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정보 출력
필자의 말 = 5
PART Ⅰ 외환시장의 역사
01 외환거래란 무엇인가 = 17
왜 외환거래가 발생하나 = 18
외환시장 거래량 증가의 원인 = 19
외환시장 확대의 원인 = 21
02 외환시장의 역사적 발달 = 26
외환시장의 역사 = 26
브레턴우즈 협정 = 28
브레턴우즈 체제의 실패 원인 = 30
변동 외환시장 = 32
03 유럽통화연합 = 34
역사적 배경 = 35
유럽통화시스템 = 35
유럽통화연합의 문제점 = 37
PART Ⅱ 외환시장의 이해
04 통화의 특징 = 43
통화의 표기 방법 = 43
통화의 특징 = 44
환율의 변동 요인 = 53
05 외환시장의 특징 = 58
거래 시간 = 59
거래 통화 = 61
주요 시장의 특징 = 63
통화 거래량 = 66
거래 장소 = 68
주요 시장참여자 = 69
외환시장의 위험 = 73
06 중앙은행 = 79
미국 연방준비은행 = 79
미국 연방준비은행의 역할 = 81
G7 국가들의 중앙은행 = 83
PART Ⅲ 외환상품의 이해
07 외환상품의 종류 = 91
현물환 = 92
선물환 = 96
통화선물 = 97
08 FX마진거래 = 103
FX마진거래의 역사 = 103
거래 통화 = 105
거래 단위 = 106
증거금 = 106
계약 만기 = 107
거래 비용 = 107
거래 방식 = 110
FX마진의 안전성 = 111
주문 유형 = 114
손익 계산 = 117
마진콜 = 120
통화선물 vs. FX마진 = 122
PART Ⅳ 기본적분석의 이해
09 기본적 분석 = 127
경제적 기본 요소들 = 129
경제지표 = 132
경제 사이클 = 134
고용 관련 지표 = 136
소비 관련 지표 = 147
경제성장 관련 지표 = 157
산업별 지표(건설업, 제조업) = 161
물가 관련 지표 = 189
연방은행 관련 지표 = 199
연방정부 관련 지표 = 203
국제 무역 관련 지표 = 206
유로존의 경제지표 = 208
영국의 경제지표 = 213
일본의 경제지표 = 215
10 기타 요소 분석 = 217
USD = 217
EUR = 222
GBP = 226
JPY = 229
CHF = 232
11 기본적 분석의 적용 = 237
기본적 분석의 적용 = 237
기본적 분석의 문제점 = 240
기본적 분석으로 거래하기 = 242
PART Ⅴ 기술적 분석의 이해
12 기술적 분석 = 247
기술적 분석의 특징 = 247
기술적 분석에 대한 찬반 = 249
기술적 분석의 종류 = 251
차트의 종류 = 252
13 추세와 되돌림 = 257
추세 = 258
추세선을 이용한 거래 = 261
되돌림(% Retracement) = 271
14 추세 반전형 패턴 = 277 외환 시장 거래 규칙
머리어깨형 = 278
역머리어깨형 = 282
이중천장형 = 284
이중바닥형 = 287
삼중천장형 = 287
삼중바닥형 = 289
V 패턴 = 289
원형 패턴 = 291
다이아몬드형 = 292
반전형사각형 = 293
15 추세 지속형 패턴 = 295
깃발형 = 296
페넌트형 = 298
삼각형 = 301
쐐기형 = 310
지속형 직사각형 = 311
16 캔들스틱 차트 분석 = 314
상승 시그널 = 315
하락 시그널 = 320
반전 시그널 = 326
관망 시그널 = 333
사카타 전법 = 335
PART Ⅵ 보조지표 분석의 이해
17 외환 시장 거래 규칙 이동평균선 = 343
이동평균선의 활용 = 345
매매 시그널 분석 = 348
18 오실레이터 = 352
일반적 법칙 = 352
다이버전스 = 357
오실레이터 수세선 매매 = 363
19 보조지표 = 366
모멘텀 = 366
ROC = 368
CCI = 369
스토캐스틱 = 373
슬로우 스토캐스틱 = 381
RSI = 381
MACD = 385
DMI = 389
파라볼릭 SAR = 392
볼린저 밴드 = 394
20 기술적 분석의 적용 = 398
기술적 분석의 장점 = 398
기술적 분석의 문제점 = 400
기술적 분석의 순서 외환 시장 거래 규칙 = 409
PART Ⅶ 위험 및 자금 관리
21 위험관리 = 415
위험의 종류 = 416
위험의 대처 방안 = 420
22 자금관리 = 422
자금관리의 규칙 = 422
23 외환거래의 기본자세
훌륭한 트레이더란? = 425
외환거래의 기본자세 = 428
용어사전 = 443
외환정책과 외환제도
