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물/옵션 만기일이 되면 차익매매를 위한 사전공시 주문들이 대량 입력됩니다. 종목별 물량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화면입니다.
시장미시구조에서의 유동성 분석 -유상증자 공시시점을 중심으로-
TY - JOUR
AU - 신연수
AU - 서충원
TI - 시장미시구조에서의 유동성 분석 -유상증자 공시시점을 중심으로-
T2 - 글로벌경영학회지
PY - 2009
VL - 6
IS - 1
PB - 글로벌경영학회
SP - 137-149
SN - 2713-8941
AB - 본 연구에서는 시장요인들 중에서 유상증자 이후 거래량, 가격, 주문불균형, 공시시점을 중심으로 시간대별 더미 변수들이 시장 유동성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유상증자 공시시간대(event time)를 중심으로 -10시간대부터 10시간대까지를 최종 분석자료로 추출하여 주문․거래변수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거래량, 가격, 주문불균형 변수가 호가스프레드 및 시장깊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시간대별 더미변수를 통제하여 분석하였다. 상관관계분석결과 호가스프레드가 시장깊이, 거래량, 가격, 주문불균형 각각의 변수와 유의적인 음(-), 시장깊이가 거래량, 주문불균형의 변수와는 유의적인 양(+), 시장깊이와 가격은 유의적인 음(-), 거래량과 가격은 유의적인 음(-), 거래량과 주문불균형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회귀분석결과 유상증자 공시시간대에서 호가스프레드가 크게 증가하였고, 공시 이후 +4시간대까지는 안정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그리고 거래량 증가 및 가격과 주문불균형도 호가스프레드에 유의적인 음(-)을 영향을 주고 있었다. 거래량이 많을수록 호가스프레드는 줄어들면서 최우선호가에 대한 주문량이 증가하였고, 높은 가격대의 주식이 낮은 가격대의 주식에 비해 최우선호가에서의 주문량이 더 많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유상증자시에는 거래의 유동성을 제고시키나 일시적인 주문불균형이 발생하였다. 전반적으로 유상증자 공시는 시장을 불안정하지는 않았다. 즉 호가스프레드는 상승하고 시장깊이는 감소하였으며, 변동성의 약간의 증가는 있었으나 그 이후에는 그 충격은 사라지고 있다. 그리고 단기간에서는 수익률 및 투자자들의 매도 및 매수주문에 대한 패턴에는 어떤 큰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KW - 호가스프레드, 시장깊이, 거래량, 가격, 주문불균형
DO - 10.17092/jibr.2009.6.1.137
UR - http://dx.doi.org/10.17092/jibr.2009.6.1.137
ER -
신연수 and 서충원 (2009). 시장미시구조에서의 유동성 분석 -유상증자 공시시점을 중심으로-. 글로벌경영학회지, 6( 1), 137- 149.
신연수 and 서충원 . 2009, “시장미시구조에서의 유동성 분석 -유상증자 공시시점을 중심으로-”, 글로벌경영학회지, vol. 6, no. 1, pp. 137-149. Available from: doi:10.17092/jibr.2009.6.1.137
신연수 서충원 et al. “시장미시구조에서의 유동성 분석 -유상증자 공시시점을 중심으로-” 글로벌경영학회지 6.1 pp. 137-149 (2009): 137.
