말로 " 미국 주식 시장의 세계적으로 유명한 지표 " 입니다 .
즉 , 이 지수는 미국 시장에있는 수천 개의 주식의 성과를 반영하기 위해 30 개의 주식의 성과를 측정합니다 .
다우 존스 산업 평균 지수는 얼마나 되었습니까 ?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는 1896 년 5 월 26 일 Edward Jones 와 함께 Dow, Jones & Company 를 설립 한 월스트리트 저널 편집자 인 Charles Dow 가 만들었습니다 .
처음에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에는 12 개의 구성 품목이있었습니다 . 대부분은 제너럴 일렉트릭 (NYSE : GE) 을 포함한 산업 기업이었습니다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수의 초점이 중공업 부문 측정 에서 전체 미국 주식 시장의 척도로 바뀌면서 주식의 수가 늘어났습니다 . 이 지수는 1928 년 현재 수준 인 30 개 주식에 도달했습니다 .
다우 존스 기업 목록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에는 30 개의 주식이 있습니다 .
3M (NYSE : MMM)
American Express (NYSE : AXP)
Amgen (NASDAQ : AMGN)
Apple (NASDAQ : AAPL)
보잉 (NYSE : BA)
Caterpillar (NYSE : CAT)
Chevron (NYSE : CVX)
Cisco Systems (NASDAQ : CSCO)
코카콜라 (NYSE : KO)
디즈니 (NYSE : DIS)
다우 (NYSE : DOW)
Goldman Sachs (NYSE : GS)
Home Depot (NYSE : HD)
Honeywell International (NYSE : HON)
IBM (NYSE : IBM)
Intel (NASDAQ : INTC)
Johnson & Johnson (NYSE : JNJ)
JPMorgan Chase (NYSE : JPM)
맥도날드 (NYSE : MCD)
Merck (NYSE : MRK)
Microsoft (NASDAQ : MSFT)
나이키 (NYSE : NKE)
Procter & Gamble (NYSE : PG)
Salesforce (NYSE : CRM)
여행자 (NYSE : TRV)
UnitedHealth Group (NYSE : UNH)
Verizon (NYSE : VZ)
Walmart (지수 란 무엇입니까? NYSE : WMT)
Walgreens Boots Alliance (NASDAQ : WBA)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의 가치는 어떻게 계산합니까 ?
다우 존스 산업 평균의 가치는 대부분의 주가 지수와 다르게 계산됩니다 .
대부분의 지수 는 각 주식의 시가 총액 ( 종종 시가 총액이라고하는 회사 주식의 총 시가 총액 ) 을 기반으로 구성 요소에 가중치를 부여합니다 .
이 지수에서 회사의 시가 총액이 높을수록 지수에 대한 주가 변동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
다우 존스 산업 평균은 30 개 구성 품목 전체 가격의 평균입니다 .
처음 만들어 졌을 때 평균 계산은 간단했습니다 .
구성 요소의 주가를 더한 다음 12 로 나눕니다 . 그러나 십여 년 후 합병 , 분할 , 주식 분할 , 지수 제거 및 추가에는위원회가 필요합니다 .
변경이 발생할 때 지수 값이 크게 변동하지 않도록 " 다우 제수 " 라고하는 조정을 관리합니다 . 이 제수는 구성 요소 회사의 실제 주가 변동과 직접 관련이없는 요소를 조정합니다 .
최종 결과는 지수 란 무엇입니까? 다우 존스 산업 평균 지수의 달러 금액 변화가 지수 가격에 똑같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 이는 Charles Dow 의 원래 비전이었습니다 .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에 어떻게 투자 할 수 있습니까 ?
다우 존스 산업 평균 지수와 그 구성 품목에 투자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
에 투자 SPDR 다우 존스 산업 평균 지수 ETF (: DIA NYSEMKT) .
30 개의 Dow Jones Industrials 주식을 모두 매수하십시오 .
Cboe Global Markets (NYSEMKT : CBOE) 옵션 거래소를 통해 다우 옵션 계약에 투자하십시오 .
CME Group 의 (NASDAQ : CME) Chicago Mercantile Exchange 에서 다우 선물 계약에 투자하십시오 .
증권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펀드 인 ETF ( 상장 거래 펀드 ) 지수 란 무엇입니까? 의 이점 은 간단합니다 .
지수가 변경 될 때 변경하는 것과 같이 30 개의 개별 주식을 관리 할 필요가 없습니다
( 역사적으로 지수는 평균적으로 2 년마다 만 변경됨 ). 비용이 있습니다 .
비용 비율 ( 펀드 매니저가 부과하는 수수료 ) 은 0.16 %, 즉 시가 $ 1,000 당 연간 약 $ 1.60 입니다 .
그러나 30 개의 구성 요소를 사용하면 전체 주식 시장 실적을 반영하도록 설계된 다른 주요 지수에 대해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보다 자신 만의 Dow Jones Industrials 바스켓을 구축하는 것이 훨씬 간단합니다 .
대부분의 중개인은 거래에 대한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으며 많은 사람들이 부분적 투자를 허용하기 때문에 ( 부분 주식을 구입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 예전처럼 비용이 많이 들지 않습니다 .