이용하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업체의 아이콘을 클릭하신 후 해당 사이트에 로그인 하시면 현재 열람하시는 페이지를 여러 사람과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외환 및 국제금융과 관련한 한국은행의 업무는 크게 고유업무와 기획재정부장관으로부터의 위탁업무로 나뉜다. 고유업무로서 외화자금의 보유와 운용, 정부나 국내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외화예금의 수입, 외국의 중앙은행 및 외국 금융기관 등으로부터의 예금의 수입, 외화자금 차입 및 융자 등의 외환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한국은행법」에 따라 정부의 환율정책, 외화여수신정책 및 외환포지션정책에 대하여 협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기획재정부장관은 「외국환거래법」상의 권한중 일부를 한국은행총재에게 위탁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은행의 위탁업무에는 대외 지급 및 자본거래 관련 신고 접수 등의 업무, 외국환중개회사에 대한 업무감독, 외국환업무 취급기관에 대한 검사, 외환거래에 대한 사후관리, 외국환평형기금의 운용·관리에 관한 사무처리, 외국환업무 취급기관에 대한 일부 건전성 규제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외환정책은 경제규모 및 대외개방 확대, 금융 및 외환시장의 양적·질적 발전 등에 따라규제 위주에서 시장원리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왔다. 1990년대 들어 자본자유화와 개방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었으며, 1997년말 외환위기 이후 환율제도를 자유변동환율제도로 변경하면서 환율정책의 목표도 국제수지 흑자 달성보다는 환율의 변동성 완화 등 시장안정에 보다 큰 비중을 두게 되었다.
또한 국가간 자본이동이 더욱 자유로워지면서 외자유출입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커지게 되었다. 자본자유화에 따른 경제성장, 금융시장 발전 등 긍정적 효과가 커진 반면 통화팽창, 자산가격 급등, 환율변동성 확대 등 거시경제 운용의 어려움도 가중되었다. 이에 한국은행과 정부는 외자유출입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을 더욱 강화하였다. 외환전산망을 구축하여 외자유출입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면밀히 파악함과 아울러 외환정보집중기관제도를 도입하여 한국은행이 우리나라의 외환정보를 집중·관리토록 하고 있다.
한편 외환위기 이후 외환보유액을 꾸준히 확충하여 긴급시 대외지급수요에 철저히 대비하고 있다. 외환보유액은 민간의 외환부족시 환율안정 등을 위해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신인도 제고에도 도움을 준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거시경제 안정, 외환보유액의 적정 관리 등 일차적인 위기방지 노력은 물론 경제 전반의 시스템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거시건전성 제고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범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이에 따라 국제기구 등을 중심으로 동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두 차례에 걸쳐 「자본유출입 변동 완화방안」을 마련하는 등 거시건전성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와 함께 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 등 국제금융협력 강화도 그 어느 때보다 중요시되고 있다.
대외거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외환거래의 자유를 보장하고 외환시장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대외거래의 자유를 과도하게 허용할 경우 자본유출입의 변동성이 증가하여 외환시장 및 국민경제의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 국가의 외국환 수요와 공급이 균형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외환 수급의 불균형이 심화되는 경우 각국은 통화 및 재정 정책, 환율의 유연성 제고 등과 함께 외국환 거래에 대한 직·간접적인 규제를 통해 대외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IMF의 권고를 수용하여 규제·관리 위주의 「외국환관리법」을 폐지하고 외환거래 지원을 주 내용으로 하는 「외국환거래법」을 제정하였다. 「외국환거래법」은 민간부문의 경상거래 및 자본거래를 전면적으로 자유화하고 국가경제 측면에서 필요한 최소한의 사항만을 제한하고 있다.