신연수 , 서충원 . 시장미시구조에서의 유동성 분석 -유상증자 공시시점을 중심으로- 글로벌경영학회지 [Internet]. 2009; 6( 1), : 137-149. Available from: doi:10.17092/jibr.2009.6.1.137
신연수 and 서충원 . “시장미시구조에서의 유동성 분석 -유상증자 공시시점을 중심으로-” 글로벌경영학회지 6, no.1 (2009): 137-149. doi: 10.17092/jibr.2009.6.1.137
시장미시구조에서의 유동성 분석 -유상증자 공시시점을 중심으로-
2009, vol.6, no.1, pp.137 - 149
연구분야 : 경영학
2 서울대학교 증권금융연구소
본 연구에서는 시장요인들 중에서 유상증자 이후 거래량, 가격, 주문불균형, 공시시점을 중심으로 시간대별 더미 변수들이 시장 유동성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유상증자 공시시간대(event time)를 중심으로 -10시간대부터 10시간대까지를 최종 분석자료로 추출하여 주문․거래변수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거래량, 가격, 주문불균형 변수가 호가스프레드 및 시장깊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시간대별 더미변수를 통제하여 분석하였다. 상관관계분석결과 호가스프레드가 시장깊이, 거래량, 가격, 주문불균형 각각의 변수와 유의적인 음(-), 시장깊이가 거래량, 주문불균형의 변수와는 유의적인 양(+), 시장깊이와 가격은 유의적인 음(-), 거래량과 가격은 유의적인 음(-), 거래량과 주문불균형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회귀분석결과 유상증자 공시시간대에서 호가스프레드가 크게 증가하였고, 공시 이후 +4시간대까지는 안정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그리고 거래량 증가 및 가격과 주문불균형도 호가스프레드에 유의적인 음(-)을 영향을 주고 있었다. 거래량이 많을수록 호가스프레드는 거래 시간대별 가격변동 특징 줄어들면서 최우선호가에 대한 주문량이 증가하였고, 높은 가격대의 주식이 낮은 가격대의 주식에 비해 최우선호가에서의 주문량이 더 많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유상증자시에는 거래의 유동성을 제고시키나 일시적인 주문불균형이 발생하였다. 전반적으로 유상증자 공시는 시장을 불안정하지는 않았다. 즉 호가스프레드는 상승하고 시장깊이는 감소하였으며, 변동성의 약간의 증가는 있었으나 그 이후에는 그 충격은 사라지고 있다. 그리고 단기간에서는 수익률 및 투자자들의 매도 및 매수주문에 대한 패턴에는 어떤 큰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호가스프레드, 시장깊이, 거래량, 가격, 주문불균형
참고문헌 (12) 
[학술지] 신연수 / 2006 / 유상증자 공시 전후의 거래특징에 관한 실증연구 / 상업교육연구 12 : 157 ~ 178
[학술지] Amihud, Y. / 1986 / Asset Pricing and the bid-ask spread / The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 223 ~ 249
[학술지] Barclay / 1986 / Size effects of seasoned stock issues:Empirical evidence / Journal of Business 59 : 567 ~ 584
[학술지] Barclay, M / 1988 / Announcement Effects of New Equity Issues and the Use of Intraday Price Date /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21 : 71 ~ 99
[학술지] Battalio, R. / 1997 / EOs Trading and Market Volatility / Journal of Financial and Quantitative Analysis 32 : 225 ~ 238
[학술지] Chan, K. C. / 1995 / Market Structure and the Intraday Pattern of Bid-ask Spreads for NASDAQ Securities / Journal of Business 68 : 35 ~ 60
[학술지] Copeland, T / 1983 / Information Effects of the Bid-ask Spread / Journal of Finance 38 : 1457 ~ 1469
[학술지] Lease, R. C. / 1991 / An Investigation of Market Micorstructure Impacts on Event Study Returns / Journal of Finance 46 : 1523 ~ 1536
[학술지] Lee, C. B / 1993 / Spreads, Depths, and the Impact of Earnings Information:An Intraday Analysis / Review of Financial Studies 6 : 345 ~ 374
[학술지] Lederer, C. F. / 1991 / The Pricing of eEquity Offerings /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29 : 34 ~ 58
[학술지] Masulis, R / 1986 / Seasoned Equity Offerings:An Empirical Investigation /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15 : 91 ~ 118
[학술지] McInish, T. H. / 1992 / An Analysis of Intraday Patterns in Bid/Ask spreads for NYSE Stocks / Journal of Finance 47 : 753 ~ 764
뉴스
The copyright belongs to the original writer of the content, and there may be errors in machine translation results.
Hak cipta milik penulis asli dari konten, dan mungkin ditemukan kesalahan dalam hasil terjemahan mesin.
Bản quyền thuộc về tác giả gốc của nội dung và có thể có lỗi trong kết quả dịch bằng máy.
이웃집 아이는 주식 투자를 한다는데, 우리집 경제교육은 “거래 시간대별 가격변동 특징 아빠 피곤하니까, 내일 설명해줄게”에 머물러있다고요? 건강한 부(富)의 사다리를 만들어주는 첫걸음. 부모가 먼저 읽고 아이들에게 전해주는 부모탐구생활로 시작해보세요. 부모를 위한 뉴스, 중앙일보 헬로!페어런츠가 전해드립니다. 이번엔 알쏭달쏭 주식 거래시간에 대한 이야기를 들고 왔습니다.
