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익 공유 계산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5월 8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시그(SIG) (22 개 회원)

교통사고로 인한 부상의 경우 일실이익 계산방법 (노동능력상실률)

노동능력상실률이란 피해자가 상해에 대한 치료를 받은 결과 신체에 정신적 또는 육체적 훼손상태가 잔존함으로써 노동능력이 상실 또는 감소된 것을 말합니다 .

특별히 과잉진료라고 인정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한 교통사고를 치료를 받기 위해 병원에 입원해 있는 동안의 노동능력상실률은 100% 로 처리합니다 .

통상적으로 소제기 당시에는 손해액 중 일부만 청구한 다음 소송계속 중 피해자에 대한 의학적 신체장애율에 대한 감정이나 감정촉탁 ( 이 경우 피해자는 감정의로 선정된 의사를 방문하여 진단을 받게 됩니다 ) 을 통해 회신받는 신체기능장애율을 토대로 노동능력상실률을 평가하고 손해액을 확정합니다 . 1 회 신체감정시 평균적으로 3 개월이상의 기간이 소요되고 감정비용을 예납해야 합니다 (1 분과당 약 40 만원 상당 ).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후유장해 평가기준은 크게 맥브라이드 평가방법과 A.M.A.( 미국의학협회 ) 평가방법 , 국가배상법방식으로 나누어지며 , 맥브라이드평가방법의 경우 자동차손해보험 및 법원의 손해배상사건에서 사용되고 있고 , A.M.A. 평가방법은 생명보험과 손해보험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 국가배상법방식은 국가배상을 포함 이에 파생되어 근로기준법 , 산업재해보상보험법 , 국민연금법 , 장애인복지법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 현재 감정의사들이 의학적 신체장애기준을 평가할 때 주로 판단하는 기준은 국가배상법상의 시행령상의 기준과 맥브라이드 장해평가표입니다 . 다만 , 두 기준표 모두 사무노동자 내지 정신노동자의 경우는 실무상 직업항목을 정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 결국 신체감정신청을 통한 감정의가 평가한 결과를 기초가 최종적으로 법원이 판단합니다 .

중복장해 ( 예를 들어 20% 의 우안 상측 시아결손 장해 , 성형외과 부분에서 노동능력 상실률 5% 의 육안 식별가능한 반흔 장해 ) 의 평가공식은 A(%) + 로서 위 괄호 경우 중복장해율은 20+ 80/100 × 5 = 24% 입니다 . 3 가지 이상의 중복장해의 경우도 2 회씩 수회 계산하거나 [1-

노동능력상실률을 평가함에 있어 의료보조기구의 착용 여부에 따라 피해자의 노동능력상실률에서 차이가 있는 경우 특별한 사정 ( 보조기구의 착용에 따라 일상생활이나 사회활동에 지장이 있는 경우 등 ) 이 없는 한 이러한 보조기구를 착용한 상태를 기준으로 노동능력상실률을 평가합니다 ( 대법원 1998. 4. 28. 96 다 24712).

- 교통사고 , 의료사고 및 산업재해 등으로 인해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가해자 측이 주장하는 이론중의 하나가 피해자의 기왕증입니다 .

- 피해자의 이익 공유 계산 기왕증 등이 원인이 된 후유장해가 하나뿐인 경우의 노동능력상실률은 [ 당해 사고로 인한 후유장해의 노동능력상실률 × (1 - 기왕증이 노동능력상실률에 기여한 비율 ) ] 와 같이 계산합니다 .

[ 예를 들면 ] 피해자가 추간판탈출증의 기왕증이 있었는데 사고로 경추부염좌상 ( 노동능력상실율 33%) 을 당하고 , 요추 추간판탈출증 ( 노동능력상실률 22%) 의 후유장해가 있고 기왕증이 후자의 증상에 대하여 60% 의 기여도를 가진 경우를 상정하면 ,

① 기왕증을 고려하지 않은 당해 사고로 인한 노동능력상실률 ( 복합장애률 ) 은 0.33 +(1-0.33) × 0.22 = 0.4774,

② 기왕증을 고려한 당해 사고로 인한 순수한 노동능력상실률은 0.33 + (1-0.33) × 0.22 × (1-0.6) = 0.3890,

③ 기왕증이 피해자의 전체 노동능력상실률에 미친 기여도를 계산하면 ( 치료비 중에서 당해 사고로 인한 부분을 계산할 때 필요 )