기록물 상세검색검색가이드
기록물 원문검색
원문이미지를 제공하는 기록물들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원문이미지를 제공하는 기록물들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토지기록물
일제강점기부터 정부수립 직후까지 생산된 토지 임야대장, 지적ㆍ임야원도 등 지적 기록물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정부에서 발행한 관보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국무회의록
국무회의록, 차관회의록, 안건철 등 국무회의 기록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정부간행물
공공기관에서 발행한 간행물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외환 시장 거래 규칙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독립운동 판결문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관련된 판결문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일제강점기 피해자명부
3.1운동 피살자, 관동대지진 피살자 명부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일제강점기 건축도면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학교, 형무소, 병원, 지방청사 등의 설계원도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일제강점기 기록물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 의해 생산된 기록물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 시기별 외환정책
주제유형 | ![]() |
---|---|
하위주제 | 1960년대 외환정책 1970년대 외환정책 1980년대 외환정책 1990년대 외환정책 2000년대 외환정책 2010년대 외환정책 해방-1950년대 외환정책 |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대외무역규칙」, 1946.1
「외국과의 무역통제」, 1946.7
「외국환예치증제도」, 1948.2
「대외무역거래 및 외국환 취급규칙」, 1949.6
「한국은행법」, 1950.5
「무역법」, 1957.12.13
「무역법 시행령」, 1958.3.18
「무역위원회 규정」, 1958.3.18
「외국환관리법」, 1961.12.31
「단일변동환율제도」, 1964.5.3
「외국환관리규정」, 1964.11.27
「복수통화바스켓제도」, 1980.2
「외화도입법」, 1983.12.31
「시장평균환율제도」, 1990.3.2
「자유변동환율 제도」, 외환 시장 거래 규칙 1997.12.16
「외국환거래법」, 1998.9.16(제정), 1999.4.1(발효)
「외환시장 중장기 발전방향」, 2002.4
「외환자유화 추진방안」, 2006.5
1945년부터 1950년대까지 15년 동안의 기간은 한국의 외환관리 모색기라고 볼 수 있다. 1945년부터 1948년까지 3년 동안에는 해방과 더불어 한국에 들어선 미국 군정청이 군정법령을 공포하여 외환을 관리하였고 1948년 8월 15일 수립된 한국정부는 한미 간에 체결된 제반 협정과 대통령령 및 관계법령을 통하여 외환관리제도를 모색하였다.
한국의 외환관리제도는 관련 법규의 효시라 할 수 있는 군정법령 제39호 「대외무역규칙」이 1946년 1월 제정되고, 이어 군정법령 제93호 「외국과의 무역통제」가 제정되어 부족한 외환의 효율적 사용에 중점을 두고 모든 무역과 외환거래에 대하여 엄격한 면허제를 실시하면서 시작되었다. 초기 외환관리는 해방 후인 1948년 2월에 도입된 외국환예치증제도, 1950년 6월에 전면적으로 입법화된 외국환예치집중제도 등에 의하여 시행되었다. 해방 이후 6.25 전쟁을 거치면서 부족한 외환확보와 효율적 사용을 도모하기 목적으로 외환 거래와 보유를 엄격히 제한하였다.
그 후 민간무역과 외환거래가 점차 활발해짐에 따라 보다 현실에 부합되는 외환정책을 수립하고자 1949년 6월 대통령령 제132호로 「대외무역거래 및 외국환 취급규칙」을 제정하였다. 이 규칙에 따라 대외무역에 의해 취득한 외환을 조선환금은행에 예치하고, 외환매입은 사전 수입허가나 외환매입 허가를 받은 자로 국한하는 외국환예치집중제도를 도입하였다. 1950년 5월 제정된 법률 제138호 「한국은행법」의 시행을 계기로 한국은행이 일체의 외환업무를 조선환금은행으로부터 승계받아 한국의 대외결제준비금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유일한 외국환은행으로서 일반 외환관련 업무도 담당하였다.