#30대 중반 직장인 김초보 과장. 최근 자녀 계좌를 개설하고 국내 대표 기업들을 조금씩 매수하며 주식에 흥미를 붙이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중요한 업무 미팅 중에 보유하고 있던 종목이 급락하는 것을 발견했다. 회의를 마친 후 허겁지겁 주문을 넣어보았으나 입력이 되지 않았다. 아뿔싸. 주식 거래 시간이 지나버린 것이다.
주식 거래 시간이 뭐야?
부모탐구생활. getty images bank
주식은 가상화폐와 달리 정해진 시간에만 거래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직장인이 출근을 하는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주식거래가 가능합니다. 그런데 주식 거래를 하다 보면 거래가 실시간으로 체결되지 않고 가격만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각 거래시간의 특징과 체결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주식 거래시간은 크게 ▷정규시간▷ 동시호가▷시간 외 종가▷시간 외 단일가로 구성됩니다. 어디 한 번 들여다볼까요?
①정규시간(09:00 ~ 15:30)
대부분의 주식거래가 이뤄지는 정규장은 오전 9시에 개장해 오후 3시 30분에 폐장합니다. 일반적으로 주식을 거래한다고 할 때가 바로 정규시간에서 거래를 하는 것인데요, 보통 정규시간 개장 직후 1시간과 폐장 직전 1시간에 주가의 변동성이 높게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주식거래 시간. 그래픽=김현서 [email protected]
② 동시호가(08:30 ~ 09:00/15:20 ~ 15:30)
동시호가는 매매가 이뤄지지 않을 때 접수된 대량 주문을 공정하게 처리하기 위해 마련된 것입니다. 이 시간대에 접수되는 주문은 동시에 낸 것으로 간주하고 다수 주문에 대해 단일가격을 적용해 거래를 성사시킵니다.
오전 8시 30분~9시까지 장 시작 동시호가 시간 동안의 주문을 9시에 모두 처리하고, 이때 확정된 금액이 ‘시가’가 됩니다. 그리고 3시 20분~3시 30분까지 장 마감 동시호가 시간 동안 주문을 3시 30분에 모두 처리하고, 이때 거래 금액이 당일의 ‘종가’가 됩니다.
동시호가를 보면 가격이 큰 폭으로 변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호재나 악재 없이 변동되는 동시호가는 큰 의미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③시간 외 종가(08:30 ~ 08:40 / 15:40 ~ 16:00)
투자자에게 정규시간 외에 추가적인 매매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시간으로, 정규장 종료 후 및 장 개시 전 일정 시간 동안 정해진 가격으로 거래가 이뤄집니다. 장전 시간 외 종가는 전일 종가로 거래, 장후 시간 외 종가는 당일 종가로 거래가 됩니다. 시간 외 종가의 경우 거래량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④시간 외 단일가(16:00 ~ 18:00)
시간 외 단일가 매매시간에는 주문을 넣으면 바로 체결이 되지 않고, 10분 단위로 일괄적으로 체결이 진행됩니다. (동시호가 시스템) 10분 단위로 총 12번의 거래가 이뤄지고, 당일 종가의 10% 이내의 가격으로만 매매할 수 있습니다. 보통 시간 외 단일가에서는 거래도 많지 않고 주가 변동이 크지 않지만, 장 마감 후 호재가 나오거나 악재가 나오면 거래가 활발해지고 가격 변동폭이 커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거래 시간대별 가격변동 특징
첨부파일 기본10-07.pdf 원문다운하기 미리보기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세계적으로 전력산업은 과거 독점적인 수직통합적 운영체제에서 발전 및 판매부문에 대한 경쟁도입으로 규제완화와 시장자유화 시대로 탈바꿈하였으며, 한걸음 더 나아가 수요 측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 스마트그리드 시대로 진입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전력산업의 시대적 변화에 따라서 시간별 한계비용에 근거한 실시간 요금제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였다. 특히 IT 기술의 획기적 발전으로 수요 측과의 양방향 정보교환 및 전력거래를 수행하는 새로운 전력공급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해짐에 따라 실시간 요금제 시행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전력산업은 여전히 구조개편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며, 비용기준 풀체제(Cost-based Pool)라는 과도기적 상태에서 효율성 제고에 한계점을 나타내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전원별 수익성을 조정하는 도매시장의 가격결정 방식과 공급원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소매시장의 가격규제 체계는 경쟁유인을 제한하여 전원구성을 왜곡시키는 한편, 한전이 사상최대의 적자를 발생하게 하는 등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다. 비록 전력산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방향이 경쟁시장을 지향하고는 있지만 완전한 형태의 경쟁시장 모습은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녹색성장의 실천전략으로서 추진되고 있는 스마트그리드의 구축이행이 전력요금체계와 산업구조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전력시장에도 현 상태의 효율성 제고와 스마트그리드의 구축과 관련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창출이라는 과제 하에서 실시간 요금제의 시행이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현행 전력산업 구조와 전기요금체계 하에서 실시간 요금제의 도입에 따른 성과를 기대하기는 쉽지 않지만, 향후를 대비한 우선적인 시범사업을 시행하기 위해서라도 사전에 실시간 요금제 도입에 