1 - 순수한 노동능력상실률 0.3890/ 전체노동능력상실률 0.4774 = 0.1851

대법원 2008. 7. 24. 선고 2007 다 52294 판결 [ 손해배상 ( 자 )]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기왕증과 관련하여 , ‘ 기왕의 장해율 ’ 즉 사고 이전에 이미 기왕증이 있었던 경우에 그 기왕증으로 인한 노동능력상실의 정도와 , ‘ 기왕증의 기여도 ’ 즉 사고와 피해자의 기왕증이 경합하여 피해자에게 후유증이 나타난 경우에 기왕증이 후유증이라는 결과 발생에 기여한 정도는 구분되어야 하고 , 일실수입 손해를 계산하기 위한 노동능력상실률을 산정함에 있어 기왕증의 기여도를 참작하였다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개호비를 산정함에 있어서도 그 기왕증의 기여도를 참작하여야 한다 .

유형별 사원 상여 계산 방법

직원 급여 상여금은 사내의 사기와 전반적인 성과를 높여준다.당신의 고용주가 당신에게 보너스를 보낼 때, 그들은 당신에게 그들이 당신의 일과 성취를 중시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이는 자신의 회사가 자신의 최대 이익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직원들 사이에서 충성도를 쌓는 데 도움이 됩니다.이 기사에서는 직원 보너스가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고, 다양한 유형을 탐구했으며, 보너스를 스스로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사원 보너스란 무엇입니까?

직원 상여금은 직원의 통상임금이나 급여율 외에 사원에게 주어지는 임금이다. (공업정보화부 전자과학기술정보연구소 천하오(陳浩))대부분의 경우, 직원들은 훌륭한 일에 대한 보상이나 연말 보상으로 보너스를 받게 됩니다.

자유의 지배와자유가 아닌 보너스: 당신이 알아야 할 모든 것

사원 포상에는 어떤 유형이 있습니까?

보너스에 서명하다

계약상여금은 신입사원을 고용할 때 신입사원에게 지급되는 돈이며, 협상직 초청 때 결정된다.고용주는 이러한 종류의 보너스를 이용하여 직원들이 공석인 직책에 더 많은 관심을 갖도록 동기를 부여한다.보너스에 서명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영업 캐릭터에 나타납니다.

자세히 보기: 계약 보너스: 정의 및 협상 기법

이익 공유

배당은 한 회사가 일정 기간(예: 1년) 동안 이익에서 일정 비율의 보너스를 추출하는 것을 말한다.지불된 금액은 회사의 현재 수익성과 직원들의 임금에 따라 달라집니다.상장회사는 자사의 이익 공유 계획의 일환으로 직원들에게 주식을 분배한다.

휴가 상여금

휴일 상여금은 연말에 직원들에게 증정하는 추가 금액이다.일부 고용주들은 이 돈을 개인 급여의 한 퍼센트 또는 통일된 비율로 보상한다.당신이 휴가 보너스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는 보통 당신이 일하는 산업, 당신의 고용주의 취향, 그리고 지난 한 해 동안 당신의 회사의 성과 등에 달려 있습니다.

팀 동기부여

팀 동기 부여란 주어진 시간 동안 실적이 향상되거나 좋은 모습을 보여 주어서 받는 보너스를 말한다.이러한 보너스는 협업 환경을 촉진하고 유익한 팀워크와 전반적인 집중을 촉진합니다.팀 인센티브의 선택에는 수익 공유 계획, 이익 공유 계획 및 위험 수익 계획이 포함됩니다.

직원들은 중요한 마감 시한을 달성함으로써 이정표나 프로젝트 보너스를 받습니다.이러한 것들은 명확한 목표이며, 일반적으로 다루는 기간이 짧습니다.마일스톤 계획은 직원의 생산성과 전반적인 성과를 향상시킵니다.

선물이나 이와 유사한 인센티브로는 기프트 카드, 여행 바우처, 스톡옵션이 있다.이 상들은 대개 직원들의 개인적 성과와 회사에서의 지위에 이익 공유 계산 따라 수여된다.스톡옵션 - 고용주가 제공한다면 - 더 희귀한 보너스인데, 보통 종신직을 가진 사람들에게 주는 것이다.

보너스 소득 계산 방법

많은 기업들이 자사의 산업과 비즈니스에 적합한 고유한 계산 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그러나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판매 커미션

총 상금 백분율을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당신의 매출은 1만 달러이고, 당신의 회사는 당신에게 5%의 수수료를 줍니다.다음은 계산 결과입니다.

$10,000 x.05 = 500달러

급여의 백분율

직원 한 명은 연봉 5만 달러, 상여금 비율은 3%다.다음은 계산 결과입니다.