1957년 12월 13일 정부수립 후 처음으로 대외무역의 기본법인 「무역법」이 제정 공포되었고 이어 1958년 3월 18일 「무역법시행령」 및 「무역위원회규정」이 각각 공포됨에 따라 그 동안 잡다한 미군정법령, 상공부령 등에 따라 운영되어 오던 무역행정이 정비되기 시작했으며 외환관리체제도 정비되기 시작하였다.
1960년대 들어서 경제개발계획 실행에 필요한 외환을 확보하기 위하여 외환의 지급에 있어서 원칙규제․예외허용(positive list system)을 엄격히 적용하였다.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의 착수와 함께 수출증대로 외화획득이 늘어나면서 복잡다기한 법률, 외환 시장 거래 규칙 고시, 규정을 통합하여 1961년 12월 「외국환관리법」을 제정하였다. 이에 따라 과거 외환지급을 중점적으로 관리하던 체제를 외화 획득과 사용을 관리하는 체제로 전환하였고, 모든 외국환을 한국은행에 매각하도록 하는 외국환매각집중제도를 시행하였다. 이와 더불어 한국은행만 취급하였던 외환업무는 1962년 4월 5개의 시중은행이 정부승인을 얻어 을종 외국환업무를 개시하였으며, 1967년 1월 한국외환은행이 설립되었다. 1964년 5월 3일에는 해방 이후 약 20년 동안 시행되어 온 복수환율제도를 폐지하고 단일변동환율제도를 시행하였다. 이 단일변동환율제도의 원활한 시행을 위하여 1964년 1월 27일 재무부 고시 「외국환관리규정」이 공포되었다. 이후 본 규정은 대외경제활동의 확대 등 제반 여건의 변동에 대응하기 위하여 1965년~1968년 동안 수차례 대폭적으로 개정되었다. 따라서 외국환관리규정은 점차 통일된 단일 외국환관리 법규체제를 갖추기 시작하였다.
1973년 제1차 유가파동과 국제 원자재가격 폭등으로 무역수지 적자가 급증함에 따라 1970년대 초반의 외환관리는 불요불급한 수입을 억제하고 외화자금을 최대한 확보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에 따라 외국환은행의 외화예금 유치와 차관도입을 촉진하고 수출선수금 영수의 허용범위를 확대하는 한편 수입억제를 위해 수입담보금제도를 강화하였다. 이러한 외환규제 강화조치와 함께 1974년 하반기 이후 1976년 초까지의 어려웠던 외환사정을 극복하였으며 1976년 하반기 이후에는 중동지역 해외건설 수주 증가와 세계경기 회복에 따른 수출증대로 국제수지가 급격히 개선되었다. 이러한 국제수지 개선과 세계적인 무역자유화 추세에 맞추어 수입자유화 조치를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해외여행경비의 지급한도를 늘리는 등 외환관리를 완화하기 시작하였다.
1977년에도 수차에 걸친 「외국환관리규정」의 개정을 통하여 외환자유화가 추진되었다. 1978년에도 외환사정이 전년에 이어 호조를 보임에 따라 외국환은행업무의 확대 및 자율화, 외환거래담보금제도의 개편, 외국환집중관리의 완화, 선물환제도의 개선 등을 통하여 외환자유화가 진전되었다.
1979년에 이르러 국제수지의 적자규모가 확대되어 외환사정이 악화됨에 따라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외화자금조달을 확대시키고, 외화자금 유용을 방지하며, 외환관리 업무를 효율화하는데 필요한 시책이 시행되었다.
