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s for Plus500 지수 | 세계 주요 지수의 온. translation from Korean to English
From professional translators, enterprises, web pages and freely available translation repositories.
Korean
English
Korean
plus500 지수 | 세계 주요 지수의 온라인 거래
English
plus500 indices | online trading of major world indices
Last Update: 2009-12-01
Usage Frequency: 1
Quality:
Korean
English
plus500 ™ online trading
Last Update: 2011-08-01
Usage Frequency: 2
Quality:
Korean
plus500 온라인 거래 플랫폼
English
plus500 online trading platform
Last Update: 2012-03-05
Usage Frequency: 세계 주요 지수의 온라인 1
Quality:
Korean
plus500 상품 거래 | 석유, 금, 은 및 기타 상품 온라인 거래
English
plus500 commodities trading | online trading of oil , gold, silver and more!
Last Update: 2009-12-01
Usage Frequency: 1
Quality:
Korean
English
Last Update: 2009-11-22
Usage Frequency: 2
Quality:
Korean
English
24 hours online trading
Last Update: 2012-08-14
Usage Frequency: 1
Quality:
Korean
English
online trading platform.
Last Update: 2009-11-22
Usage Frequency: 1
Quality:
Korean
plus500에서 온라인 거래
English
online trading with plus500
Last Update: 2012-03-05
Usage Frequency: 2
Quality:
Korean
최고의 온라인 거래 제휴사 프로그램
English
the best online trading affiliate program
Last Update: 2010-06-02
Usage Frequency: 1
Quality:
Korean
plus500™ 온라인 거래 플랫폼에서 이루어지는 거래에 관해 질문이나 의견, 제안 사항 등이 있으면
English
for any questions, comments or suggestions regarding trading at the plus500 ™ online trading platform e-mail us at:
Last Update: 2009-12-29
Usage Frequency: 1
Quality:
Korean
차입금을 이용한 온라인 주요 지수 거래
English
trade the major indices online with leverage
Last Update: 2009-11-22
Usage Frequency: 1
Quality:
Korean
온라인 거래의 중심, plus500!
English
trading with plus500
Last Update: 2009-11-22
Usage Frequency: 1
Quality:
Korean
주요 세계 지수의 온라인 거래, 무료로 계좌 개설, 100달러에서 시작하는 소형 계좌, 수수료 면제, 낮은 스프레드.
English
trade online on major world indices, open an account for free, mini accounts from $100. no commissions, low spreads.
Last Update: 2009-12-01
Usage Frequency: 1
Quality:
Korean
온라인 거래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plus500 무료 다운로드
English
online trading software download | plus500 free download
Last Update: 2009-12-01
Usage Frequency: 1
Quality:
Korean
plus500 거래 지원, plus500 지원, plus 500 지원, plus500 제휴 프로그램, 온라인 거래 지원, plus500 문의
English
plus500 trading support, plus500 support, plus 500 support, plus500 affiliate program, trading online support, online trading support, contact plus500
Last Update: 2009-12-01
Usage Frequency: 1
Quality:
Korean
plus500™ 온라인 거래 플랫폼에서 이루어지는 거래에 관해 질문이나 의견, 제안 사항 등이 있으면 다음 전자 메일로 보내 주십시오.
English
for any questions, comments or suggestions regarding trading at the plus500 ™ online trading platform e-mail us at:
Last Update: 2009-12-01
Usage Frequency: 1
Quality:
Korean
plus500 온라인 거래 다운로드 | 무료로 plus500 거래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여 온라인 cfd/주식, 외환, 상품 및 지수 거래를 시작하십시오.
English
plus500 online trading download | download plus500 trading software for free and start trading online cfd/shares, forex, commodities and indices.
Last Update: 2009-12-01
Usage Frequency: 1
Quality:
Korean
plus500은 android용 프리미어 프리 cfd 온라인 거래 플랫폼입니다.
English
plus500 is the premier free cfd online trading platform for android.
Last Update: 2012-08-14
Usage Frequency: 1
Quality:
Korean
plus500은 iphone, ipad 및 ipod touch용 프리미어 온라인 거래 플랫폼입니다.