대해서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현행 전력시장에서 실시간 요금제 도입과 관련하여 국내 시행여건에 대한 검토를 기반으로 해외 사례를 살펴보고 사전적으로 도입효과를 검토한 후 향후 실시간 요금제 시행을 위한 제도적 차원의 도입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 주요 내용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시간 요금제를 시행한 경험이 없기 때문에 해외사례 분석이 중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도입 시 발생할 수 있는 편익의 변화 및 문제 등을 포함한 효과 등을 사전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그 이전에 국내 수요분석을 통하여 부하의 특성에 관하여 외국과 비교함으로써 실시간 요금제 시행의 여건에 대한 평가를 해 볼 수 있다.
전력시장에서 최대수요와 그 이후의 수요들 간의 차이가 크면 클수록 실시간 요금제와 같은 자발적 수요반응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외 부하지속곡선을 비교해 보면 국내의 경우 외국에 비해서 기저부하가 상대적으로 많고, 전반적으로 부하가 평준화되어 있으며, 피크부하의 비중 또한 많다는 점이 파악된다. 결국 이러한 수요분석을 통하여 국내 부하의 특성을 고려해 볼 때 외국에 비해서 실시간 요금제를 시행할 경우 그 효과가 거의 없거나 그리 크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국내 상황에도 불구하고 해외 사례를 살펴보면, 그 동안 실시간 요금제는 주로 미국을 중심으로 논의와 시행이 이루어져왔다. 미국의 경우 전력산업 구조개편이 이루어지기 전인 1990년 이전부터 실시간 요금제가 시행되어 오늘에 이르기까지 전력산업의 구조변화와 함께 시행방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주로 수직통합적 체제 하에서는 한계비용의 가격원리에 기초하여 실시간 요금제를 선택적으로 시행하고, 전력시장이 자유화된 주에서는 도매시장의 수급에 의한 변동가격을 소매시장에서 반영하는 형태로 선택적 또는 의무적 실시간 요금제가 시행되고 있다.
미국의 실시간 요금제를 시행하는 회사로는 수직통합적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Georgia Power와 전력산업 구조개편과 함께 시장자유화 상태에 있는 뉴욕주의 전력회사들, 그리고 Commonwealth Edison 등이 있으며, 각각 시장상황에 걸맞는 실시간 요금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들 회사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대체로 실시간 요금제 전환으로 소비자들에게 주어진 가격위험과 공급자들의 수입위험을 어떻게 해결하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소비자들의 자발적 수요반응과는 별도로 여러 가지 위험을 완화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로 보완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해외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 실시간 요금제 도입 시 효과에 대하여 사전적으로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실시간 요금제 도입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대체탄력성에 대한 추정으로 자체 수요 감소와 수요이전 등 소비자의 수요반응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와 함께 후생변화를 통하여 실시간 요금제의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실시간 요금제의 효과는 이제 실험단계에 있는 상황에서 소비자의 인식 부족 및 인센티브 왜곡 등으로 인한 데이터상의 문제 때문에 분석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실시간 요금제 시행 시 나타날 수 있는 효과는 사전에 검토될 수 있다. 우선 현행 전력시장의 가격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함으로써 실시간 요금제 시행에 대한 수요반응 유도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전력산업에서 가격기능의 정상화와 함께 적정 전원구성으로 수렴한다면 가격 및 부하 지속곡선은 보다 미국의 경우와 유사해질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실시간 요금제 시행은 수요 반응에 따른 피크 설비의 감축 등 전반적 전력산업의 효율적 운영을 기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실시간 요금제를 시행할 경우 소비자들 간의 부하패턴과 수요반응의 정도 차이로 인하여 부의 이전효과가 나타나며, 많은 경우에 실시간 요금제 시행 이전보다 비용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지만 수요반응 정도에 따라서는 비용부담이 커지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공급자의 경우에도 단기적 수입손실이 발생하는 등 실시간 요금제 시행으로 인한 소비자의 가격위험과 공급자의 손실위험을 어떻게 다루는가가 가장 핵심적인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국내 실시간 요금제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전력시장의 가격기능 정상화와 이를 통한 적정 전원구성의 달성이 가장 시급한 문제로 보인다.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해결 없이는 실시간 요금제 도입에 대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3. 정책제언
국내 실시간 요금제 도입의 여건과 해외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전적으로 국내 실시간 요금제 도입 시 나타날 수 있는 변화와 문제 등을 검토해 본 결과 현 상태에서 실시간 요금제를 도입하는 데에는 많은 장애요인들이 존재하고 있다.