1980년대 들어서 한국의 외환관리제도는 외환수급 사정에 따라 그 내용이 다소 바뀌기도 하였으나 기조적으로 무역 및 자본거래 자유화 추세에 부응해 민간부문의 자율결정권을 높이는 방향으로 꾸준히 자유화되어 왔다. 국가 간의 무역과 투자, 그리고 자본거래가 증가하면서 제반 외환관리제도를 자유화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특히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경상수지가 흑자로 전환되어 해외로부터의 자금유입이 증가함에 따라 해외여행경비 등 경상적인 외환지급과 해외직접투자 등 자본거래와 관련된 외환의 유출에 대한 제한도 완화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1988년 11월에는 경상지급에 대한 제한 철폐 의무를 지니는 IMF 8조국으로 이행함으로써 경상거래 자유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와 더불어 1980년대 후반부터 제한적인 범위에서 외환자유화가 추진되기 시작하였다. 1980년대 들어서 무역규모 확대 및 세계경제의 개방압력 증대 등 대내외 경제여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1980년 2월 환율제도를 종전의 고정환율제도에서 주요국 통화시세에 연동시키는 복수통화바스켓제도로 변경하였고, 1984년에는 외국투자 전용펀드를 통한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를 허용하는 등 제한된 범위에서 국내 자본시장을 처음으로 개방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에는 냉전체제 종식 등에 따른 세계경제질서의 변화와 금융의 범세계화 추세에 부응하여 선진국으로부터의 대외개방 요구를 수용하는 한편, 국내경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외환자유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1992년 1월에는 외국인이 국내 상장주식을 직접 취득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고, 9월에는 「외국환관리법」 개정을 통하여 경상 거래에 대한 규제를 종전의 원칙규제․예외허용(positive list system)에서 원칙자유․예외규제(negative list system)로 개편하였다. 그리고 1994년 12월에는 「외환제도 개혁계획」을 발표하고 이에 따라 외환 및 자본자유화를 추진해 1996년 12월 OECD 가입이 허용되었다.
1997년 말 외환위기 이후에는 외환자유화가 더욱 급속히 진전되어 1997년 12월 환율의 일일 변동 제한폭을 폐지하고 자유변동환율제도로 이행하였으며, 1998년 7월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를 완전 자유화하였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6월에는 외환거래를 2단계에 걸쳐 전면 자유화하는 계획을 발표하였고, 1999년 4월에는 기존의 「외국환관리법」을 개정하여 「외국환거래법」을 발효하였다. 이 「외국환거래법」은 자유로운 외환거래 및 대외거래를 보장하고 시장기능을 활성화함으로써 대외거래의 원활화, 국제수지의 균형 및 통화가치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이로써 외환거래에 대한 사전규제보다는 사후보고와 건전성 감독 등 사후관리에 중점을 둔 외환관리체계를 구축할 기반이 마련되었다.
「외국환거래법」 시행과 외환 시장 거래 규칙 함께 1999년 4월 실시된 「제1단계 외환자유화 조치」에서는 기업 및 외국환은행의 대외영업활동과 관련된 외환거래의 대부분을 자유화하였다. 자본거래에 대한 규제도 원칙규제․예외허용 체계에서 원칙자유․예외규제 체계로 개편하였으며, 이와 함께 자유화에 따른 외환의 급격한 유출입 등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비하여 가변예치의무(VDR: variable deposit requirement) 제도를 도입하여 안전장치(safe guard)를 운용할 수 있는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2001년 1월 「제2단계 외환자유화 조치」에서는 외환송금한도를 폐지하는 등 주로 개인의 외환거래를 자유화하였다. 한편, 2002년 4월에는 한국을 동아시아 국제금융의 중추(financial hub)로 육성하기 위해 일부 남아 있는 외환규제를 2011년까지 3단계로 나누어 완전 자유화하는 「외환시장 중장기 발전방향」을 발표하였다. 이후 2006년 5윌 기존의 자유화 일정을 앞당겨 2009년까지 완료하기로 하는 「외환자유화 추진방안」을 발표하여 시행중이다.
김영생 《외국환관리법》,1989
신현종 《한국무역론》 박영사, 1997
전국경제인연합회 《한국경제정책 40년사》, 1986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감》, 각년도
한국무역협회 《한국무역사》, 2006
한국은행 《한국의 외환관리》,1981
외환 시장 거래 규칙
외환투자의 기술
: 주식 · 선물보다 작은 위험으로 외환 시장 거래 규칙 높은 수익을 올리는
- 600원 (5% 적립)
- 5만원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적립?