English
plus500 is the premier online trading platform for your iphone, ipad and ipod touch.
Last Update: 2011-06-05
Usage Frequency: 1
Quality:
Warning: Contains invisible HTML formatting
Korean
거래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plus500 다운로드, plus500 무료 거래 소프트웨어, 당일 매매 다운로드, 온라인 거래, 외환 거래, 주식 거래, 상품 거래, 지수 거래, 증권 거래
English
trading software download, plus500 download, plus500 free trading software, day trading download, online trading, forex trading, stocks trading, equity trading, commodities trading, stocks trading, shares trading, indices trading, securities trading
세계 주요 지수의 온라인
출처 :
UNPAN(United Nations Public Administration Network, http://www.unpan.org/)
주석 :
* 2002년부터 지수평가, 발표(2002년에는 세부지표 미발표)
2006년에는 UN에서 전자정부 지수를 평가하지 않음
* UN 가입국 190여개국 중 한국의 순위임
2002~2005(191개국), 2008~2010(192개국), 2012~2018(193개국)
- UN 전자정부 발전지수 순위
[단위 : 순위]2002 | 2003 | 2004 | 2005 | 2008 | 2010 | 2012 | 2014 | 2016 | 2018 | 2020 | |
---|---|---|---|---|---|---|---|---|---|---|---|
전자정부발전지수(종합) | 15 | 13 | 5 | 5 | 6 | 1 | 1 | 1 | 3 | 3 | 2 |
온라인서비스 지수 | - | 18 | 4 | 4 | 6 | 1 | 1 | 3 | 5 | 4 | 1 |
정보통신인프라지수 | - | 10 | 12 | 9 | 10 | 13 | 7 | 2 | 2 | 3 | 4 |
인적자본지수 | - | 20 | 15 | 13 | 10 | 7 | 6 | 6 | 18 | 20 | 23 |
온라인참여지수(종합) | - | 12 | 6 | 4 | 2 | 1 | 1 | 1 | 4 | 1 | 1 |
출처 :
UNPAN(United Nations Public Administration Network, http://www.unpan.org/)
주석 :
* 2002년부터 지수평가, 발표(2002년에는 세부지표 미발표)
2006년에는 UN에서 전자정부 지수를 평가하지 않음
* UN 가입국 190여개국 중 한국의 순위임
2002~2005(191개국), 2008~2010(192개국), 2012~2018(193개국)
○ 통계표 목록
- 기본통계표: UN 전자정부 발전지수 순위 ( U , 2002 ~ 2020 )
■ UN 전자정부 지수 개념
○ 전자정부 발전지수(E-Government Development Index)
- UN 가입국인 세계 190여개국에 대하여 전자정부지수를 3개의 하위지수로 나누어 종합적으로 평가
① 온라인서비스 지수(Online Service Index)
ㆍ국민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의 일반적인 능력 측정
ㆍ국가대표포털사이트 또는 정부공식홈페이지를 중심으로 평가하되 특정 서비스의 존재·부존재에 따른 계량적인 평가
ㆍ국가포털사이트, 보건, 교육, 사회복지, 노동, 재정 등과 관련된 각국 정부의 대표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전자정부 발전단계가 요구하는 서비스의 제공여부 조사
② 정보통신인프라 지수(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ndex)
ㆍ전자정부의 선행조건인 기본 정보통신관련 인프라 수준 측정
ㆍ5개의 지표항목(인구 100명당 기준 인터넷이용자수, 전화회선수, 이동전화가입건수, 무선초고속인터넷가입자수,
유선초고속인터넷가입자 수)별로 각각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조사
* 2012년 평가 시 PC 보급대수 삭제, 유선인터넷가입자수 지표 신설
* 2014년 유선인터넷가입자수 삭제, 무선초고속인터넷가입자수 지표 신설
③ 인적자본 지수(Human Capital Index)