보너스에 서명하다

한 캐릭터의 계약금액은 1,000달러, 보너스 지급의 계약 기간은 5개월이다.다음은 계산 결과입니다.

조정 후 총 수익: 정의 및 계산 방법

영업 커미션 예

다음 예에서는 보너스 수익을 계산하는 특정 시나리오를 제공합니다.

알라나는 청소기 제조업체의 판매원이다.한 중요한 주말 대회에서, Alana는 첫날에 1만 달러 상당의 회사 청소기를 팔았고, 둘째 날에는 4000달러를 팔았다.이 회사가 3%의 보너스 비율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고, 다음은 알라나의 수수료 수입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1.총 판매 결정

알라나가 하루에 얼마나 많은 돈을 벌었는지 알아내서, 그것들을 더합니다.

2.보너스 백분율 결정

그 회사는 주말에 3퍼센트의 판매 수수료를 제공한다.100으로 나누어 백분율을 소수로 변경하거나 소수를 두 자리 왼쪽으로 이동합니다.

3.총 매출액에 총 이익 공유 계산 상금 백분율을 곱합니다.

총 매출액 및 백분율이 결정되면 두 값을 곱합니다.

Alana는 주말에 420달러의 판매 수수료를 받았다.

급여 백분율 예

다음 예에서는 급여 백분율로 결정되는 보너스를 계산하는 방법을 보여 줍니다.

빅터의 회사는 특별한 일에 대해 매주 4%의 보너스를 지급하는 새로운 조치를 시행할 계획이다.빅터의 현재 연간 수입은 3만5000달러다.그가 현재 매주, 매월, 매년 보너스 수입이 얼마인지 살펴보자:

1.사원에 대한 임금 결정

빅터의 연간 수입은 3만5000달러다.

2.퍼센트 결정

이 회사는 매주 4%의 보너스를 지급하는데, 이 중 4.3은 한 해 평균 주수를 나타낸다.십진수를 100으로 나누거나 두 자리 왼쪽으로 이동하여 소수를 백분율로 변환합니다.

3.사원 급여에 백분율 곱하기

급여 및 백분율 숫자를 결정한 후 곱합니다.

$35,000 x.043 = $1,505

빅터는 매주 1,505달러의 상금을 받을 수 있다.

4.월별 금액 결정

월별 금액을 계산하려면 주간의 금액에 4.3을 곱해 한 달의 평균 주수를 산출해야 한다.

$1,505 x 4.3 = $6,471.50

빅터는 매달 최대 6,471.50달러의 보너스를 받을 수 있다.

5.연간 금액 결정

연간 보너스 금액을 계산하려면 1년 중 매달 보너스 수를 12로 곱합니다.

6,471.50달러 x 12=77,658달러

매주 뛰어난 업무 성과를 거두기 때문에 빅터는 무려 7만7658달러에 달하는 세전 보너스를 받을 수 있다.

report this ad

스폰서 링크

앞 브레이크 작업 비용은 얼마입니까?

앞 브레이크 작업은 일반적으로 $100에서 $200 사이입니다.비용은 문제의 심각성, 자동차 제조사 및 모델, 부품 교체 여부에 따라 다릅니다.그러나 일반적으로 앞 브레이크 작업은 몇 시간이면 완료할 수 있는 비교적.

전체 브레이크 작업은 무엇을 수반합니까?

전체 브레이크 작업에는 자동차의 모든 브레이크 패드와 로터를 교체해야 합니다.이것은 값비싼 수리가 될 수 있으므로 진행하기 전에 포함된 내용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전체 브레이크 작업에는 일반적으로 캘리퍼 또는 휠 .

클리어 코트 페인트 작업 비용은 얼마입니까?

클리어 코트 페인트 작업 비용은 $50~$200입니다.여러 견적을 받아 가장 좋은 가격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클리어 코트의 양은 도료의 종류, 도색되는 표면, 필요한 도막 횟수에 따라 다릅니다.클리어.

Firestone에서 브레이크 작업 비용은 얼마입니까?

Firestone의 브레이크 작업 비용은 일반적으로 $100~$200입니다.서비스 비용은 문제의 심각성과 자동차 제조업체 및 모델에 따라 다릅니다.대부분의 경우 Firestone에서 제동 작업을 완료하는 데 1~2시.

미국에서 가슴 수술 비용은 얼마입니까?

미국에서 가슴 수술 비용은 일반적으로 $2,000~$5,000입니다.그러나 이 가격대는 치료받는 유방의 크기, 모양,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비용 외에도 boob job의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요.