이 책을 구입하신 분들이 산 책
출간일 | 2008년 06월 20일 |
---|---|
쪽수, 무게, 크기 | 213쪽 | 406g | 148*210*20mm |
ISBN13 | 9788974425128 |
ISBN10 | 8974425122 |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Part01 FX 시작하기
FX란? / 원 강세, 원 약세? / 외환시장은 어디에 있는가? / 거래 통화 / 국내 외 환시장 현황 / FX의 매력 / 외환시장의 변동 요인 / FX의 리스크 / 실패에는 꼭 원인이 있다
Part02 FX 준비하기
FX 회사 선정 및 거래 구좌 오픈 / 증거금 / 거래 비용 / 거래 수법 / 어떻게 수 익을 내는가?
Part03 모의 거래로 연습하기
모의 거래 연습 / 지정가 주문의 종류 / 손절매는 빨리, 이익 실현은 천천히 / 스 톱 세팅 / 거래 수단에 의한 주문 종류 / 모의 거래 순서
Part04 실제 거래하기
실제 거래 / 자금과 구좌 관리
Part05 시세 분석을 위한 기술적 분석
기술적 분석 / 차트의 종류
Part06 기본적 분석
기본적 분석이란? / 중요한 경제 지표
Part07 각국의 금융정책
미국의 역할 / 유럽 중앙은행의 역할 / 일본은행의 역할
저자 소개 외환 시장 거래 규칙 관련자료 보이기/감추기
와세다 대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의 도미니온 인베스트먼트 사에 입사해 외환딜러로 활동했다. 그 후 일본의 스미토모, 센트럴 투자회사 등에서 10년간 외환딜러로 활동하면서 연간 총합으로 볼 때는 한 번도 마이너스를 낸 적이 없었다. 현재 독립 파이낸셜 플래너(Financial Planner)로 활동하고 있다.외환 시장 거래 규칙
책 속으로 책속으로 보이기/감추기
환율은 날짜, 시간, 분, 초 단위로 변하고 있다. 그렇다면 “원이 비싸졌다”거나 “원이 싸졌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 예를 들어 외국에 가기 위해 은행에 달러를 바꾸러 갔다. 어제는 1달러에 1.000원이었는데 오늘은 900원이다. 원이 100원 오른 ‘원 외환 시장 거래 규칙 고’가 된 것이다. 결국 어제는 1달러를 바꾸기 위해 1,000원이 필요했지만 오늘은 900원이면 1달러를 바꿀 수 있게 된 것이다.
국내 외환시장은 아직까지는 초기지만 2005년 330억 달러, 2006년 430억 달러, 2007년 2,700억 달러 등 거래량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미국발 신용위기 사태로 얼룩진 경기 침체시장에서 수익을 내기 어려운 주식과는 달리 약세장에서도 수익을 낼 수 있고,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수익을 보려는 개인 투자자들이 늘어가고 있다.
일본과 미국, 유럽 등에서는 FX 회사 간의 경쟁이 치열해 회사마다 차별화된 서비스를 만들어 내기도 하는 등 각종 특혜를 제공해 투자가를 불러 모으고 외환 시장 거래 규칙 있다. 많은 거래가 이루어져야만 이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렇게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회사가 파산을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무엇보다 FX 회사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아무리 큰 회사라도 많은 증거금을 한 군데 넣어 두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모의 거래를 해보고 만약 외환 시장 거래 규칙 잘 안되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이 좋다. 1개월 정도 열심히 해 봤을 때, 1일 거래 전체에서 손실 부분을 빼고 이익금이 몇 번이나 발생했는지 살펴보자. 만약 1개월을 20일로 잡고 60% 이상 이익금을 얻지 못했다면 당신은 FX와 맞지 않는 것이다. 스왑 거래로 방향을 잡고 은행보다는 금리가 좋으니 이 부분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인플레이션의 시대, 환헤지로 위험에 대비한다!
지금 당신 앞에는 커다란 문이 있다. 혼자만의 힘으로는 열기 힘든 문이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문을 열려고도 하지 않았다. 어떤 사람은 “어차피 나는 무리야”라며 단념해 버리기도 하고, 어떤 사람은 “나하고는 관계없어”라며 못 본 척 하기도 한다.