ㆍ전자정부를 이용할 수 있는 국민의 일반적 지적능력 측정을 통해 국민의 전자정부서비스에 대한 수용도 반영
ㆍ4개 지표항목(성인문해율, 취학률, 학교교육 예상연수, 평균 학교교육 연수)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산
* 2014년 학교 교육예상연수, 평균 학교교육 연수 지표 신설
○ 온라인 참여지수(E-Participation Index)
- 온라인 참여지수는 세계 주요 지수의 온라인 세계 주요 지수의 온라인 전자정부 웹사이트를 통해 시민들이 공공정책 형성 등에 참여할 수 있도록 관련 서비스 및
정보를 전자정부 웹사이트에 얼마나 제공해 주고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평가
- 온라인 참여지수는 전자정보, 전자컨설팅, 전자의사결정과 관련된 서비스 제공 정도를 5점 척도로 평가하여
표준점수화 한 후 합계하여 산출
ㆍ정부기관 웹사이트를 통해 국민들이 원하는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정부의 정보제공 수준 측정
ㆍ정부기관 웹사이트를 통해 정부가 국민들과 직접 의사소통할 수 있는 창구 및 기능 평가
③ 온라인 정책결정(E-Decision Making)
ㆍ정부가 정책결정 과정에서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반영하는 수준 및 노력측정
■ UN 전자정부 지수 의의 및 활용
○ UN 전자정부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세계 선진국 대비 우리나라의 전자정부 발전방향 및 발전수준 파악 가능
○ 전자정부에 대한 범국가적 관심을 유도하고 정보화 국제협력을 더욱 강화하여 실질적 성과 창출에 주력 및 전자정부
선도국 위상에 걸맞게 국제사회 공헌활동 강화
- 국가채권추이 의미분석 : e-나라지표
■ UN 전자정부 지수 개념
○ 전자정부 발전지수(E-Government Development Index)
- UN 가입국인 세계 190여개국에 대하여 전자정부지수를 3개의 하위지수로 나누어 종합적으로 평가
① 온라인서비스 지수(Online Service Index)
ㆍ국민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의 일반적인 능력 측정
ㆍ국가대표포털사이트 또는 정부공식홈페이지를 중심으로 평가하되 특정 서비스의 존재·부존재에 따른 계량적인 평가
ㆍ국가포털사이트, 보건, 교육, 사회복지, 노동, 재정 등과 관련된 각국 정부의 대표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전자정부 발전단계가 요구하는 서비스의 제공여부 조사
세계 주요 지수의 온라인
250만원, 고반발 금장 아이언세트, '60만원'대 72% 할인 판매!
2월까지 코스피와 코스닥시장 주가 변동성이 시장 역사상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 들어 코스피의 일중 변동성은 0.65%, 코스닥은 0.76%로 조사됐다. 이는 코스피가 집계를 시작한 1987년 이후, 코스닥시장이 개설된 1996년 7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주가지수의 일중 변동성이 세계 주요 지수의 온라인 낮다는 것은 증시가 활력을 잃은 무기력 상태라는 뜻과 동시에 호재나 악재가 터져도 급변동하지 않고 복원력이 높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우리나라 주가지수의 일중 변동성은 미국과 일본, 세계 주요 지수의 온라인 중국 등 주요국 대표 지수 가운데서도 가장 낮은 편이었다.
주가지수의 일중 변동성은 지수가 당일 평균값에서 위아래로 얼마나 움직였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로, 당일 고가와 저가 차를 고가와 저가 평균값으로 나눈 것이다.
비율이 높을수록 시장이 외부 충격 등 변수에 민감하게 반응했다는 뜻이 되고 반대로 낮으면 그만큼 안정적이라는 의미다.
코스피는 1998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당시 3.27%로 가장 높았고, 코스닥은 2000년 닷컴 버블 당시 4.82%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거래소에 따르면 세계 주요 지수의 변동성은 2015년을 기점으로 3년 연속 하락세로 조사됐다.
코스피는 세계 주요 지수 가운데 3년 연속 가장 낮은 일중 변동성을 기록했다.
주요 8개국 대표지수 11개의 지난해 평균 일중 변동성 추이를 조사한 결과 일본 닛케이225와 중국 상하이종합지수가 각각 1.51%로 가장 높았다.