블로우 작업에 얼마를 지불해야합니까?

구강 성교는 구강 성교를받는 사람이 구강 성교를하는 사람에게 펠라티오를 수행하는 성행위입니다.구강 성교에 대해 지불해야 하는 금액은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 및 추가 서비스(예: 키스 또는 만지기)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

플로리다에서 가슴 수술 비용은 얼마입니까?

플로리다의 유방 확대술 비용은 일반적으로 $3,000~$6,000입니다.비용은 외과의사, 수행된 수술 유형 및 추가 절차가 필요한지 여부에 따라 다릅니다.건강에 대한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항상 자격을 갖춘 의사.

시카고에서 가슴 수술 이익 공유 계산 비용은 얼마입니까?

시카고의 유방 확대술 비용은 일반적으로 $3,000~$5,000입니다.일부 외과의 사는 특정 절차나 큰 유방에 대해 더 많은 비용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비용은 또한 외과의의 경험과 평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시.

캘리포니아 어디에서 가슴 직업을 얻을 수 있습니까?

캘리포니아에는 가슴 수술을 할 수 있는 곳이 많이 있습니다.일부 인기 있는 위치에는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및 오렌지 카운티가 있습니다.유방 수술 경험이 있는 평판이 좋은 의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가슴 수.

밥 작업 비용은 얼마입니까?

밥 직업은 일반적으로 노동력에서 저임금의 초급 직위입니다.Daily Review에 따르면 밥 작업의 평균 급여는 연간 $24,000입니다.또한 많은 밥이 파트타임으로 일하며 동일한 급여를 받기 위해 정규직보다 적은 .

report this ad

이익 공유 계산

주로 '스타트업'이라고 불리는 신생기업의 특징, 특성에 대해 흔히 '빠른 성장'을 꼽는다. Y-Combinator 창업자 Paul Graham은 자신의 블로그에 'Startup = Growth'라는 제목의 글에서 스타트업은 빠르게 성장하도록 디자인된 기업이라고 강조했다(A startup is a company designed to grow fast). 대부분의 스타트업은 이와 같이 '성장'과 '수익' 중 성장에 우선순위를 두기 때문에 특히 초기 스타트업의 경우 제대로 된 재무상태표가 없거나 재무상태표 상 매출과 이익지표가 형편없는 경우가 많다.

초기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관점에서 단순히 매출과 이익지표만 보고 해당 기업의 가치를 판단하기 힘들다. 당장 이익이 나지는 않지만, 해당 기업이 그리는 미래에 유의미한 경제적 성과를 올릴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해 견고하게 모델링 된 유닛 이코노믹스(Unit Economics)가 괜찮은 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타트업의 수익성과 지속가능성을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도구인 유닛 이코노믹스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1. 프레임워크 소개

유닛 이코노믹스(Unit Economics)는 말 그대로 '단위 경제학'으로 비즈니스 모델의 수익과 비용을 비즈니스의 개별 한단위를 기준으로 정리해서 비즈니스 모델의 수익성을 측정하는 도구다.

유닛 이코노믹스라는 용어를 누가 처음 썼는지는 알 수 없지만, 꽤 오래 전부터 통용된 개념이다. 필자의 경우 2015년 SK Planet에서 주관한 'Tech Planet 2015' 행사에서 당시 패스트트랙아시아 대표인 박지웅 대표가 진행하는 세션에서 유닛 이코노믹스라는 개념을 접했다. 당시 패스트트랙아시아의 경우 많은 이커머스, 온디맨드 스타트업에 투자를 했는데 해당 스타트업의 성장성, 수익성에 대한 평가 기준으로써 유닛 이코노믹스의 활용에 대해 설명했던 것 같다.

최근 SaaS, 플랫폼, 초개인화 서비스 등 고객 한 사람의 가치가 더 중요시되는 비즈니스가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고객 한사람의 경제성을 타당하게 계산하고 검증하고자 하는 유닛 이코노믹스가 더욱 각광받고 있다.

2. 프레임워크 활용 방법

유닛 이코노믹스를 활용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비즈니스 모델에서 가치를 창출하는 최소 한단위를 정의하고(주로 지불/유료 고객, 또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한단위) 최소 한단위가 회사에 기여하는 이익(매출)의 크기를 계산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비즈니스 모델의 경제성과 지속가능성을 직관적으로 판단하는 방식으로 활용한다.