하지만 사실은 누구나 그 문을 열고 싶어 한다. 그 문을 열 수만 있다면 문 뒤에는 분명 밝은 세계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문 뒤의 세계란 무엇일까?
바로 경제적 자유를 만끽할 수 있는 세계를 말한다. 돈에 대한 괴로움이나 걱정에서 해방된 밝은 내일의 세계다. 만약, 그 문을 간단히 열 수 있는 열쇠가 있다면 누구나 그 열쇠를 갖고 싶어 하지 않을까? 저자는 그 열쇠가 바로 FX(외환거래)라고 말한다.
FX(Foreign Exchange), 즉 외환투자란 서로 다른 국가의 통화 간 금리와 가격 차이를 이용해 수익을 얻는 투자방법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 이후 개인 투자가 허용돼 앞서가는 투자가라면 이미 고수익을 내고 있는 새로운 재테크 수단이다.
우선 국내 FX의 특징을 알아보자.
100% 온라인거래이며, 8개국(미국, 유로, 영국, 뉴질랜드, 호주, 스위스, 캐나다, 일본)의 통화를 조합한 총 21가지 환율 상품거래가 가능하다. 현재까지 원화를 기초로 한 통화는 마진통화가 불가능하며, 국내 선물회사에 계좌를 거래하여 선물회사에서 제공한 프로그램을 통해서만 가능하며, 직접 해외 외환중개회사로의 주문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24시간 거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직장에 다니면서도 여유시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거래 도중 증거금의 50% 이상 손실을 볼 경우 시스템 상으로 강제 결제가 된다. 수수료는 거래량에 따라 계약 당 편도로 0~5달러 사이에서 조정이 된다.
그렇다면 책이 말하고 있는 FX만의 매력은 무엇일까?
우선 24시간 거래가 가능해 시간이라는 투자리스크를 확실히 줄여준다는 점이다. 주식시장은 종료 시간이 있지만 외환시장은 24시간 언제나 거래가 가능하다. 또한 외환시장은 1일 3조 달러 이상의 거래액이 오가는 최고 유동성을 가진 시장으로, ‘시세폭 제안’이나 ‘투기적 매매’ 등이 존재할 수 없다.
또한 100배, 200배, 최고 400배까지 레버리지가 가능하며, 거래 비용과 수수료가 낮다. 그리고 특별한 투자 경험이 없어도 거래가 가능한데, 주식처럼 많은 정보가 필요하지도 않고, 차트만 완벽하게 해석할 수 있다면 승산이 크다. 주식에는 수백, 수천 종목이 있지만 FX에는 고작 10~20개(현재 세계시장에서의 통화 수)뿐이다.
무엇보다 모의 거래가 가능해 충분히 연습을 하고 경험을 쌓은 후, 실전에서 거래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위험성이 작다.
외환투자라는 게임에서 이기기 위한 승리의 기술을 모두 담았다
현재 전 세계 외환거래 시장의 하루 거래량은 3조 달러 이상으로, 이보다 더 큰 시장은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각국의 돈이 눈에 보이지 않는 공간에서, 하루 24시간 세계 곳곳을 떠돌아다니며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이다.
FX는 게임이다. 게임에 이기기 위해서는 규칙과 참가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기기 위한 나만의 노하우를 만들어야 한다. 그렇다면 과연 외환투자에서 성공하기 위한 기술은 무엇일까? 수년간 외환딜러로 활동한 저자가 기본적·기술적 분석은 물론, 자신의 성격이나 자금을 고려한 자기 컨트롤 방법까지 가장 필수적인 외환 시장 거래 규칙 승리의 기술을 알려준다.
다양한 불안을 안고 사는 현대인들에게 가장 훌륭한 대안이 되어 줄 FX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풀어보자.
회원리뷰 (4건) 리뷰 총점 5.3
상당히 기초적인.. 그러니까 fx마진투자에 대해서 전혀 모르는 독자라야 도움이 될 정도의 내용임.. 개인적으로 fx마진투자에 관심은 있지만.. 그것에 대해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봐서.. 많은 도움이 되었다.. 뭐, 개념정립하는데는 도움이될 듯.. &n;
상당히 기초적인.. 그러니까 fx마진투자에 대해서 전혀 모르는 독자라야 도움이 될 정도의 내용임..