PDF 지면보기
[아시아타임즈=김창수 기자] 이달 전 세계 대표 40개 주가지수 가운데 코스닥과 코스피가 가장 많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경기침체로 전 세계 증시 하락세가 약세를 보이는 가운데 국내 증시 부진이 장기화되고 있는 모습이다.
24일 오후 서울 명동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사진=연합뉴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 지수는 지난달 말 세계 주요 지수의 온라인 893.36에서 최근 거래일인 이달 24일 750.30으로 16.01% 내렸다. 같은 기간 코스피는 2685.90에서 2366.60으로 11.89% 하락했다.
코스피·코스닥 주요 종목을 편입한 KRX 업종지수 기준 반도체 지수는 6월 들어서만 19.57%나 하락했다. 특히 철강(-18.99%), 건설(-17.21%), 경기소비재(-14.95%), 운송(-14.58%) 등 경기 민감 업종 약세가 두드러졌다.
반면, 글로벌 증시 움직임을 이끄는 뉴욕증시의 경우 이달 들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가 5.33% 하락했다. 다우지수와 나스닥지수는 각각 4.51%, 3.92% 내렸다.
6월에 상대적으로 선방한 아시아 주변국 증시와 비교해봐도 한국증시 낙폭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달 들어 중국 상하이종합지수와 선전종합지수는 각각 5.13%, 9.25% 올랐다. 홍콩 항셍지수도 1.42% 상승했으며 일본 니케이225지수는 2.89% 하락했다.
한국증시처럼 반도체 종목 비중이 큰 대만 가권지수는 8.95% 하락했으나 코스피, 코스닥보다는 하락 폭이 낮았다. 이 기간 수익률 1위는 러시아 증시로 지난달 말보다 17.12% 상승했다.
업계에서는 한국증시 부진 이유로 수출 둔화, 원화 약세 및 한미 금리 역전 우려에 따른 외국인 매도세, 반대매매 출회 등을 꼽았다.
한국 수출은 6월 들어 20일까지 1년 전보다 3.4% 감소했다. 여기에 무역적자 지속으로 상반기 누적 무역적자 규모가 반기 최대를 기록할 가능성이 커졌다. 국내 경제 수출 의존도가 높은 만큼 세계 경기 침체에 따른 수출 둔화는 기업 실적과 주가에도 악재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에는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 기준금리보다 높아지는 금리 역전 가능성이 불거지며 외국인 매도세 자극 근거로 언급된다. 외국인은 이달 들어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총 5조3760억원을 순매도, 주가를 끌어내렸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은 여타 주식시장 대비 더 큰 충격을 받고 있는데 이는 경기 침체 시 수출 둔화 우려, 외국계 자금 유출 지속, 개인 투자심리 위축으로 인한 매수 주체 실종 등이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세계 주요 지수의 온라인
김 연구원은 또 ”연준이 7월에도 금리 75bp 인상을 예고한 만큼 7월에 한미 기준금리 역전이 불가피하다“며 "이는 원/달러 환율 상승과 외국계 자금의 한국 자본시장 이탈 우려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투자심리를 불안하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KDI 경제정보센터
* 유럽연합(European Union: EU) 유럽의 정치·경제 통합을 목표로 창설된 유럽 국가들의 연합체. 1993년 11월 1일 마스트리히트 조약 발효로 출범함. 현재 EU 회원국은 독일·프랑스·이탈리아 등 27개국임. 영국은 2020년 1월 EU에서 탈퇴했으며, 이를 브렉시트(Brexit)라고 부름. 브뤼셀 소재 EU 집행위원회와 이사회는 각각 EU의 행정과 입법을 담당함. ** OTT(Over The Top) 본래 셋톱박스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 서비스를 의미함. 스마트기기를 통한 영상 콘텐츠 소비가 확산하면서 셋톱박스의 유무와 상관없이 인터넷 기반 동영상 서비스를 포괄하는 의미로 쓰임.