유닛 이코노믹스의 의의 (린스프린트 정리)

비즈니스 전체를 기준으로 매출, 이익 등을 보면 복잡하다. 특히 초기에 투자한 고정비가 크기 때문에 재무상태표 상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크게 마이너스인 스타트업의 경우 재무상태표의 정보만으로 비즈니스의 수익성을 판단하기 힘들다(재무상태표 상으로 보면 수익성이 엉망으로 보일 수밖에 없다).

이런 경우 해당 비즈니스 모델의 최소 한단위(Unit)가 가져다주는 매출과 비용(변동비) 간 차이를 계산하면 훨씬 직관적으로 경제성을 판단할 수 있다. 개별 단위의 매출이 비용보다 크면 어쨌든 영업활동을 할 때마다 버는 돈이 나가는 돈보다 많으므로 유닛이 모여서 일정한 임계점(Critical Mass)을 달성하면 유의미한 현금흐름과 그에 따른 이익을 올릴 수 있겠구나 등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유닛 이코노믹스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크게 4가지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바로 단위(Unit)과 이익 공유 계산 단위의 공헌이익(Contribution Margin), 고객생애가치(Customer Lifetime Value, CLV or LTV), 고객획득비용(Customer Acquisition Cost, CAC)이다. 각각에 대한 개념은 아래와 같이 정리했다.

1) 단위(Unit) : 유닛 이코노믹스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주로 제품이나 서비스 한단위 또는 (유료)고객 한사람으로 정의한다. 제품이나 서비스 한단위를 최소 단위로 정의할 경우 해당 단위별 공헌이익으로 유닛 이코노믹스를 계산하며, 고객이 최소 한단위일 경우 고객이 우리에게 가져다주는 생애가치와 고객획득비용으로 유닛 이코노믹스를 계산한다.
- 예 : 드롭박스(프리미엄 가입 고객), 배달의민족(이익 공유 계산 배달음식 주문 고객 또는 광고 상품 사용하는 가맹점), 킥보드 대여업체(킥보드 렌탈 1회)

2) 공헌이익(Contribution Margin) : 관리회계에서 주로 쓰이는 개념으로 이익 또는 고정비 탕감에 공헌하는 이익을 의미한다. 계산식은 '매출액 - 변동비'이다. 공헌이익을 산출할 때 주의할 이익 공유 계산 점은 변동비 계산에 흔히 고정비라고 오해하고 놓칠 수 있는 준변동비까지 최대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3) 고객생애가치(Customer Lifetime Value) : 고객 한 사람이 고객생애주기에 걸쳐 우리 회사에 가져다주는 이익의 총합을 의미한다. 고객생애가치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고객의 생애주기, 생애주기 동안 발생하는 거래 수, 빈도, 거래액, 거래 관련 비용 등이 필요하다.
- 주요 계산식 보기 :
www.questionpro.com/blog/customer-lifetime-value-clv-calculation/

4) 고객획득비용(Customer Acquisition Cost).: 고객 한 사람을 획득할 때 소요되는 총비용을 의미한다. 고객획득비용 계산에는 홍보마케팅 비용뿐만 아니라 고객획득에 기여하는 인력의 인건비나 할인이나 쿠폰의 경제적 가치 등도 다 함께 포함해서 계산한다.
- 주요 계산식 : 고객획득비용 = (단위기간 영업마케팅 총비용) / (단위기간 신규 고객 수)

유닛 이코노믹스 모델은 비즈니스 모델에 따라 기준과 방식이 상이하다. 그렇기 때문에 각 구성요소의 개념을 확실하게 이해하고 나의 비즈니스 모델에 알맞게 유닛 정의, 고객생애가치 및 고객획득비용을 산출해야 한다.

이렇게 산출한 유닛이코노믹스의 고객생애가치와 고객획득비용을 기반으로 아래와 같이 활용해볼 수 있다.

유닛 이코노믹스를 통한 비즈니스의 경제성 판단 기준(린스프린트 정리)

비즈니스 모델마다 상이하겠지만 통상 고객생애가치가 고객획득비용보다 최소 3배 이상 커야 경제적으로 의미 있는 비즈니스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특히 정기구독, SaaS 등) 고객획득비용을 못해도 12개월 내 회수할 수 있는지 여부 또한 비즈니스의 채산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용한다.

3. 프레임워크 활용 예시

유닛이코노믹스를 활용하여 비즈니스의 경제성을 효과적으로 어필한 사례로 들 수 있는 게 미국의 킥보드 대여업체 버드(Bird)다.