현행 국내 전력시장에서는 가격체계와 전원구성의 문제, 자발적 수요 반응에 대한 인식의 부족 등이 실시간 요금제 도입의 장애요인으로 지적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매전력시장의 가격산정방식을 개선하여 그 기반을 마련하고, 실시간 요금제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세 가지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적으로 소비자의 가격탄력성을 고려하여 실시간 요금제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즉 소비자의 가격탄력성이 높은 대상을 우선적인 도입 대상으로 선정하여 실시간 요금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해야 할 것이다. 선진국의 경우와 같이 국내 전력소비 패턴을 고려하면 일반용 고객에 대한 실시간 요금제 도입을 검토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국내 소비자의 전력소비 반응에 대한 실시간 요금제의 한계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 즉 실시간 요금제 시행으로 인한 가격변동의 위험관리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대처 능력에 차이가 있어서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소비자의 경우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소비자의 위험을 부분적으로라도 해소시켜주기 위해서는 2부 실시간 요금제(Two-Part RTP)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실시간 요금제 외 다른 형태의 수요반응 요금제의 일종인 최대피크요금제(Critical Peak Pricing; CPP)의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즉 시간별로 변동하는 한계가격에 전면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전기 소비자의 경우 실시간 요금제보다는 피크 시간대에만 요금을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책정하는 형태의 CPP가 더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소비자의 합리적인 전기사용을 위해서는 실시간 전력요금제 도입에 의한 효과 외에 여타 제도 도입에 의한 효과 등을 고려한 다양한 수요반응 전력요금제도가 개발되고 도입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실시간 요금제도를 도입하여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전력산업 구조의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국내 전력산업은 여전히 도매시장이 경쟁제한적인 비용기준 풀(CBP) 체제로 운영되고, 소매시장은 독점체제 하에서 규제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실시간 요금제의 도입으로 소비자의 수요반응을 유도하기는 어려울 뿐만 아니라 효과가 있을지도 의문이다. 즉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가격이 결정되고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소비자의 수요반응을 유도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비자의 수요반응을 포한한 전력산업 전반의 효율성 제고 측면이나 전력부문과 타 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창출을 거래 시간대별 가격변동 특징 위해서라면 경쟁적 시장의 유연성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그리고 현재의 규제적 소매시장에서 경쟁적 소매시장으로의 이행과 더불어 소비자 선택권이 확대된다면 실시간 요금제의 시행으로 인한 긍정적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제Ⅱ장 국내 실시간 요금제의 도입 여건
1. 실시간 전력요금제도
2. 국내 전력수요 분석
제Ⅲ장 실시간 요금제의 해외 사례
1. 해외 실시간 요금제의 도입배경
2. 실시간 요금제의 해외 사례
3. 해외 실시간 요금제의 시행 효과 및 정책적 시사점
제Ⅳ장 실시간 요금제의 도입효과 검토
1. 실시간 요금제의 효과 분석 방법
2. 실시간 요금제 효과의 사전적 검토
3. 실시간 요금제 도입 시 편익변화와 문제점
제Ⅴ장 실시간 요금제의 도입방안
1. 실시간 요금제 도입의 장애요인
2. 실시간 요금제 도입방안
3. 향후 실시간 요금제 시행을 위한 전력산업의 방향
거래 시간대별 가격변동 특징
시세 및 호가(1300, 1302, 1116)
종목시세/호가>현재가(1300)
종목시세/호가>당일시세예측(1302)
- 당일시세의 방향을 예측합니다. 무게중심가격&현재가가 VWAP과 Converge vs. Diverge 하는지 여부에 주목해주세요.