2020년 9월 5일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의 파올로 젠틸로니(Paolo Getiloni)집행위원이 미국 C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한 말입니다. 그가 지목한 ‘거대 세계 주요 지수의 온라인 IT기업’은 구글, 애플, 페이스북 등과 같은 미국 온라인 서비스 기업을 의미합니다. 이 기업들은 2020년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전 세계가 위기를 겪는 와중에도 많은 수익을 창출했습니다. 사람들의 온라인 활동이 코로나19 확산 이전보다 많이 늘어나면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의 매출이 함께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코로나19 확산 후 급증한 온라인 서비스 이용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전 세계에서 재택근무와 원격수업이 진행되었고, 많은 사람이 모이는 문화 행사가 금지되면서 사람들은 온라인에서 즐길 수 있는 문화 활동에 예전보다 더 많은 시간을 들이게 되었습니다. 그림1 을 보면 코로나19 확산 이후 우리나라에서 줌(Zoom)과 같은 화상회의 애플리케이션, 넷플릭스(Netflix)와 같은 OTT**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시간과 사용자 수가 급증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자료: KDI 경제정보센터, “랜선 라이프, 코로나19 생활을 바꾸다”, 2020.12.23.
코로나19 확산으로 많은 기업들의 매출이 줄어든 데 반해, 소비자들이 온라인 환경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주요 온라인 서비스 공급자인 아마존, 애플, 알파벳(구글의 모회사),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의 2020년 매출은 전년에 비해 늘어났습니다. 또한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사람들의 온라인 서비스 소비가 늘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들 기업의 주가도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서 활동하는 이들 다국적 온라인 서비스 기업은 자사가 거둬들인 수익에 대한 세금을 어디에 어떻게 내는 것일까요?
사업장의 물리적 위치를 기준으로 부과되는 법인세
개인이 소득세를 내듯이 기업도 벌어들인 소득에 대해 세금을 냅니다. 이러한 세금을 법인세라고 합니다. 현재 법인세는 기업이 물리적 고정사업장을 어디에 두었는지를 기준으로 부과됩니다. 예를 들어 외국 기업이 우리나라에 공장과 지사를 설립하고 제품을 판매해 수익을 올린다면, 이 기업은 우리나라에 법인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국제적으로도 법인세는 기업의 물리적 위치를 기준으로 부과됩니다.
한편 온라인 서비스 기업은 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는 고정사업장이 없어도 운영이 가능합니다. 이들 기업은 국제적 규모로 활동하고 있지만, 생산부터 유통에 이르기까지 물리적 요소에 의존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나라에 고정사업장을 두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재 국내 온라인 서비스 기업은 국내 소비자를 대상으로 얻은 수익에 대해 우리나라 정부에 법인세를 납부하지만, 다국적 온라인 서비스 기업은 국내 소비자를 대상으로 얻은 소득에 대해 법인세를 납부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각국 정부는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요? 고정사업장이 없다는 이유로 법인세를 걷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할까요? 그렇지는 않을 것입니다. 소비자 한 명의 구매는 미미할 수 있어도 여러 소비자의 구매가 누적되면 많은 수익이 발생할 것입니다. 일부 국가들은 자국에서 수익을 올리면서 세금은 내지 않는 기업이 많아지는 것에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이처럼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형태의 산업이 부상하면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EU를 중심으로 새로운 세금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바로 ‘디지털세(Digital Tax)’ 입니다.