2019년 초 버드는 대규모 인력감축 등을 수행했는데, 이 때문에 많은 언론사에서 버드의 현금흐름을 우려하면서 부정적인 전망을 내세웠다.

이런 언론의 포화에 버드의 창업자 트래비스 반더잔드(Travis VanderZanden)는 자신의 소셜미디어(트위터)를 통해 버드의 재무상태에 대한 루머에 대해 소위 팩트로 해명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트래비스는 곧바로 버드의 주당 매출액이 전년동기 4~5배 규모로 성장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버드 제로 스쿠터(Bird Zero Scooter) 기준으로 1회 운행마다 $1.27의 공헌이익을 창출한다고 유닛 이코노믹스의 건전성을 주장했다.

그리고 막타로 우버와 리프트 등 차량헤일링플랫폼 서비스와 비교하여 버드의 유닛 이코노믹스가 얼마나 건전한지 비교 분석함으로써 유닛 이코노믹스를 활용한 비즈니스의 건전성 어필의 종지부를 찍었다.

창업자 트래비스가 공개한 우버, 리프트와의 유닛이코노믹스 비교 장표를 보면 차량 헤일링 플랫폼들은 서비스 운영한 지 10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운행 1건 당 공헌이익이 마이너스(-)인 반면 버드는 약 1년 6개월 만에 운행 1건당 이익이 나는 비즈니스 구조를 만들었다는 얘기다.

이후 2019년 10월, 버드는 프리머니 밸류에이션 $25억으로 $2억 7,500만의 Series D 라운드 투자유치를 마무리했다.

Bird raises $275 million Series D round at a $2.5 billion valuation – TechCrunch

Bird has closed a $275 million Series D round led by CDPQ and Sequoia Capital, Bird CEO Travis VanderZanden announced at TechCrunch Disrupt San Francisco today. The round values Bird at a $2.5 billion pre-money valuation, according to sources familiar with

필자는 시내에 보이는 킥보드 대여서비스를 보고 '과연 채산성이 있는 사업일까?'라는 의문을 품어왔는데, 버드의 유닛 이코노믹스와 얼마 전 국내 1위 킥보드 대여 서비스 킥고잉의 흑자전환 기사를 보면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면 괜찮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사업이겠다는 생각으로 바뀌었다.

겨울잠 자던 전동킥보드 기지개 켜나. 킥고잉 첫 흑자 전환

지난 10일 서울 서대문구의 한 골목에 공유 전동 킥보드 킥고잉이 세워져 있다. /정혜진기자전동 킥보드 공유 플랫폼 ‘킥고잉’을 운영하는 올룰로가 지난 해 하반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전

4. 프레임워크에 대한 의견

'수익성 없는 비즈니스를 성장시키는 것은 무의미하다'

이런 관점에서 유닛 이코노믹스는 비즈니스를 투자를 통해 성장시킬만한 가치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하는 아주 효과적인 도구다. 물론 유닛 이코노믹스에도 다양한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유닛 이코노믹스만 맹신해서도 안 된다.

필자가 생각하는 유닛 이코노믹스의 명확한 한계는 아래와 같다.

사업의 변동성이 큰 초기 스타트업의 유닛 이코노믹스를 정확하게 계산하는데 한계가 있다.

고객을 최소 단위로 하는 유닛이코노믹스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고객생애가치와 고객획득비용을 최대한 현실성있게 계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어느정도 유료 고객을 확보하는 있는 사업의 경우 고객획득비용은 큰 어려움없이 구할 수 있지만, 고객생애가치는 다르다. 기본적인 고객생애가치 계산식 (LTV = Gross Margin X Retention Rate / (1 - Retention Rate + Discount Rate))을 보면 Gross Margin과 Retention Rate을 '상수'로 놓고 계산하는데 사실 이들은 상수라고 하기에 상황마다 다른 값을 나타낸다. 수익모델이나 비즈니스 모델을 피봇할 경우 현재 추산한 Gross Margin은 의미 없어지고 고객유지율(Retention Rate)의 경우 코호트별로 다른 모습을 보이고 심지어는 하루마다 달라진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서 고객생애가치를 합리적으로 추산했더라도 3~6개월 뒤 사업 현황이 변함에 따라 그 당시 계산했던 고객생애가치가 맞지 않게 될 수 있다. 그럼 또 계산해야 하는데 이는 불필요한 리소스의 낭비를 초래한다.

이렇게 고객생애가치를 정확하게 계산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부 스타트업들은 고객획득비용만 가지고 채산성을 관리하거나 혹은 코호트별로 생애가치를 최대한 현실과 가깝게 계산해서 활용하는 등 보조 도구로써 활용한다.