업종시세>전업종시세(1116)
순위분석 및 특이시세(1550, 1516, 1623, 6062, 1920)
종목분석>순위분석>전종목순위(1550)
- 각종 기준에 따른 전종목 순위를 보여줍니다. 시가총액, 등락률, 거래규모, 거래 시간대별 가격변동 특징 주간/월간/분기/연 간 등락률 등 다양한 기준으로 조회해보세요.
종목분석>특이시세>주가급변(1516)
회원사>외국계 실시간매매상위종목(1623)
외국인(금감원)>종목>보유율추이(6062)
투자자>종목>당일순매수상위(1920)
컨센서스 및 업종분석(1564, 1584, 1542, 1531)
종목분석>지표분석>종목별 컨센서스(1564)
종목분석>지표분석>업종 구성종목 베타(1584)
- 코스피지수와 수익률이 거래 시간대별 가격변동 특징 비슷한 종목 혹은 차이나는 종목은 무엇인지, 시장 변동성에 영향을 덜 받으면서 수익성(ROE)이 견고한 회사는 어느 회사인지 파악해보세요.
업종분석>구성종목 상대성과(1542)
- 자동차업종의 시세를 주도하는 종목은 무엇일까요? 비중이 큰 종목들의 시세변화를 직관적으로 확인해보세요.
섹터/스타일/테마>섹터별시세분석(1531)
- 삼성페이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어떨까요? 관련주들로 만든 지수와 수익률, 외국인 보유, 그리고 시장지수와 비교할 수 있습니다.
투자참고 및 재무분석(6201, 6160, 7001)
투자참고>자사주/대량매매>자사주종합(6201)
- 자기주식취득을 신고한 회사는 어디인지, 신고서에 따른 자사주체결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매매>전체>추정규모(6160)
- 선물/옵션 만기일이 되면 차익매매를 위한 사전공시 주문들이 대량 입력됩니다. 종목별 물량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화면입니다.
기업일반>재무정보(7001)
- 자산과 부채현황(대차대조표), 매출액과 영업이익(손익계산서), 수익성/안정성 비율 등 기업의 재무상태를 요약해서 볼 수 있습니다.
채권 발행시장, 유통시장 동향을 한눈에(3030, 3031, 3032, 3781, 3782)
발행통계>종합(3030)
- 다양한 분류 기준(채권종류별, 신용그룹별, KRX분류별)의 통계를 제공합니다.
- 추이 및 차트, 상세 구성종목 현황 파악이 가능합니다.
투자자별 매매 동향(3265, 3266, 3267, 3268, 3215, 3216)
투자자>(장외)종류/투자자 잔고종합(3267)
- 장외채권시장의 종목별 잔고, 잔고 평가액, 채권 종류별 듀레이션 등 투자자별 정보를 추정하여 제공합니다.
투자자>(장외)매매유형별 추이(3216)
- 장외채권시장의 투자자별 총거래/매수/매도/순매수/순투자/잔고/상환액/듀레이션/컨벡서티/수익률 추이를 제공합니다.
단가계산(3471, 3905, 3825, 3907, 3473, 3474)
관심채권>고급분석>1원당 수익률표(3825)
- 대량종목에 대한 조회시점 단가계산 기능을 제공합니다.
- 국고채, 통안채 등 종류 및 발행기관별, 표준산업분류별, 그룹사별, 관심채권 등 다양한 분류로 검색 후 바로 계산이 가능합니다.
단가계산>물가연동국채 시뮬레이션(3907)
- 미래 물가지수 입력을 통한 물가연동국채 단가 시뮬레이션 기능을 제공합니다.