선물 및 옵션의 경우 이러한 종류의 투자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있는 투자자에게 가장 적합합니다 . 수익성이 높을 수 있지만 거래 방법을 이해하지 못하면 상당한 손실을 입을 수도 있습니다 .
담덕의 경영학노트
주가지수란 주식시장에서 거래가 되는 개별종목들의 주식의 가격변동을 종합적으로 파악할수 있도록 만든 지표입니다. 주가라고 하는 것은 주식의 가격을 뜻하는데, 물가의 변동을 물가지수로 알수 있듯이 주가의 변동상황은 주가지수로 알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우리나라 대표 주가지수인 코스피 코스닥 지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가지수란 - 주가지수 산출 방법
주식시장 안에서는 수많은 기업들의 주식이 거래가 되고 있고, 매시간별로 주가가 올라가기도 하고 내려가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러한 개별기업들의 상황을 시장 전체로 파악하기 위해서 만든 것이 바로 주가지수입니다.
오늘 주식시장 상황이 어떤지를 알려면 주가지수 숫자 딱 하나만 보고도 증시상황이 좋은지 아니면 나쁜지를 파악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가지수는 종합주가지수인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가 있는데요.
먼저 주가지수 산출은 어떻게 하는 것인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주가지수의 산출방식은 시가총액식과 주가평균식으로 구분이 되어 있습니다.
주가지수-산출방법
시가총액식은 말 그대로 시가총액을 주가지수 산출 기준으로 삼는 방식이고, 주가평균식은 주가를 단순 합산해서 종목수로 나누는 방식입니다. 우리나라 뿐만이 아니라 세계여러나라의 주가지수 산출의 기준이 되는 방식은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삼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공식을 보시면 시가총액식은 기준시점의 시가총액을 비교시점의 시가총액으로 나누어서 구하고 있고, 주가평균식도 마찬가지로 기준시점의 구성종목 평균주가를 비교시점의 구성종목 평균주가로 나누어서 구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하게 알고 있어야하는 용어 중 하나가 주가지수 산출의 기본이 되는 시가총액에 대한 내용입니다. 시가총액이란 주식시장에 상장된 주식의 수를 가격으로 곱한 것을 뜻하는데요. 예를 들어서 개별기업에 대한 시가총액은 A기업의 현재주가에다가 상장된 주식수 전체를 곱하면 그 기업의 시가총액을 구할 수가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주식시장 전체의 시가총액을 구하려면 개별기업의 시가총액을 모두 더하면 그 시장의 시가총액을 구할 수가 있게 됩니다.
결국 시가총액이라고 하는 것은 시장의 규모가 어느정도 되는지를 측정하는 지표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지수 란 무엇입니까? 코스피시장의 시가총액 규모는 2,288조원 가량되고, 코스닥시장은 441조원 가량되고 있습니다.
코스피 코스닥 지수
우리나라에서 발표되고 있는 대표적인 주가지수에는 유가증권시장의 코스피와 코스피200지수가 있고, 코스닥시장의 코스닥지수와 코스닥150지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통합지수인 KRX300지수도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주가지수들은 모두 기준시점을 기준으로 해서 주가지수를 산출하고 있습니다. 코스피지수의 기준시점은 1980년 1월 4일이고, 코스피200은 1990년 1월 3일입니다. 코스닥지수는 기준시점이 1996년 7월 1일이고, 코스닥150지수와 KRX300지수는 모두 2010년 1월 4일입니다.
코스피지수-코스닥지수
이들 지수들은 모두 시가총액 방식으로 구하고 있기 때문에 기준시점의 시가총액 대비해서 현재시점의 시가총액이 얼마나 늘었는지 또는 줄어들었는지 등을 비교할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의 주가지수들을 살펴보면 코스피는 기준시점 시가총액 대비해서 약 32배 성장했고, 코스피200은 4배, 코스닥은 1배, 코스닥150은 1.5배 그리고 KRX300은 1.9배 가량 성장하고 있는 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코스닥지수 같은 경우에는 원래 기준일의 주가지수를 100으로 하여왔으나 닥컴버블 붕괴 등으로 인해서 기준지수가 너무 낮게 나와서 지수의 변별력이 없다라는 지적에 지수 란 무엇입니까? 따라 2004년 1월 26일에 기준지수를 1000으로 상향조정해서 발표하고 있습니다.
주가지수라고 하는 것은 개별 종목들의 가격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시장의 흐름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투자자 입장에서는 지수 상황이 좋을 때는 투자를 하고 그 반대라면 투자를 보류하는 판단을 할 수가 있습니다.
마치며
주가란 주식의 가격을 뜻하고, 주가의 변동상황을 알기 위해 주가지수를 구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가지수란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개별종목들의 주식의 가격변동을 하나의 수치로 나타낸 지표입니다. 주가지수의 산출방식은 크게 시가총액식과 주가평균식이 있으며, 우리나라는 시가총액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대표 주가지수는 유가증권시장의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가 있고, 이외 코스피200지수와 코스닥150 그리고 KRX300지수가 있습니다. 이들 주가지수 모두는 기준시점 대비해서 얼마만큼 시장이 성장했는지를 보여주고 있으며,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