이런 한계에도 불구하고 유닛 이코노믹스는 사업을 준비하거나 이제 막 시작한 창업자로 하여금 자신의 비즈니스의 채산성을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하고, 수익성을 고려하여 제품 최적화나 마케팅 계획 수립/수행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이끄는 도구이기에 개념을 이해하고 활용하면 큰 도움이 되는 도구라고 생각한다.

아래 유닛 이코노믹스를 이해하고 활용하는데 참조할 만한 링크 몇 가지를 함께 공유한다. 본 포스팅과 아래 참조자료를 기반으로 유닛 이코노믹스에 대해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

전부원가계산

이 지식 센터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여기에서 흡수 원가 계산 | 전체 원가 계산에 관한 모든 것을 찾을 수 있습니다:

당신은 우리와 함께 할 것인가? 무료입니다.

전부원가계산 방법 ( Absorption Costing 또 는 Full Costing ) 은 모든 제조원가를 포함하는 재고의 가치평가 및 원가산정 모델 :

  • 직접 재료비. 완제품의 불가결한 부분이 되는 재료와, 완제품 제조에 사용된 것으로 쉽게 추적되는 물자.
  • 직접 노무비. 개별적인 단위의 제품의 제조에 사용된 것으로 쉽게 추적할 수 있는 공장의 노무비 등. touch labor 라고도 함.
  • 고정경비와 가변경비 .

1 단위 제품의 원가에서 전부원가계산방식에서, 고정경비는 판매되기 전까지는 제품의 원가이다.

전부원가계산은 또는 방법으로 불린다.

고 정 제조원가는 재고에 포함되어야 하는가?

전부원가계산의 옹호자들은 모든 제조원가는 제품생산에 필요한 것이므로, 고정제조원가는 재고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한다. 따라서, 제품들은 "미래의 경제적 이익"이 된다.

변동원가계산의 옹호자들은 고정제조원가가 자산이 되기 위해서는, 미래 원가 회피 ( future cost avoidance) 기준에 부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선지불 된 보험과 유사한 방식. 고정제조원가의 경우는, 생산라인이 개시될 때마다 발생되기 때문에 이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고정제조원가는 그 기간동안의 비용으로 봐야하고, 비용 중의 변동분만 재고로 기록되야 한다.

전부원가계산이 갖고 있는 문제점으로는, 판매수준과는 무관한 생산의 증가같은 공장관리자의 잠재적인 조작이 있을 수 있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원가가 다음 해로 넘겨지고, 상여와 승진 등을 위해 현재의 이익이 더 높게 부풀려질 수 있다.

이익산정을 위해 전부원가계산 사용의 결과

기초재고수준과 기말재고수준이 다를 경우에, 그 차이는 이익산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 만일 기초재고수준과 기말재고수준이 동일할 경우 : 전부원가계산의 산정이익 = 변동원가계산의 산정이익;
  • 만일 당기의 재고수준이 감소할 경우 : 변동원가계산 방법의 이익은 전부원가계산의 이익보다 더 높게 된다.
  • 만일 재고수준이 증가할 경우 : 전부원가기준의 산정이익이 변동원가계산의 산정이익보다 더 높게 된다.

흡수 원가 계산 | 전체 원가 계산 시그(SIG).


시그(SIG) (22 개 회원)

회사의 이익을 노동자와 공유하는 ‘성과공유’ 경영 방침이 올해 언론사들에서 잇따라 나타나거나 논의 대상이 되며 주목 받고 있다. 연말 경영진 판단에 따라 노동자에게 일정 상여가 주어지는 일은 있었지만 어떤 기조로서 공언되거나 노사 간 협약의 형태로 실현되는 일은 언론계에서 드물었기 때문이다.

채널A는 이달 초 개국 10주년 행사에서 이익이 발생한 해에는 ‘전사성과급’을 지급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김재호 동아일보·채널A 대표이사 사장은 지난 2일 기념사에서 “올해는 개국 이래 처음으로 규모 있는 흑자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달 말에 모든 직원에게 성과급을 지급한다. 앞으로 이익이 발생하는 해에는 연말에 성과급을 지급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겠다”고 했다. 이어 “다양한 경력과 직무특성을 갖고 있는 직원들에 대한 보상도 적절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폭넓게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며 “이 같은 성과 보상 원칙과 방향은 동아일보에도 적용된다”고 덧붙였다.