실시간 시장 감시(3725, 3726, 3727)
유통종합>수익률급변종목(3725)
- 금일 장외시장에서 가장 많이 거래 시간대별 가격변동 특징 오른 회사채 종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유통종합>수익률급변종목2(고급)(3726)
- 보유 종목 중 1시간 전 대비 가장 많이 오른 종목, 거래량이 급증한 종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차트분석(3741, 3441, 3773, 3747)
시가평가>채권그룹>Term Structure(3741)
- 기업별 채권 수익률 구조에 대한 평가사별 현황, 개별종목, 추이, 차트, 일드커브, 스프레드 등을 종합적으로 제공합니다.
채권>시가평가>채권종목>종목별 분포 현황(3441)
채권>차트>Yield Spread(3773)
- 채권 등급별 시가평가 수익률, SWAP, 해외국채 금리 Yield Spread를 차트로 비교할 수 있습니다.
해외금리(3924, 3943, 3940)
채권>해외금리>해외국채 Matrix(3924)
채권>해외금리>국가별정책금리(3943)
채권>해외금리>Markit CDS(3940)
글로벌 재무분석(6440, 6446, 6448)
이제 CHECKExpert+를 통해 전세계 국제금융 펀드매니저 및 투자자들이 사용하는 업계 최고의 FactSet 글로벌 프라이싱, 펀더멘탈, 추정치 데이터를 만나실 수 있습니다.
글로벌 마켓 투자결정을 위한 최상의 선택, FactSet 글로벌 금융데이터를 통해 국내 뿐만 아니라 주요 글로벌 마켓 투자결정에 도움이 되어 드리겠습니다.
글로벌 기업 종합재무정보(6440)
Peer 분석 제공(6446)
- 선택한 기업의 동종산업 거래 시간대별 가격변동 특징 내 경쟁기업(Peer)을 추출, 제공
- FactSet 기준 동종산업 내 기업들이 USD 환산 매출규모 순으로 정렬되며, 선택 기업은 항상 최상단에 위치
- 글로벌 전체, 한국 제외 글로벌, 국내로 조회범위를 선택, 분석 가능
업종별 구성종목 제공(6448)
- FactSet 분류 기준의 Sector & Industry 및 소속 구성종목을 제공
- 국가 선택 후, Sector/Industry 내 복수거래소의 종목 조회 가능
- 상승, 하락종목 Count를 통해 업종 트렌드를 분석 가능
글로벌 펀드의 투자 기준이 되는 글로벌 Index 제공!
MSCI Index란?
- 미국 모건스탠리 캐피털 인터내셔널사가 작성, 발표하는 세계적인 주가지수로, 글로벌펀드의 투자기준이 되는 지표이자 최초의 국제 벤치마크 지수
- 지역별/국가별/섹터별 다양한 분류에 따른 조회 제공
- 제공주기 : 종가
키워드 검색 기능 제공
- 방대한 MSCI Index 리스트 중 원하는 정보를 신속히 찾고자 거래 시간대별 가격변동 특징 할 때
ex) ACWI Index를 검색하기 위해 'ACWI'라고 입력 시 관련 지수명과 심볼코드 조회 가능
비교차트 제공(6430)
- 지역별(주요지역, Developed Market, Emerging Market), 국가별로 해당 MSCI 지수 리스트를 제공
- 가격 산정 기준에 따라 Price, Gross, Net 선택하여 조회
- MSCI 가격은 USD, Local, KRW 통화 단위로 각각 조회
비교차트 제공(6431)
- '지역/국가' 의 경우는 상세 지역 분류, '섹터'의 경우는 11개 섹터 분류, '업종'의 경우는 25개의 상세 업종 분류 조회
- 복수개의 차트를 비교하여 조회 가능 (최대 12개)
FTSE 지수란?
영국의 Financial Times와 런던 거래소가 설립한 FTSE(Financial Times Stock Exchange)에서 '99년부터 발표하는 글로벌 지수로 전 세계 8,000여개 주식이 포함되어 있으며, 주로 유럽계 자금의 투자 기준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해외>글로벌지수>FTSE종합(6434)
- FTSE 지수를 전세계/국가별/UK/China/Xinhua/Eurofirst/REIT/CNBC/채권지수와 같이 각각의 유형별로 분류하여 제공합니다.
- 지수명 또는 블룸버그티커로 검색 조회 가능합니다.
글로벌 ETF 정보를 한눈에!
해외>글로벌ETF>시세표(6460)
- 미국, 일본, 홍콩, 중국, 대만, 싱가폴, 인도 등 7개국에 상장된 글로벌 ETF를 한눈에 조회하며 국가별/유형별(주식, 채권, 상품 등)/운용사별로 필터링하여 조회할 수 있습니다.