본격화하는 디지털세 도입 논의
디지털세는 기업이 디지털 형식으로 제품을 판매해 수익을 얻으면 사업장 소재지와 상관없이 해당 국가가 일정 세율로 세금을 부과할 수 있게 하자는 개념의 조세입니다. 예를 들어 한국과 미국에서 디지털세가 도입되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미국에 위치한 기업이 우리나라에 영화 스트리밍 서비스를 판매했다면, 우리나라가 이 기업에 세금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우리나라에 위치한 기업이 미국에 웹툰 서비스를 판매했다면, 미국은 이 기업에 세금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산업이 성장하면서 디지털세 도입에 대한 논의는 관련 기업들의 조세회피 행위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습니다. 조세회피는 국제 조세체계에서 합법적으로 조세를 피하려는 기업의 행위로, 내야 할 세금을 내지 않는 불법 행위인 탈세와는 다릅니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 활동하는 다국적 기업들은 법인세액을 최소화하기 위한 선택을 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고세율국의 이윤을 낮추고 저세율국의 이윤을 높이는 전략을 취합니다. 1) 디지털세를 도입하면, 다국적 기업들의 조세회피로 세원이 다른 국가로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OECD는 2013년부터 디지털 경제활동에서 발생하는 수익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해 왔습니다. 2020년 OECD는 디지털세를 도입하면 전 세계 세수가 4%(연간 1천억 달러)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2) 또한 현재 적용되고 있는 고정사업장 기준을 대신할 ‘디지털 실체(Significant Digital Presence)’라는 개념을 확립하기 위한 논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디지털 실체는 고정사업장이나 서버의 소재지가 아닌, 영업과 이익이 이루어지는 사업 활동을 기준으로 과세 관할국을 지정하자는 것입니다. 3)
한편 EU 입법 기관인 EU 이사회는 2017년에 전통적 산업과 디지털 산업을 아우를 수 있는 새로운 조세 규정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현재 디지털세 도입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EU입니다. EU 집행위원회는 임시 조치로 ‘디지털 서비스세(Digital Service Tax)’의 도입을 제안했으나, 4) EU 일부 회원국의 반대로 EU 차원의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습니다. 이후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 EU 일부 회원국은 독자적으로 디지털 서비스세를 도입했습니다. 즉, 이들 나라에서 디지털 사업으로 수익을 올리는 다국적 기업들은 고정사업장의 유무와 관계없이 디지털 서비스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한편 아일랜드처럼 법인세율이 낮은 국가들은, 조세회피 목적으로 자국에 법인을 설립할 기업이 줄어들 것을 우려해 디지털 서비스세 도입에 부정적 입장입니다. 이처럼 국가가 처한 상황에 따라 디지털세를 바라보는 시각은 다를 수 있습니다. 정부 입장에서 단기적으로 세원이 늘어나는 효과가 세계 주요 지수의 온라인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관련 산업의 성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2) OECD, “OECD presents analysis showing significant impact of proposed international tax reforms”, 2020.2.13.
디지털세 도입, 소비자에게 미칠 영향은?
디지털세 도입을 두고 국가와 국가, 국가와 기업 간 갈등 조짐도 보이고 있습니다. 프랑스가 2019년 디지털 서비스세를 도입하는 법안을 발표하자, 당시 미국은 프랑스산 와인, 치즈, 핸드백 등에 대해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맞섰습니다. 이처럼 디지털세의 도입을 두고 무역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한편 온라인 서비스 기업들은 EU 여러 나라가 디지털 서비스세를 도입하자 플랫폼 5) 내의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비용을 부담시키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2019년 프랑스 정부가 온라인 플랫폼에서 거둬들인 수익 에 대해 디지털 서비스를 도입하자, 아마존은 자사 플랫폼을 이용하는 프랑스 사업자들에 대한 수수료를 인상했습니다. 영국이 2020년에 디지털 서비스를 도입했을 때는 애플과 구글, 아마존이 영국 기업고객에 대한 수수료를 인상했습니다. 이처럼 디지털세가 부과되면 디지털 서비스 및 콘텐츠의 가격이 오를 수 있습니다. 디지털세에 대한 논의는 국가와 국가 간, 정부와 기업 간힘겨루기에만 국한한 것이 아니라 결국 소비자에게까지 영향을 미치는 사안입니다.
과거에는 제품이라고 하면 DVD처럼 물리적 형체가 있는 재화나, 병원 진료나 강의처럼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서비스를 떠올리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정보통신 기술을 사회 전반에 적용하는 ‘디지털 전환 (Digital Transformation)’이 활발히 전개되면서 OTT 영화 서비스와 인터넷 강의처럼 디지털 형태로 가공된 다양한 제품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온라인에서 이런 제품을 사고파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자리잡았고, 과거 전통적인 산업에 속하던 기업들은 온라인으로 사업 범위를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그만큼 디지털세가 도입되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세라는 새로운 세금이 등장하게 되면, 우리의 삶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을까요?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