사내에 공지된 ‘보상체계 강화 및 지원제도 개편 방안’에 따르면 성과급 규모는 영업이익의 20% 한도 내에서 당기순이익 등 그 해의 경영실적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된다. 규모가 정해지면 모든 사원에게 똑같이 지급하되 우수성과자와 직책자에겐 기본 성과급에 추가로 보상하는 방식이다. 전사성과급 외 ‘특별성과급’도 도입해 재무적 기여, 콘텐츠 영향력 확대·대외수상에 따른 브랜드가치 제고 등 성과를 낸 개인 또는 조직에 지급한다. 상대적으로 보상이 적었던 젊은 직원들과 일부 직군에 대한 기본연봉을 올리는 한편 회사의 이익을 종사자와 공유하는 방향을 공언한 변화다.

아울러 채널A는 공지에서 “1단계 시행에서 제외된 직원들에 대한 보상 및 처우 개선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직무수당, 직책수당 등 각종 수당과 취재비, 통신비 등 지원비 조정 및 개편을 검토하고 2단계 개선방안을 내년 4월 연봉 조정 및 계약 시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한다. 내년 중 사내대출제도 도입을 위한 사내근로복지기금 설립 등도 준비하겠다고 했다.

MBC 노사는 올해 임협에서 회사가 직원들과 이익 공유 계산 경영성과를 공유하는 ‘이익공유제’를 제도화했다. 회사의 연간 영업이익이 250억원 이상일 경우 해당 이익의 20%를 직원들과 나누도록 명문화한 것이다. 전국언론노조 MBC본부 서울지부는 “이 같은 제도를 매년 상시 가동하는 안에 합의했다”고 30일자 노보에서 밝혔다.

노보에서 MBC본부는 “통상성과급은 일회적 성격으로 경영진의 호혜적 결정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지난 2007년과 2011년에 있었던 성과공유 제도는 노사합의에 따라 영업이익 기준을 설정하긴 했으나 한시적인 성격의 제도였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이익공유제’는 분명하게 명시된 기준에 따라 회사가 회사의 이익 일부를 구성원들과 반드시 공유하도록 ‘상설 제도화’했다는 것이 핵심”이라고 적시했다. MBC본부는 “최근 3년 간 회사의 비상경영으로 조합원들이 감내해야 했던 크나큰 희생에 대해 적정 수준의 보상을 요구한 결과이며, 회사의 경영성과는 경영진만이 아닌 임직원 공동의 노력으로 달성한 것이라는 노사의 공통된 인식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첨언했다.

이 같은 연말 성과급 지급 대상은 일반직과 전문직, 촉탁직은 물론 휴직자도 포함한다. MBC본부는 “연말 성과급의 지급 대상은 통상적으로 ‘지급 기준일 현재 근무 중’인 직원에 한정된다. 올해는 MBC가 10여년 만의 최대 경영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PS(Profit Sharing·이익공유) 규모 역시 과거 어느 때보다 클 것으로 추정된다”며 “누구 하나 억울한 사람 없이 가장 합리적인 방법으로 이익이 공유될 수 있도록 올해에 한해 휴직자들과 2021년 실제 근무기간을 일할 계산하여 PS를 받을 수 있도록 노사 합의를 이끌어 냈다”고 했다.

CBS 노사도 지난 30일 단체협약과 임금협정 합의서를 체결하며 성과연동형 상여금 지급 기준을 조정했다. 우선 협상을 통해 2010년 상여금 950% 인상 후 12년 만에 상여금을 1000%로 인상(기본급 2.3% 인상과 동일, 단 퇴직금 반영은 1년 유예)했고, 모든 직원에게 직급되는 일시타결금을 역대 최대금액인 300만원(유급 휴직자까지 대상, 무급 휴직자·올해 입사자는 월 25만원씩 계산)으로 정했다.

아울러 성과연동형 상여금 지급 기준도 조정됐다. 기존 지급 기준의 경우 영업이익 15억원 이상일 때 상여 50%, 25억원 이상이면 100%였는데 이를 영업이익이 흑자이면 3분의1(33.33%)을 이익분배 방식과 함께 인센티브를 혼합해 지급하기로 했다. 구체적인 지급 비율과 평가방식은 추후 합의한다. 언론노조 CBS지부는 “영업이익이 15억원 미만의 경우에도 받을 수 있고, 영업이익이 크게 날 경우 더 받을 수도 있다. 하지만 현재보다 영업이익에서 상여금 총액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다”면서 “앞으로 인센티브 제도의 도입에 있어 노사 간 향후 치열한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