해외>글로벌ETF>현재가(6463)
- ETF 종목별로 기본적인 시세 및 NAV(Net Asset Value), 순자산, 보유비율 등 종목정보 및 일별 아트, 누적수익률과 성과지표를 한 화면에서 조회합니다.
- 미국 ETF의 현재가 : 지연 or 종가
일본/홍콩/중국 : 지연
대만/싱가폴/인도 : 종가
해외 원자재(6470)
(해외 원자재 상품군별(귀금속/비철금속/에너지, 석유화학, 곡물) 시세 제공
- 원자재 거래소 및 인도월 정보 조회 가능
원자재 뉴스 및 시장동향 보고서 제공
- 원자재 상품군별 시황 및 뉴스 제공
- 원자재 전물 연구원들의 시장동향 분석보고서(일별/주별) 제공
해외기관 전망치 제공
- 해외유명 기관 전망치(컨센서스) 제공을 통해 연도/분기별 평균 데이터 및 분석 세부내용 확인 가능
스프레드(Spread) VIew(6470)
- 주요 상품 간의 Spread(가격차)를 차트와 데이터 형식으로 제공
- 가격데이터의 1차 가공을 통해 시장을 다각적으로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음
종합화면(4000, 4001)
- 국내/외 주요지수, 선물 현재가, 옵션 현재가, 투자주체별 매매현황, 옵션민감도, 프로그램 매매 현황, 합성선물 정보를 통합 제공합니다.
- KOSPI, KOSDAQ, KOSPI200선물, MINI KOSPI200선물, KOSPI200옵션, MINI KOSPI200옵션, ETF, ELW 시장의 투자주체별 매매현황(프로그램매매 포함)을 제공합니다.
시세 및 호가(4101, 4391, 4501, 4511, 4370, 4651)
투자자 및 분석(4110, 4205, 4331, 4510, 4714, 4754)
- 종목별 현재가, 호가내역, 투자주체별 순매수/매수/매도 현황을 제공합니다.
- 지수(KOSPI200, 미니KOSPI200,. KOSDAQ150, KRX300), 변동성지수, 섹터지수, 개별주식 선물의 당일 일중 주기별 순매수 수량 및 금액을 투자주체별로 비교할 수 있습니다.
- 선물 Spread 종목의 현재가 및 Spread를 구성하는 월물(최근월물, 원월물)의 현재가를 동시에 조회할 수 있는 화면입니다.
- 종목별, 현재가, 호가내역, 투자주체별 매매현황 정보를 제공합니다.
- 일자별 Put-Call Ratio를 제공합니다.
- KOSPI200선물 및 옵션으로 사용자가 전략을 직접 구성할 수 있으며, 구성한 전략의 만기손익, 실시간손익, 민감도를 데이터와 차트로 동시에 제공합니다.
KDX 한국데이터거래소
온라인쇼핑의 성장과, 코로나로 인한 소비 충격에 따라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요일/시간대별로도 집계하였기 때문에 라이브커머스 기획시 판매하는 상품의 타겟 고객에게
어떤 요일/시간대가 적합할지에 대한 인사이트도 얻을 수 있습니다.
공급자 속성
회사명 | 삼성카드 |
---|---|
회사 설명 |
샘플 데이터
관련 상품
총 구매금액
최근 수정일
판매 종료일
저작권 라이선스
- KDX한국데이터거래소 카카오톡
- KDX한국데이터거래소 페이스북
- 한국데이터거래소 블로그
- KDX한국데이터거래소 트위터
- KDX한국데이터거래소 url
주식회사 케이디엑스
한국데이터거래소
번호 | 상품명 | 공급자명 | 수량 | 공급가액 | 세액 | 할인 | 공급합계 |
---|
데이터 마켓
AI 비즈니스
기업회원 알아보기
KDX 뉴스레터 데이터루
(주)케이디엑스한국데이터거래소는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주)케이디엑스한국데이터거래소는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대표자: 박재현 사업자번호: 469-87-01591 통신판매업신고: 제 2019-서울중구-2344호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충무로 2, 4층(필동 1가, 매일경제신문사빌딩) 대표 전화 : 02-2000-5936 대표 이메일: [email protected]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