개인적으로 fx마진투자에 관심은 있지만.. 그것에 대해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봐서..
뭐, 개념정립하는데는 도움이될 듯..
난 fx에 대해 전혀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다. 기래서 봤따.. 하지만. 이건 정말. ㅡ,.ㅡ. 돈이 아깝다. 주식 투자 하는 사람들이라면.. FX 거래는 어느 정도 한다고 보면 되는데.. 거기에 좀 더 기술만 추가하면 될 것이다.. 암튼.. 책도 얇고 돈도 아깝고. 그렇다.. 좀. ;
외환차액거래는 국제외환 시장에서 외국의 통화를 거래하는 것으로 현물시장에서 이뤄지는 장외통화선물 거래를 의미한다. 외환차액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사결정나무와 그래디언트 부스팅 방법을 이용한 수익모델을 비교하였다. 금융시장의 예측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시계열분석과 같은 방법들은 장기간의 예측 모형을 설명하기에 장점이 있지만, 파동이많고 짧은 시간에 가격이 급변하는 외환시장을 예측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단기간 즉 1, 3, 5분에서 외환시장의 수익구조를 의사결정나무와 앙상블기법의 하나인 그래디언트 부스팅으로 비교하여 매수, 매도거래 시 수익을 만들기 위한 규칙을 연구하였다.
The FX (Foreign Exchange) is a form of exchange for the global decentralized trading of international currencies. The simple sense of Forex is simultaneous purchase and sale of the currency or the exchange of one country’s currency for other countries‘. We can find the consistent rules of trading by comparing the gradient boosting method and the decision trees methods. Methods such as time series analysis used for the prediction of financial markets have advantage of the long-term forecasting model.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reflect the rapidly changing price fluctuations in the short term. Therefore, in this study, gradient boosting method and decision tree method are applied to analyze the short-term data in order to make the rules for the revenue structure of the FX market and evaluated the stability and the prediction of the model.
키워드 열기/닫기 버튼
Decision tree, ensemble, FX margin, gradient boosting
피인용 횟수
KCI에서 이 논문을 인용한 논문의 수는 12건 입니다. 열기/닫기 버튼
참고문헌 (7) 열기/닫기 버튼 * 2020년 이후 발행 논문의 참고문헌은 현재 구축 중입니다.
논문 인용하기 닫기
외환거래에서 의사결정나무와 그래디언트 부스팅을 이용한 수익 모형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TY - JOUR
AU - 정지현
AU - 민대기
TI - 외환거래에서 의사결정나무와 그래디언트 부스팅을 이용한 수익 모형 연구
T2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JO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PY - 2013
VL - 24
IS - 1
PB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SP - 161
EP - 170
SN - 1598-9402
AB - The FX (Foreign Exchange) is a form of exchange for the global decentralized trading of international currencies. The simple sense of Forex is simultaneous purchase and sale of the currency or the exchange of one country’s currency for other countries‘. We can find the consistent rules of trading by comparing the gradient boosting method and the decision trees methods. Methods such as time series analysis used for the prediction of financial markets have advantage of the long-term forecasting model.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reflect the rapidly changing price fluctuations in the short term. Therefore, in this study, gradient boosting method and decision tree method are applied to analyze the short-term data in order to make the rules for the revenue structure of the FX market and evaluated the stability and the prediction of the model.
KW - Decision tree, ensemble, FX margin, gradient boosting
DO - http://dx.doi.org/10.7465/jkdi.2013.24.1.161
ER -
정지현 and 민대기. (2013). 외환거래에서 의사결정나무와 그래디언트 부스팅을 이용한 수익 모형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4(1), 161-170.
정지현 and 민대기. 2013, "외환거래에서 의사결정나무와 그래디언트 부스팅을 이용한 수익 모형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4, no.1 pp.161-170. Available from: doi:http://dx.doi.org/10.7465/jkdi.2013.24.1.161
정지현, 민대기 "외환거래에서 의사결정나무와 그래디언트 부스팅을 이용한 수익 모형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4.1 pp.161-170 (2013) : 161.
0 개 댓글